• 제목/요약/키워드: Paper-pencil test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5초

천문 현상들을 설명하는 예비초등 교사들의 정신모형의 구조: 계절과 달의 위상변화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Mental Models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Seasons and Moon Phases)

  • 오준영;김유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8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천문현상(계절 변화와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정신모형과 그 모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다. 자료 수집은 지필 검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은 천문현상의 설명들이 과학적 모형과는 다른 합성 정신모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거리 이론' 과 '가리기 이론'이 그들의 정신 모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들이 갖는 천문현상의 합성 정신모형의 구조와 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의 정신 모형들을 형성하는 틀 이론과 특정 이론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와 관련된 예비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선다형 문항에서 역행추리를 줄이는 컴퓨터화 검사 방식 (A Computerized Testing system that Reduces Backward Reasoning in Multiple-choice Items)

  • 박주용
    • 인지과학
    • /
    • 제20권3호
    • /
    • pp.275-289
    • /
    • 2009
  • 변형 선다형 방식으로 명명된 새로운 컴퓨터화 검사가 소개되었다. 이 방식에서는 선다형 문항의 답지가 없이 먼저 질문만 제시되어 수험자가 스스로 답을 생각해내도록 한다. 수험자가 답을 할 준비가 되면 마우스를 클릭하여 답지 제시를 요청할 수 있는데, 답지는 미리 정해진 짧은 시간 동안만 제시되고 수험자는 그 시간 내에 답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이 선다형의 약점으로 알려진 역행추리 즉, 답지를 이용하여 정답을 추측해내는 전략을 줄일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학년 학생 177명을 이전 시험 결과에서의 평균에서 차이가 없게 두 집단으로 나눈 다음, 실험 집단은 새로운 방식으로 통제 집단은 선다형 방식으로 시험을 보도록 한 다음, 5일 후에 일부 문항을 단답형으로 다시 시험을 보게 하였다. 중간 본 시험에서의 반응을 고려하여 최종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 i) 선다형보다 새로운 방식으로 보았을 때 정답을 더 잘 유지하였으며, ii) 선다형보다 새로운 방식으로 시험을 보았을 때 전에 틀렸던 문항에서 더 적게 틀림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새로운 컴퓨터화 검사 방식이 역행추리를 줄이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사회복지사 윤리적 민감성 검사도구(SWEST)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nd Utilizing of a Social Workers' Ethical Sensitivity Test(SWEST))

  • 최명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2호
    • /
    • pp.5-28
    • /
    • 2008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민감성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기반 위에서, 이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실제에 적용해 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윤리적 민감성 척도들과 관련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검사도구에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판단형 지필검사방식 및 구조화된 채점방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1단계 사례수집, 2단계 사례구성, 3단계 사례자문, 4단계 예비조사, 5단계 채점 지침작성, 6단계 최종사례 및 채점기준 확정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세 가지 사례로 구성된 측정도구 SWEST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검사도구의 활용성을 보기 위하여 사회복지전공생과 사회복지실무자의 실제 응답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SWEST가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민감성과 그에 관한 의미 있는 차이를 구분해 낼 수 있는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추었는지를 살펴보았다.

  • PDF

스마트 능동 레이어 센서 개발 (I): 이론 및 개념 연구 (Development of Smart Active Layer Sensor (I) : Theory and Concept Study)

  • 윤동진;이영섭;권재화;이상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65-475
    • /
    • 2004
  • 본 논문은 두 편으로 구성된 스마트 능동 레이어(smart active layer, SAL) 센서 개발에 관한 첫 번째 논문으로, 구조 내에 발생하는 균열 및 손상에 의한 탄성파 검출을 위한 SAL 센서의 이론 및 개념을 연구하였다. 본 SAL 센서의 개발을 위해, 첫째, 탄성파의 기본 이론을 고찰하였고, 둘째, 이론적 토대 위에 단일 압전 disc의 유한요소해석법(finite element analysis, FEA)을 이용하여 탄성파 검출 센서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셋째, 몇 종류의 압전 disc 센서와 상용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센서를 연필심 파괴시험을 통해 상호 성능을 비교하여 실험적으로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 개의 센서를 일정한 거리로 분포시켜서 구조물 결함의 효과적 검출 및 위치 표정이 가능한 스마트능동레이어 센서의 개념연구를 수행하였다.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가능한 정신모형 (THE STRUCTURES AND POSSIBLE SOUR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ENTAL MODELS ABOUT MOON PHASES)

  • 오준영;강용희;유계화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311-3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정신모형과 그 모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교육대 학교 1학년(22명)과 2학년(21명) 학생이다. 자료 수집은 지필 검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은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설명들이 과학적 모형과는 다른 합성 정신모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리기 이론'이 그들의 정신 모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들이 갖는 천문현상의 합성 정신모형의 구조와 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의 정신 모형들을 형성하는 틀 이론과 특정 이론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계절 변화에 대한 예비 중등교사의 대안개념의 구조 (THE STRUCTURES OF THE ALTERNATIVE CON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SEASONAL CHANCES)

  • 오준영;박성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69-8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계절 변화의 설명'에 대한 대안 개념과 그 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대학교 과학교육학부 2학년 23명, 3학년 23명, 그리고 4학년 28명으로 총 74명이다. 자료 수집은 지필 검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 중등교사들은 계절변화 설명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불일치하는 대안 개념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거리 이론'이 그들의 설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중등교사들이 갖는 '계절변화'의 대안개념의 구조와 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개념들을 형성하는 틀 이론과 특정 이론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와 관련된 예비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Female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 Intimate Apparel Brands

  • Rose, Jennifer;Cho, Eunjoo;Smith, Kathleen R.
    •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 /
    • 제14권2호
    • /
    • pp.35-4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emale consumers'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 intimate apparel brands. To understand female consumers' shopping behaviors for intimate apparel products, this study examined interrelationships among brand familiarity, perceived risk,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oward intimate apparel brands. A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by adopting perceived risk theory (Cox, 1967) and theory of reasoned action (Ajzen & Fishbein, 1980). A pre-survey using a paper and pencil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ost familiar intimate apparel brand to young female consumers. The majority of pre-survey respondents (66 female college students) indicated Victoria's Secret as the most prominent intimate apparel brand. Therefore, Victoria's Secret was used to examine possible effects of brand familiarity on perceived risk and attitudi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ward the brand. Using a web-based survey, 384 complete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young female college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8-29 at a Mid-southern U.S. univers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Results showed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the four variables (e.g., brand familiarity, perceived risk,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young female consumers who are familiar with a particular intimate apparel brand are likely to perceive a low level of risk, leading to positive, strong attitudes with purchase intentions toward that particular intimate apparel brand. This suggests establishing brand familiarity through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is crucial for risk reduction strategy in intimate apparel shopping.

전통적 수업에 의한 중학교 학생들의 과학개념 변화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about Science Concepts Through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 김대식;박인근;성은모;국동식;김익균;손영철;노승호;김학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0-120
    • /
    • 1993
  •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s on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concepts which were intentionally selected by researchers had been investigated through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by paper and pencil tests and P.O.E. The weak points had been studied by individual interviews about the problems of traditional science classroom teaching after students' test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concepts. As results, students' conceptual changes could be hardly found through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except several concepts in biology, The weak points of traditional science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were as follows: 1) Teachers teach science as finding answers. 2) The conventional science test is not performed to find students' concepts out but to recall simple knowledge or calculus. 3) Students hesitate to ask teacher Questions in science class because of their colleagues' or teachers' blame. These mean that science teachers need specially designed teaching methods on the students' concepts and reseachers had to study about science classroom socialogy, what happened in science classrooms.

  • PDF

초등학교 3, 4, 5학년 학생들의 확률 이해 실태 (3rd, 4th and 5th Graders' Probability Understanding)

  • 윤혜영;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1호
    • /
    • pp.69-7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확률을 학습하지 않은 3, 4, 5학년 학생들의 확률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을 살펴보고, 확률 학습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 4,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지필검사를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확률 이해 분석의 틀을 분석기준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의 확률 개념 평균 이해 수준은 표본공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건의 확률, 공평성, 확률 비교 순이었으며, 특히 표본공간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이러한 결과는 3, 4, 5학년의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반면 학생들의 독립성에 대한 이해 수준은 낮은 편이었고 학년 간에 유의한 수준 차이가 없었으며, 조건부 확률에 대한 이해는 가장 낮았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 이해에 대한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Letters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소희;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139-154
    • /
    • 2008
  •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 적용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문자에 대한 이해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292명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상위 수준의 문자 사용 유형일수록 정답률이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의 문자 사용에 제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의 학생들만이 문자를 특정한 미지수로 여기거나 일반화된 수로 여길 수 있었다. 약 40%의 학생들이 문자 이해 수준 3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문자 이해 수준별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수 교수 학습 방향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