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te, Hard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8초

편도암 수술후 대흉근피판을 이용한 결손부위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Defect after Resection of Tonsillar Carcinoma Using Pectoralis Major Myocutaneous Flap)

  • 최은창;이정준;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6
    • /
    • 1995
  • 저자들은 14례의 구인두암례에서 원발병소를 절제한 후 그 결손을 대흉근피판을 이용하여 동시에 재건하였다. 합병증으로는 근피판의 전괴사가 1례, 부분괴사가 3례, 창상감염이 1례, 혈종 2례, 하악골수염 및 불유합이 각 1례, 공여부위의 혈종이 1례 있었다. 인두피부누공 3례는 피판의 전괴사 및 부분괴사의 3례이었으며 변연절제(debridement)시 인두피부누공을 만든 예이었다. 8례에서는 합병증이 없었으나 6례에서 총 12건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합병증은 변연절제를 제외하고는 이차적인 재건술식 없이 치유되었다. 편도주위의 결손은 재건을 필요로하는 면적은 많으나 그 부피가 작아 재건이 어려웠으며 경부피부 혹은 구강 등 타 부위보다 합병증이 많음을 경험하였으나 대흉근피판은 안전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재건방법이었으며 특히 구강과 경부가 통하는 경우에도 경동맥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하지만 편도주위의 재건에는 피판이 필연적으로 접히게 되므로 대흉근피판의 부피가 큰 것이 단점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편도주위의 재건에 있어서는 대흉근의 두께 및 피하조직의 두께, 근피판의 적응, 디자인, 술기, 수술후 처치 등 선택에 보다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를 위하여 저자들이 사용하는 bilobular모양이 피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 PDF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Effects of a Tongue Self-Resistance Exercis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Stroke: Case Report)

  • 남경완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43-5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발적 혀 저항 운동을 적용하여 삼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 3주간, 2014년 2월 3주간 각각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였다. VFSS검사 이후 환자의 동의를 받고 매일 1회기씩 주 5회로, 3주 동안 진행하였다. 자발적 혀 저항운동은 혀 내밀기, 혀 옆으로 밀기, 혀로 입천장 밀기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한 회기 당 각각 운동별로 10회를 1세트로 총 3세트를 진행하였다. 결과: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삼킴 장애 정도에서 VFS점수가 하강한 것으로 보아 삼킴 기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발적 혀 저항 운동 프로그램은 FOIS점수가 향상된 것을 바탕으로 구강섭취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환자 스스로 저항을 적용하는 자발적 혀 저항운동을 제공하였을 때 이들의 삼킴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이용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Using a Removable Anti-Nociceptive Appliance)

  • 노병윤;안종모;윤창륙;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2
  •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은 특기할 임상적인 증상 없이, 구강 내에 나타나는 병적인 작열감 또는 통증을 지칭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주로 혀 전방 그리고 측방에 증상이 나타나며, 경구개 전방, 입술 등의 다른 구강점막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원인은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과 외상 같은 국소적 요인, 내분비 변화, 당뇨, 영양결핍(비타민, 아연 등), 철분 또는 엽산 결핍과 관련된 빈혈과 같은 전신적인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안, 우울, 암공포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신경학적 병변에 의한 신경병변성 통증의 특성을 나타냄을 보고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는 알려진 원인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 또한 여러 각도로 시행되고 있다. 그 중, clonazepam의 국소적 적용, capsaicin, alpha lipoic acid 투여 등의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며, 저주파 에너지 레이저 조사, 침술요법과 같은 치료법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혀를 국소적 자극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증상을 완화시킨 사례들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하악 치아에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장착하여 증상이 개선된 증례를 소개하고, 구강 이상악습관과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연관성 및 이에 대한 치료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난치성 궤양성 소장결장염 영아의 구강 내 증상과 감별진단: 증례보고 (Oral Symptoms of Intractable Ulcerating Enterocolitis of Infancy and Differential Diagnosis: A Case Report)

  • 민효선;최형준;이제호;최병재;이효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0-84
    • /
    • 2014
  • 난치성 궤양성 소장결장염은 영아에게서 드물게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으로 1991년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난치성 궤양성 소장결장염은 주로 영아기에 구강 내 궤양에서 시작되어 항문주위 및 장 질환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갖는다. 생후 18일 된 환아가 구강 내 궤양으로 감별할 수 있는 전신질환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과로 의뢰 되었다. 당시 구강 내 궤양을 제외한 특이 사항은 없었으며 3주 뒤 혈변이 발생하였다. 대장 내시경 상에서 대장 내 거대 궤양이 발견되었으며 여러검사 결과 난치성 궤양성 소장결장염으로 진단되었다. 치과의사가 난치성 궤양성 소장결장염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은 면역 억제제에 반응이 없는 본 질환에 대해 결장절제술을 신속하게 시행함으로써 증상의 완화와 질병의 진행을 막는데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난치성 궤양성 소장결장염 환아에게서 구강 내 궤양이 가장 먼저 발현되므로 이 질환의 증상과 특징에 대해 아는 것은 매우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상악 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후 상악 구치부 회전양상의 평가 (The evaluation of rotational movements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three dimensional images in cases of extraction of maxillary first premolar)

  • 정득룡;장연주;전윤식;정상혁;이성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1-458
    • /
    • 2005
  •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의 중첩만으로는 교합평면상의 치아이동을 알 수 없으며, occlusogram 역시 촬영 및 중첩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석고모형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3차원 영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중첩된 영상을 통해 상악 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후 상악 구치부의 회전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여성 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치료 전 석고모형 및 치료 완료 후 석고모형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상악 경구개면을 기준으로 두 영상을 중첩한 다음, 치료 전후의 상악 구치부의 회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치부의 회전 양상은 매우 다양하였다. 그 주요 원인은 치료 전 상악 구치의 다양한 회전 상태와 치열궁 및 치아의 형태학적인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발치공간 폐쇄 시 일어나는 구치의 회전 양상을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치료 전후에 일어나는 구치의 회전을 초기 배열 전후의 구치 회전, 발치공간 폐쇄 전후의 구치 회전, 그리고 마무리 단계 전후의 구치 회전으로 세분하여 평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Clinical analysis and review of literature on pilomatrixoma in pediatric patients

  • Hu, Ju Long;Yoo, Hyokyung;Kwon, Sung Tack;Kim, Sukwha;Chung, Jee Hyeok;Kim, Hyeonwoo;Kim, Jinhyun;Yu, Na Hee;Kim, Byung Ju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8-293
    • /
    • 2020
  • Background: Pilomatrixoma is a benign tumor that originates from the hair follicle matrix. It usually presents as a hard, slow growing, solitary mass that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other skin mas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inically analyze a case series of pilomatrixoma in pediatric patients from Korea. Methods: A total of 165 pediatric patients from 2011 to 2018 with a histological diagnosis of pilomatrixoma were included.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ient demographics, number and location of the mass, clinical and imaging presentation, and postoperative outcomes. Results: There were 61 male and 104 female patients with 152 solitary and 13 multiple pilomatrixomas. Among solitary pilomatrixomas, the lesion commonly occurred in the head and neck (84.2%), followed by upper limbs (11.2%), lower limbs (3.3%), and trunk (1.3%). The pilomatrixoma lesion presented as the following types based on our clinical classification: mass (56.02%), pigmentation (25.31%), mixed (12.65%), ulceration (4.82%), and keloid-like (1.2%). Ultrasonography showed a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 (95.56%). There were no specific complications observed except for two cases of recurrence. Conclusion: Pilomatrixoma has various clinical feature presentations and commonly occurs in the head and neck. Ultrasonography is a helpful diagnostic tool.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is the main treatment method with a low recurrence rate.

근단변위판막술과 함께 유리치은이식술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주변 각화치은을 증대시킨 2건의 증례 보고 (Free gingival graft in combination with apically positioned flap for establishment of keratinized gingiva around the implants: Report of two cases)

  • 백원선;차재국;이재홍;이중석;정의원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6-305
    • /
    • 2016
  • Narrow zone of attached gingiva and shallow vestibule around the implants might contribute to difficulty of cleasing, periimplant mucositis caused by incomplete cleansing and further peri-implantitis. The aim of this case report is to present modification of soft tissue biotype around the implants by free gingival grafts according to timing of surgical intervention and shape of free gingiva. A 44 year-old male patient had a missing area on lower right second molar area with 1 to 2 mm of narrow attached gingiva zone and wanted to be treated by implant placement. In radiographic analysis, there was enough alveolar bone to install an implant, free gingiva from hard palate was grafted following implant placement using double layer flap.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l was increased to 4 to 5mm and well maintained during 5 months of follow up. A 69 year-old female patient also had a missing area on lower right first and second molar area with 1 to 2 mm narrow attached gingiva. Since she had systematically angina pectoris and dental phobia, minimal invasive free gingival graft after implants placement was planned. After 2 months of implant surgery, free gingival graft surgery was performed with healing abutments connection. The grafted gingiva was composed of two strip shaped free gingiva, and they were immobilized by periodontal pack.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l was increased to 4 to 5mm and well maintained during 10 months of follow up. With prosthesis delivery, the patients recovered ideal periodontal environment around implants and masticatory function. In conclusion, periodontal health and masticatory func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implant placement and free gingival graft.

  • PDF

상악골에 발생한 화골성 섬유종의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A CASE REPORT AND RIVIEW OF LITERATURE ON OSSIFYING FIBROMA IN MAXILLA)

  • 이상철;김여갑;류동목;윤옥병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29-39
    • /
    • 1989
  • 화골섬유종은 비교적 천천히 증식하는 종양으로 발견전 몇년간은 나타나지 않는다. 악골에서 화골섬유종의 잘 경계되어진 성질은 완전한 제거가 용이하여 이로인한 치료결과도 양호하다. 그러나 때때로 유년기 하악에서 이 종양의 골격적 양상을 볼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종양의 침윤적인 성장 때문에 건강한 조직을 포함한 절제가 적용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34세의 여성으로 약 두달전 우측 안모의 점진적인 팽윤을 인지하였으며 상악우측 구치부의 간헐적인 동통을 호소하였고 종물은 상악결절부위 및 우측 상악동의 전측방벽까지 팽윤되어 있었다. 방사선적 조사에서 우측 상악동의 후측방벽과 전방벽 그리고 우측 치조돌기와 경구개 까지의 파괴와 함께 다수의 치밀한 구형의 석회화물질을 함유한 종물이 관찰되었다. 종물은 최근의 빠른 침윤성 성장을 고려하여 부분적 상악골 절제술로 제거되었으며 6개월간 술후검사에서 환자는 특이한 술후 이상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두부 규격 방사선 계측학적 기여 인자 (Cephalometric Predisposing Factors of the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 서은우;이호경;한민우;서미현;김현준;송승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61-166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erform a cephalometric comparison between the patients with and without obstructive sleep apnea (OSA).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SA in the lateral cephalogram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Fifty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Sleep Disorder Clinic at the Ajou University Hospital and evaluated with the polysomnograph (PSG) and cephalogram,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had the apnea-hypopnea episode over 5 times per hour (apnea-hypopnea index $[AHI]{\geq}5$) were diagnosed as OSA after the overnight PSG. To evaluate the hard and soft tissue profiles, the cephalometric radiograms were taken at the maximal intercusp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tient's age,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AHI was inspected in the OSA and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OSA and control group was evaluated (Mann-Whitney U Test). The cephalometric influencing factors to OS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ly using SPSS statistics. Results: The OSA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BMI than the control group. The mean lower facial height (ANS-Me) was longer in the OSA group;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detected in the anteroposterior craniofacial measurements. The distance between mandibular plane and hyoid bone of the OSA group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yoid position (MP-Hyoid)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HI (P<0.001). However, the measurements of oropharyngeal airwa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hypothesis, that the antero-posteriorly narrow oropharyngeal airway may aggravate the airway resistance and give rise to a higher AHI, was rejected in the study.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lateral cephalogram may be utilized as a useful method to evaluate OSA. The patients with a lower hyoid position can be expected to have higher risks of OSA. However, a comprehensive intraoral inspection, including the soft palate and tonsilar hypertrophy, is emphasized, as the lateral cepahlogram cannot visualize the oropharyngeal status completely.

베체트 병의 구강궤양에 대한 국소인자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Factors on the Oral Ulcers Observed in Behcet s Disease)

  • Myoung-Chan Kim;Chong-Youl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7권2호
    • /
    • pp.75-86
    • /
    • 1992
  • Of the many first-occuring major manifestations of Behcet's disease, the oral ulcer is most frequently observed, shows the highest mean recurrence rate, and the longest mean duration period.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chanical irritation buy local factors and the recurrence of oral ulcers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re is a correlation. The subjects chosen for the study were 81 patients who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Oral Diagnosis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the Behcet clinic of Severace Hospital after being diagnosed as Behcet's disease patients. 1. By Shimuzu's classification, possible type was the most numerous with 55.55% ; while suspected type was 19.76% ; incomplete type, 17,28% ; and complete type, 7.41% were observed in that order. The male to female ration was 1 to 1.61, and the average age of onset was 17.63 years. 2. Oral ulcers developed most frequently on the tongue (48.28%), and lip(23.15%), buccal mucosa (20.69%), palate\pharynx(4.43%), and gingiva(3.45%) also showed ulceration. 3. 38.27% of the patients were HSV positive : 27.16% were CRP positive ; 12.34% were ASO positive ; 9.87% were RF positive ; and 3.7% were ANA positive. 4. According to the answers to the survey, fatigue(85.18%) was most frequently associated with Behcet's diseage. Trauma by tooth brushing (22.22%), un specified reasons (20.98%), hard food chewing (12.35%), and irritation by dentition and/or prosthesis (13.58%) were observed in association with Behcet's disease. 23.46% had a history of tonsilitis. 5. Oral ulcers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and buccal mucosa were associated with local irritatants. 6. Oral ulcers on the lip and posterior portion of tongue were not associated with local irritants. Local irritation by dentition and oral ulcer on the anterior part of tongue and buccal mucosa was observed to coexit with one another : in other words, lo9cal factors can act to cause of recurrence of an oral ulcer and to delay the healing process in Behcet's disease. Therefore, elimination of local factors along with systemic therapy must be recommended when treating oral ulc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