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ndemic Prevention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3초

Towards a Dialogic Approach: Crisis Communications and Public Reactions in the World's Most Densely Populated City to Tackle COVID-19

  • Yuncg, Juliana Qi Xuan;Cheong, Angus Weng Hin;Seng, Athena I No;Li, Kim Jing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265-296
    • /
    • 2020
  • Macao, a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China, has been able to maintain the records of zero deaths and keep confirmed cases under 50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for more than half a year as of July 2020, despite being the world's most densely populated city. The current paper utilizes the dialogic public relations theory to analyze the situation using both literature review on how the various government actions and strategies during the pandemic were corresponding to the theory, and a quantitative random digital dialing (RDD) telephone survey, with a sample of 502 Macao residents aged 18 or above, to study the public reactions towards the government pandemic prevention actions. Survey results show a high level of public satisfaction towards epidemic prevention performance, as well as some forms of collaborative information redissemination behavior in social media platforms.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from dialogic theory found that spirit of mutual equality,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immediacy of presence in crisis time, engagements with stakeholders through maximum media channels and networks, supportiveness to public with both useful information and practical social support like subsidy program, as well as commitment to transparent and genuine communication, are all the dialogic communications strategies that describe what the Macao government has done in the crisis of COVID-19. The dialogic strategies that could be learned from the Macao government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similar urbanized and densely populated cities in other territories.

코로나19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자유권 제한에 대한 '해악의 원리'의 적용과 확장 - 2020년 3월 개정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Harm Principle to the Restrictions of Liberty in the COVID-19 Public Health Crisis: Focusing on the Revised Bill of the March 2020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 유기훈;김도균;김옥주
    • 의료법학
    • /
    • 제21권2호
    • /
    • pp.105-162
    • /
    • 2020
  • 감염병의 팬데믹 상황 속에서, 국가의 방역 대책은 안보로서의 속성을 지니며, 공중보건과 공공의 이익의 이름으로 개인의 자유에 대한 일정한 제한이 정당화되어왔다. 2020년 3월, 대한민국 국회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으며, 이를 통해 '감염의심자'의 검사 및 격리거부에 대한 처벌의 법적 근거를 신설하고 격리위반과 치료거부의 벌칙을 상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행위의 정당성 판별기준에 대한 자유주의 법철학의 논변과 원리들을 검토하고, 피해자임과 동시에 매개체로서의 속성을 지니는 감염병 환자(patient as victim and vector)에 대한 자유제한원리의 적용은 파인버그(Joel Feinberg)가 제시한 '스스로에 대한 해악(harm to self)'과 '타인에 대한 해악(harm to others)'이 중첩되는 지점에 있음을 개념화하였다. 파인버그가 제기한 자유제한원리(liberty-limiting principle)를 불확실성(uncertainty)을 지니는 팬데믹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악에서 리스크(risk)로 해악의 원리를 확장시킬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해악에서 리스크로의 전환은, 불확실한 위기상황 하에서 국가가 사전주의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을 통해 개인의 자유를 사전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정당화함과 동시에, 충분한 근거 없이 개인의 행위를 처벌의 대상으로 삼는 과잉범죄화(overcriminalization)의 우려를 낳는다. 본 글에서는 리스크를 지닌 개인에 대한 사전적 자유제한을 둘러싼 사전주의의 원칙과 과잉범죄화의 우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원칙들을 검토한다. 이어서 '타인에 대한 해악' 원칙이 공익과 공중보건 상황에 적용되기 위한 두 번째 확장으로, 인구집단 개념으로의 전환을 다룬다. 팬데믹과 같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는 '개인'이 아닌 '인구집단'을 하나의 단위로 고려하는 인구집단 접근법(population approach)이 필요하며, 나아가 앞선 두 논의를 결합한 '인구집단에 대한 리스크(risk to population)'가 팬데믹 상황에서 해악의 원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논문의 마지막에서는, 앞서 개념화한 '확장된 해악의 원리' 하에서 개정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자유제한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격리위반 처벌조항은 '인구집단에 대한 리스크'에 대한 자유제한에 해당하여, 강제검사 또한 무증상 감염자라는 감염병의 특성에 의거하여 '확장된 해악의 원리'의 차원에서는 정당성이 부정되지 않음을 보일 수 있었다. 그러나 치료거부 처벌조항은 전통적 해악의 원리뿐만 아니라 '인구집단에 대한 리스크'라는 팬데믹의 특성을 고려한 '확장된 해악의 원리' 하에서도 정당화되기 어려우며, 추가적 단서조항을 포함하여야만 정당화 근거를 획득할 수 있을 것임을 논증하였다.

How Did the COVID-19 Pandemic Affect Mobility, Land Use, and Destination Selection? Lesson from Seoul, Korea

  • Lee, Jiwon;Gim, Tae-Hyoung Tommy;Park, Yunmi;Chung, Hyung-Chul;Handayani, Wiwandari;Lee, Hee-Chung;Yoon, Dong Keun;Pai, Jen Te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4호
    • /
    • pp.77-93
    • /
    • 2023
  • COVID-19 팬데믹은 정부의 예방 및 통제 조치, 사람들의 위험 인식의 변화, 그리고 생활 방식의 변화를 통해 상당한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정부의 방역정책과 도시공간의 잠재적 감염 위험에 대한 우려는 교통수단과 도시공간에 대한 선호를 크게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COVID-19 팬데믹이후에도 도시 공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에 따른 도시민의 이동수단 선호와 도시공간 이용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공간이 현재와 미래의 감염병에 적응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잠재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고는 이동 수단과 도시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가 팬데믹 이전, 팬데믹 중, 팬데믹 종료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팬데믹 기간 동안 안전하다고 인식되는 개인 소유 차량과 녹지 공간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이동수단과 도시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이동수단과 도시 공간에 대한 유행 중 선호도는 팬데믹 전에 비해 5배 가량 낮게 나타났다. 팬데믹 당시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던 녹지 공간과 의료시설이 팬데믹 이전 선호도 수준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도시 공간 요소들은 뉴노멀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본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도시민의 이동 수단과 도시 공간 선호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The prevalence and prevention strategies of pediatric obesity: a narrative review

  • Mi Seon L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1권3호
    • /
    • pp.141-149
    • /
    • 2024
  • Pediatric obesity has rapidly increased globally over the past few decades, including in Korea. We aimed to discuss trends in the prevalence of pediatric obesity and effective prevention strategies. Its prevalence has markedly increased in most high-income nations. According to recent reports, this increase has slowed in developed countries, but the levels remain alarmingly high. In Korea, the rate of pediatric obesity has surged notably since the 1990s; however, since the 2000s, this increase has become more gradual. According to recently published 2017 growth charts, the prevalence of pediatric obesity in Korea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data source. The National School Health Examination data showed that pediatric obesity gradually increase from 11.5% in 2014 to 15.1% in 2019,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it sharply increased to 19% in 2021.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prevalence of pediatric obesity gradually increased from 10.8% in 2017 to 13.6% in 2019. This trend, which accelerated sharply to 15.9% in 2020 and 19.3% in 2021, was especially severe in boys and older children. Pediatric obesity not only affects health during childhood but also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obesity and associated health conditions in adulthood. Despite ongoing research on treatment options, obesity prevention and control remain challenging. Hence, prioritizing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pediatric obesity through healthy eating habits and lifestyles is crucial. This requires intervention at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levels.

The Changes of Consumption Behavior in Bengkulu, Indonesia: Case of Purchasing Corona Prevention Products Through Indirect Ditribution Channel

  • Hayu, Rina Suthia;Sulistiyawan, Edy;Salim, Muhartini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11호
    • /
    • pp.27-36
    • /
    • 2021
  • Purpose: COVID-19, government regulation and social media have changed many aspects of life including consumption behavior.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by spreading massive news about COVID-19 also have the impact toward emotions threat,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value of consumption behavior in Bengkulu Province, Indonesia.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changes in the consumption behavior, mainly for purchasing of corona prevention products through indirect distribution channe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research was descriptive quantitative using the IPA method with sample of people in Bengkulu Province. This study obtained 208 respondent data from questionnaires and tes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ith corrected-item total correlation method.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COVID-19 pandemic and government regulation variable were in quadrant II, in quadrant III there were social media variable, emotions threat and perceived risk. Meanwhile, in quadrant IV there were perceived value variable.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VID-19 and government regulation are the most variable that influence people to buy corona prevention product, meanwhile perceived value is the less influence variable. Therefore, government and marketers have to prepare strategic plan in order to raise people awareness to avoid corona by buying corona prevention product.

코로나19 초기 유행 시 간호대학생의 감염예방행동 수행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Preventive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in the Early Pandemic Period of COVID-19)

  • 안준희;이창금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1호
    • /
    • pp.21-30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assess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toward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1 through October 1, 2020, involving a total of 235 third and fourth year of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in U and K city.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knowledge, attitudes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toward the COVID-19 we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Results: Influencing factors fo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were gender (β=0.21, p<.001), attitudes toward infection control (β=0.38, p<.001), education experience regarding COVID-19 (β=0.21, p=.004), and a visit to the hospitals or the areas where the COVID-19 case has occurred or been admitted (β=-0.18, p=.003) which explained 23.6%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regarding nursing students' knowledge about COVID-19, attitudes toward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during the initial outbreak of COVID-19.

Digital Response to the COVID-19 in Korea: Lessons for the Next Infectious Disease Outbreak

  • Ahn, Sun-Ju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4-339
    • /
    • 2022
  • The digital response is an excellent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 to minimize person-to-person contact when a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is rapidly spreading.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se technologies. Here, we analyze docum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existing research, and news articles to provide a qualitative review of the digital response, and new concepts explored by Korea during coronavirus disease 2019, to apply them for the next infectious disease outbreak.

감염병 팬데믹에서의 '리스크' 개념과 방역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의 구체화 -집합제한조치에 대한 국내외 판결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Risk' and the Proportionality Review of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Measures)

  • 유기훈
    • 의료법학
    • /
    • 제23권3호
    • /
    • pp.139-207
    • /
    • 2022
  •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방역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의 다양한 자유제한 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감염병 예방'이라는 공익을 근거로 국가의 과도한 기본권 제한이 무분별하게 허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국가의 개인에 대한 자유제한의 허용가능한 한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주요한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감염병 팬데믹'이라는 현상이 지니는 난해한 특성으로 인하여, 감염된 개인으로 인해 초래되는 '공익의 훼손'은 비례성 심사와 같은 법적 평가의 분석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감염(의심)자가 타인을 감염시키고, 감염시킨 타인을 통한 감염의 연쇄로 인구집단으로 감염이 퍼져나가는 현상은 오직 '확률적'으로만 예측되는데, 그러한 '확률적 불확실성'의 결과로 초래되는 '감염병 리스크(risk)'를 어떻게 법적 분석의 대상으로 다룰지가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틀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감염병 팬데믹하의 감염(의심)자의 리스크는 법적 차원에서 구체적이고 엄밀하게 분석되지 못하였고, 감염병 팬데믹하의 기본권 제한 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 또한 '공익 보호의 중대성'과 '개인의 기본권 제한'이라는 추상적 차원의 비교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① 감염병 팬데믹이라는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리스크'를 어떻게 구체화하고 분석의 대상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고, ② '리스크' 개념의 구체화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기본권 제한 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의 세부 심사기준을 확립하여, ③ 감염병 팬데믹하 방역조치의 정당성을 보다 엄밀히 판단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확보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고전적 해악 개념이 감염병 팬데믹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선행연구를 발전시켜 '해악'에서 '리스크'로의 개념 확장을 시도하였다. 또한 감염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며 인구집단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법적으로 분석가능한 대상으로 포섭하기 위해, 감염병 역학의 '재생산지수' 논의를 접목하여 '인구집단에 대한 리스크'를 법적으로 분석가능한 대상으로 정립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 비례성 심사의 방법론에 2장의 이론적 논의를 접목하여,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국가의 기본권 제한 조치에 대한 과잉금지원칙의 구체적 심사기준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단의 적합성 심사에서는, 공익에 대한 훼손이 '확률적'으로 나타나는 감염병 팬데믹의 경우에 '공익에 대한 수단의 인과적 기여'를 평가하는 구체적 방식을 제시하였다. 피해의 최소성 심사는 '개입 방식에 있어서의 피해의 최소성'과 '규율 대상의 범위에 있어서의 피해의 최소성'으로 나누어 검토하였으며, 법익의 균형성 심사에서는 '인구집단에 대한 리스크' 방지의 법익과 '개인의 자유제한' 초래의 법익 사이의 비교형량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단지 '감염병 팬데믹의 리스크가 중대하다'라거나 '리스크가 불확실하다'는 것을 근거로 비례성 심사를 건너뛰어서는 안 되며, 해당 방역조치로 인한 자유제한과 공익 훼손의 리스크 저감 사이의 비례적 관계를 명확히 논증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4장에서는 2장의 '리스크'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3장의 감염병 팬데믹에서의 방역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기준 논의를 종합하여, 감염병 팬데믹하 집합제한조치의 정당성을 검토하고, 국내외 판례에서의 논증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일부 판례에서는 비례성 심사를 누락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으며, 세부적 논증을 제시한 판례의 경우, 해당 논증이 3장에서 제시한 비례성 심사기준을 통해 보다 엄밀하게 판단되고 해석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부산 및 울산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IDS in Pusan and Ulsan Areas)

  • 신영희;홍영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42
    • /
    • 1996
  • Given the global impact of the AIDS pandemic, it is necessary to take every measure to prevent an epidemic of this disease in Korea. The only available strategy is prevention. Considering college students as a potential risk group, this study examined their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AIDS. In this study, 399 students from three colleges in Pusan and Uoolsan were examined for their attitudes to, and knowledge of AIDS. Findings indicate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90%) had basic knowledge on the transmission and the prevention of the disease. However, most of them, including nursing students, lacked knowledge as to the etiological agent, major symptoms and available diagnostic techniques. To the questions designed to examine social attitude towards AIDS patients, the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view AIDS patients as responsible for their own illness. Interestingly, they showed sympathy to their imaginary friends and relatives suffering from AIDS. The study findings suggest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IDS educational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 PDF

Respiratory Review of 2012: Pneumonia

  • Yoon, Young-S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3권2호
    • /
    • pp.77-83
    • /
    • 2012
  • Pneumonia is the cause of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despite advances in diagnosis and antibacterial treatment. Pneumonia is often misdiagnosed and mistreated up until recently. Recent classification of pneumonia consists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health care-associated pneumonia, hospital-acquired pneumonia, an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The etiology, risk factors, and treatment are different among them. This article briefly introduces new concepts and ideas in biomarkers, diagnosis, treatment, prognosis, and prevention of pneumonia during the past 2 years. One of the most frequent subjects of recent papers was those about pandemic H1N1 in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