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icum dichotomifloru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미국개기장의 식물화학적 성분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aux)

  • 배종진
    • 생약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5-288
    • /
    • 2017
  • A lignan and four flavonoid derivatives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aux (Gramin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pinoresinol (1), tricin (2), luteolin (3), luteolin-4'-O-${\beta}$-D-glucopyranosde (4) and luteolin-7-O-${\beta}$-D-glucopyranosde (5), respectively, by spectroscopic analysis.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미국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의 발아(發芽) 및 출아(出芽)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Tall Panicum(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 김민;심상인;이상각;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6-153
    • /
    • 1998
  • 본(本) 실험(實驗)은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시 문제가 되는 잡초(雜草) 중(中) 미국개기장의 발아(發芽)에 있어서 변온(變溫)과 저온층적처리(低溫層積處理)시 휴면타파(休眠打破) 후(後) 발아양상(發芽樣相), 수분(水分) 포텐셜 감소에 따른 발아(發芽)와 초기(初期) 생육(生育), 수위(水位)에 따른 출아(出芽) 양상(樣相)과 담수시(湛水時) 생존(生存)정도 등을 알아보았다. 1. 미국개기장을 각각 21, 28, 42일간 저온층적처리(低溫層積處理) 후(後)$25^{\circ}C/15^{\circ}C$의 변온(變溫)에서 발아율(發芽率)은 각각 1, 35, 44%였고, 발아속도(發芽速度)는 0.6, 24.4 30.0로서 6주 정도의 저온층적(低溫層積)으로 미국개기장의 휴면(休眠)이 많이 타파(打破)되었다. 2. 미국개기장과 돌피의 발아율(發芽率)은 변온(變溫)($30^{\circ}C/20^{\circ}C$)에서 97.6%와 94%였고, $20^{\circ}C/10^{\circ}C$에서는 34.6%와 90.4%였다. 발아속도(發芽速度)는 $30^{\circ}C/20^{\circ}C$에서는 77.3과 75.9였고, $20^{\circ}C/10^{\circ}C$에서는 27.3과 9.1로서 저온(低溫)에서 돌피가 미국개기장에 비해 발아(發芽)가 잘 되었다. 3. 수분(水分) 포텐셜 저하에 따라 발아율(發芽率)은 $30^{\circ}C$에서 미국개기장은 -0.3MPa에서는 88.7%였고, -0.6MPa 이후에 급속한 감소를 보였다. 돌피는 -0.8MPa까지는 87% 이상을 보이다가 -0.9MPa에서 급속한 감소를 보였다. $20^{\circ}C$에서는 돌피가 -0.7MPa이후 점차 감소하였고, 미국개기장은 발아(發芽) 적온(適溫) 이하의 온도(溫度) 영향으로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30^{\circ}C$에서 미국개기장은 0MPa에서는 유아장(幼芽長)과 유근장(幼根長)이 각각 1.47mm와 1.23cm였으나, -0.3MPa 이하는 유근장(幼根長)이 우세하였고, 돌피는 -0.6MPa는 유아장(幼芽長)이 길었으나 -0.7MPa 이하에서 유근장(幼根長)이 우세하였다. 4. 미국개기장은 수심(水深)이 깊어질수록 출현(出現) 개체수가 줄어들었는데, 6cm 이상의 수심(水深)에서 출현율(出現率)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담수후(湛水後) 생존율(生存率)은 수심 0cm와 3cm에서는 85.8%와 37.3%였고, 6cm와 9cm수심에서는 각각 15.1%와 18.2%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6, 9cm의 생존유묘수는 0cm에 비해 약 1/5로 감소하였고, 생존(生存) 개체(個體)의 생체중(生體重)과 건물중(乾物重)은 수면(水面)으로부터 3cm에서 9cm까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띠었다.

  • PDF

야생초 미국개기장의 사료작물화 가능성 (Possible Utilization of 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as a Forage Crop)

  • 정승근;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1-358
    • /
    • 1995
  • 1. 노천이장한 경우 발아가 양호하여 단위면적당 입모수가 많았는데, 1992년산 무처리구의 187개/m$^2$에 비하여처리종자는 292개/m$^2$였으며, 1991년산 처리종자구는 78개/m$^2$로 입모가 불량하였다. 2. 생육초기의 생초생산량은 단위면적당 개체수와의 관계가 높았으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서 개체수의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3. 1차 예취시의 예취높이를 5cm로 하였을 때는 10cm에 비하여 생초수량이 높았으나 2차 예취시의 수량은 떨어졌다. 그러나 총수량은 예취 높이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미국개기장은 번종후 40~50일부터 예취를 시작하여 1개월 간격으로 3~4회 예취가 가능하였으며, 10a당 생초수량은 9~10톤, 건초수량은 1.4~1.8톤 이었다. 5. 예취시기에 따른 미국개기장의 생초와 건초수량은 생육기간 및 생육기간의 적산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 =0.711~0.860). 6. 파종기가 빠르고 예취시기가 이를수록 엽신의 비율이 높았다. 7. 미국개기장은 조단백질 16.32%, 조지방 24.01%, 조회분 11.59%를 함유하고 있어서 다른 화본료 사료작물에 비하여 품질이 좋은 편이었다.

  • PDF

낙동강 리모델링 농경지 수분함량별 잡초발생 특성 분석 (Ecological Traits of Weed Flora with Different Soil Moisture in Remodeled Paddy Field of Nakdong River)

  • 황재복;윤을수;정기열;박창영;최영대;전승호;오인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1호
    • /
    • pp.8-14
    • /
    • 2013
  • 낙동강 유역 리모델링 농경지의 토양수분 함량별 잡초발생 양상과 군락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한 3지역의 pH는 6.3~6.4이었으며 EC는 0.1~0.4 ds $m^{-1}$이었다. 토양수분 함량은 사몰포가 14.6%로 가장 높았으며, 김해가 9.8%, 칠현이 5.6% 순이었다. 또 토양화학성은 사몰포가 유기물 함량은 14.8 g $kg^{-1}$로 김해와 칠현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으며, 유효 인산의 함량은 48.0 mg $kg^{-1}$이었다. 리모델링 농경지 및 논뚝에서 발생한 초종은 전체 23과 62종으로 과별로는 국화과가 11종(17.7%)으로 가장 높았으며, 화본과 9종(14.5%), 콩과 8종(12.9%), 방동사니과 7종(11.3%)이었고, 기타 27종(43.6%)이었다. 초종별 우점으로는 사몰포가 피(100%) > 알방동사니(9.0%) > 미국가막사리(3%) > 미국개기장(4.8%) > 한련초(4.4%) 순이었고, 김해는 바랭이(100%) > 미국개기장(49.4%) > 피(48.8%) > 여뀌(27.1%) > 좀명아주(10.2%), 칠현은 미국개기장(90.8%) > 바랭이(66.7%) > 참방동사니(8.6%) > 미국가막사리(7.6%) 순이었다. 잡초 건물중은 사몰포에서 535.4 g $m^{-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칠현에서 346.2 g $m^{-2}$이었으며, 김해에서는 316.1 g $m^{-2}$이었다. 잡초형태별로는 사몰포가 화본과 > 광엽잡초=방동사니과 순이었으며, 김해와 칠현은 광엽잡초 > 화본과 > 방동사니과 순이었다. 잡초군락의 평균유사성 계수는 18.1%로 토양수분 함량별로 다른 조사 지점간에 81.9%로 초종들의 구성에 차이가 많았다.

백두대간 생태숲 조성예정지의 관속식물상과 활용방안 (Practical Plan and Vascular Plants Around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in Baekdudaegan)

  • 유주한;나정화;조현주;구지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2-5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of the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in Kohang-ri, Sangri-myeon, Yecheon-gun, Gyeongsangbuk-do,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ere recorded as 392 taxa; 85 families, 254 genera, 341 species, 45 varieties and 6 form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5 taxa; Salix hallaisanensis, Clematis trichotoma, Chrysosplenium barbatum, Philadelphus schrenckii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 taxa; Iris ensata var. spontanea and Aristolochia contort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5 taxa; Bromus tectorum, Dactylis glomerata, Panicum dichotomiflorum, Bilderdykia dumetora and so forth. In the results of analysis by floristic region, the specific plants were summarized as 31 taxa; Matteuccia struthiopteris, Oxalis obtriangulata, Betula davurica, Cimicifuga heracleifolia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4 taxa; Salix hallaisanensis, Aristolochia controrta, Clematis trichotoma and Chrysosplenium barbatum. The plant resources were 186 taxa of ornamental plant, 241 taxa of edible plant, 274 taxa of medicinal plant and 202 taxa of others.

충남 미호천 일대 약용식물의 생태적 분포 (Ecolog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in Miho Stream, Korea)

  • 송홍선;서정석;남윤규;안영섭;박충범;김성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07-413
    • /
    • 2011
  • This study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to evaluate ecolog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in Miho Stream of Korea. Totality 463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appeared in lower part of Miho Stream. Medicinal plants were distributed 253 taxa, which were 54.6% of the total vascular plants appeared. Medicinal plants of official drug compendium(Korean pharmacopoeia) were 85 taxa. Medicinal plants were distributed most of the forest area, and followed field surrounding, stream surrounding and paddy surrounding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of life form hemicryptophyte was the most frequent. Plant community of appearing area of medicinal plants was classified into Salix koreensis, Phragmites japonica, Echinochloa crusgalli, Artemisia selengensis, Miscanthus sacchariflorus, Setaria faberii, Panicum dichotomiflorum, Bidens frondosa, Humulus japonicus,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Eleocharis kuroguwai, Erigeron acris,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Quercus acutissima, Quercus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nd Castanea crenata community. Medicinal plants in plant communities that occur frequently were Humulus japonicus, Corylus heterophylla and Liriope spicata.

경상남도 양산시 주요지역의 관속식물상과 관리방안 - 천태산, 낙동강습지, 법기수원지, 양산천, 천성산을 중심으로 -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in the Major Sites of Yangsan-si, Gyeongsangnam-do - Focusing on Mt. Cheontae, Nakdong River Wetland, Beopki Catchment, Yangsan Stream and Mt. Cheonseong -)

  • 오현경;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1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ing the biodiversity of urban ecosystem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ajor sites of Yangsan-si, Gyeongsangnam-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22 taxa including 110 families, 314 genera, 459 species, 4 subspecies, 46 varieties and 13 forms. The rare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Aristolochia contorta, Drosera rotundifolia, Potentilla discolor, Viola albida and Hydrocharis dubia. The endemic plants were 13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Carpinus laxiflora, Stewartia pseudocamellia, Weigela subsessil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0 taxa including Caltha palustris, Caryopteris incana, Ilex macropoda, Monochoria korsakowii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4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Lepidium virginicum, Solanum americanum,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mbrosia trifida, Aster pilosus and Paspalum distichum.

한강지천의 생태계 구조와 관리- 수입천과 안양천을 대상으로- (Ecological structure and management of a creek of the Han River -In the case of sooipcheon and anyangcheon-)

  • 최송현;이경재;류창희;황성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2-143
    • /
    • 1995
  •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on the Han River from 1982 to 1986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more serviceable places such as a riverside parks and autoroads and so on. However because of the river development, river ecosystem and function were destroyed. And many local autonomous entity follows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as if it is a model case. To investigate the impact that the river development effects the river ecosystem, two sites which are Anyangcheon and Sooipcheon were surveyed in the right of around plants ecosystem and structure. Two sites are creek of the Hna River. Sooipcheon maintains the sound ecosystem. It has sufficient carrying capacity for the river recreation activity. The reason is that a hydrophyte absorbs nutrients from the stream and the river ecosystem meets the around terrestrial one neturally. Number of hydrophyte increase from upstream going forward to downstream. Number of hydrophyte increase from upstream going forward to downstream. Anyangchoen is seriously polluted stream out of many branch stream of the Han river. In the upstream various woody plants and hydrophyte appeared. But from the river developed area at midstream, naturalized plants dominated such as Bidens tripartita, panicum dichotomiflorum etc. To manage the creek ecologically, hydrophyts were introduced in partly for natural purification after rehavilitate the riverside, and steadily monitoring is demanded.

  • PDF

수로와 강변의 습지에 발생한 수생잡초의 분포 및 방제 현황 (Distribution and Control of Aquatic Weeds in Waterways and Riparian Wetlands)

  • 변종영;김상우;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9
    • /
    • 2015
  • 수로, 하천, 호수, 강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생잡초는 왕성한 생장으로 관개, 배수에서 유속 감소, 수생 생태계에 영향 등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수생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로, 하천, 강 주변 습지와 수중에서 발생하는 수생잡초와 침입식물의 분포 및 방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수생잡초의 효과적인 관리대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수로, 저수지, 호수 주변의 수생잡초는 갈대, 나도겨풀, 줄, 망초, 개망초, 소리쟁이, 개기장, 미국가막사리, 부들, 주요 강변의 습지에서는 바랭이, 갈대, 소리쟁이, 쑥, 환삼덩굴, 피, 미국가막사리, 고마리가 우점하였다. 수로 및 호수에서 발생한 침수잡초는 검정말, 나자스말, 대가래, 말즘, 붕어마름, 생이가래, 마름이 우점하였다. 습지에서 외래잡초는 토끼풀, 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메귀리, 돼지풀, 도꼬마리, 미국개기장, 소리쟁이가 우점하였다. 수생잡초 방제는 기계적, 화학적, 생물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습지에서 수생잡초와 외래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수생잡초의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기계적, 화학적 방제를 포함한 종합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