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tability tes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소비(國內消費) 쇠고기의 지방질(脂肪質) 성분과 기호성(嗜好性) (Lipid Composition and Palatability of Beef Meats Consumed in Korea)

  • 김영현;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1-296
    • /
    • 1984
  • 국내산 및 수입(輸入) 쇠고기의 지방질(脂肪質)을 분별정량(分別定最)하고 조리(調理)직후 및 조리후 저장(貯藏)중에 일어나는 지방질의 산패(酸敗)및 향미(香味)의 변화과정을 규명하였다. 곰국용과 로스구이용 원료육(原料肉), 조리육(調理肉), 저장육(貯藏肉)에 있어서 총지방질(總脂肪質)과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의 함량은 수입쇠고기보다 국내산 쇠고기에서 더 많았다. 조리 및 저장중 총지방질과 인지방질(燐脂肪質)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쇠고기의 조리방법(調理方法)을 달리하여 관능검사(官能檢査)를 실시한 결과 곰국용 쇠고기와 로스구이용 쇠고기 모두 국내산과 수입육(輸入肉) 사이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있었다. 기호척도(嗜好尺度)에 있어서는 로스구응한 쇠고기의 경우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없었으나 곰국의 경우 조리직후의 국내산 쇠고기와 저장후의 수입 쇠고기 사이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있었다. 조리(調理)후 모든 시료의 TBA값은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나 조리후 저장(貯藏)한 시료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TBA값이 증가함에 따라 관능검사치(官能檢査値)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질소 시비조건에 따른 벼 품종의 미질과 식미특성 반응 (Varietal Response to Grain Quality an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Influenced by Different Nitrogen Applications)

  • 김정일;최해춘;김광호;안종국;박노봉;박동수;김춘송;이지윤;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3-23
    • /
    • 2009
  • 질소수비 및 실비 시용량을 증시하여 미립내 단백질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식미저하와 쌀의 구조적 특성의 품종별 반응을 정밀하게 분석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미 단백질함량은 질소 수비 실비의 증량에 따라 표준구(N6) 대비 $35{\sim}47%$까지 증가하였으며 식미가 낮은 품종일수록 증가 정도가 컸고, 동일한 질소 15kg/10a 수준으로 1,2차 수비가 충분히 준 조건에서도 1차 추비에 비해 실비를 준 경우 유메히까리와 레이호우는 현미 단백질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아밀로스함량은 질소 수비 실비의 증시에 따라 대체로 단백질함량과 반대로 변화정도는 품종간 차이보다 미미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식미 관능총평은 히노히까리 > 유메히까리 > 레이호우 순으로 높았는데 N 12 kg/10a 이상에서 질소 수비 실비 증시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식미가 낮은 품종일수록 저하 정도가 컸고, 모든 식미관능 특성이 아밀로스함량보다 단백질함량 변화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으며 식미가 양호한 품종보다 식미가 낮은 품종에서 단백질함량 변화의 영향이 컸다. 4. 미립의 층위별 분포를 보아 외층에서 내층으로 갈수록 단백질함량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아밀로스함량은 증가하였다. 식미가 양호한 품종이 낮은 품종에 비해 단백질함량의 분포가 겨층에서 높은 반면 백미층에서 크게 낮았으며 특히 아밀로스함량의 백미 외층 분포비율이 낮았다.

쌀 수량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10% 증가한 2001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 비교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2001 Yield Increased by 10% than Normal Level in 2000)

  • 이점식;이정희;윤미라;곽지은;모영준;천아름;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92-300
    • /
    • 2013
  • 쌀 수량이 많은 연도에는 밥맛도 좋아 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년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지난 20년간(1993~2012) 쌀 수량을 분석한 결과, 연차 간에 쌀 수량이 약 10% 차이가 나는 년도는 1993년과 1994년, 2009년과 2010년 등 총 6번 이었다. 그 중에서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수준의 쌀 수량은 2000년과 쌀 수량이 9.8% 증가한 2001년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년도 이었다. 기상조건은 2000년 대비 2001년은 등숙기 평균기온은 비슷하였으나, 일교차가 컸고, 일조시간이 많았다. 수량구성 요소는 2000년 대비 2001년이 주당 수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당 립 수가 많았고, 등숙비율 또한 높아 수량이 증가하였다. 쌀의 화학적 성분 함량은 2000년 대비 2001년에는 아밀로스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단백질, Mg 및 K 함량은 감소하였다. 반면 Mg/K 당량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쌀 전분의 물리적 특성은 2000년 대비 2001년에 최고점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저점도 및 최종점도는 높았다. 관능평가와 기계적 식미측정값과 단순상관계수가 $0.82^{**}{\sim}0.89^{**}$(n=27~30), 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연차 간 밥맛의 차이를 기계적인 측정값으로 간접 평가한 결과 2000년 보다 2001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일교차와 일사량에 의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2001년도에는 밥맛도 좋았을 것으로 추론된다.

가공밥 제조를 위한 밥의 식미 및 식감특성 평가 (Studies on the Palatability and Texture of Korean Rice Cultivars for the Cooked-rice Processing)

  • 심은영;박혜영;김미정;이춘기;전용희;오세관;원용재;이정희;안억근;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80-888
    • /
    • 2017
  • 본 연구는 가공밥용으로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한 9개 쌀 품종의 단백질 함량, 수분관련 특성, 아밀로오스 함량, 호화점도 특성 분석 및 취반식미, toyo 윤기치, 식감 특성을 분석하였다. 쌀가루의 용해도는 선품과 친들이 6.98, 6.51%로 상대적으로 높았고, 총 전분 함량은 90% 내외를 나타났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월백이 12.74%로 가장 낮았고, 중생골드가 17.2%로 낮았다. 치반점도는 월백과 선품이 -89.94 및 -36.97 RVU로 쌀가루 반죽의 노화가 가장 느릴 것으로 생각되며, 월백, 친들, 하이아미의 최종점도가 각각 152.06, 160.66 및 191.03 RVU로 식은 밥의 노화가 가장 느릴 것으로 판단된다. Toyo 윤기치는 친들, 삼광, 하이아미가 좋게 나타났으며, 식미치는 친들(80.03)>삼광(76.21)>중생골드(74.08) 순으로 나타났다. 식감특성은 중생골드, 친들, 일품이 탄력성이 높으면서 부착성이 컸으며, 일품, 하이아미는 경도가 낮으면서 부착성과 찰기가 높았다. 전체적인 취반 식미 및 식감관련 평가 결과, 친들이 가공용으로 좋은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되었다

호박의 종류 및 첨가 비율을 달리한 분말 호박 수프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 Pumpkin Soup by Different Varieties of Pumpkins and Addition Ratios)

  • 김동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6
    • /
    • 2012
  •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기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는 호박 중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의 멧돌호박과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Duch.$)인 단호박을 이용하여 간편식 형태의 분말 호박 수프를 제조하여 이에 대한 기계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말 호박 수프의 점도는 멧돌호박 분말이 단호박 분말보다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으며, 당도는 점도와는 반대로 단호박 분말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당도를 나타내었다. 색도는 멧돌호박 분말과 단호박 분말의 첨가 비율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며, 명도는 PS2, 적색도는 PS3, 황색도는 PS1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량적 묘사 분석을 통한 관능적 평가를 한 결과 두 종류의 호박 첨가 비율에 따른 색, 윤기, 호박냄새의 강도는 PS3가 가장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으며, 단맛의 강도는 PS1이 가장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고, 짠맛의 강도는 PS4가 가장 높은 평가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검사를 통한 관능적 평가에서는 외관, 향, 색, 맛, 농도, 입안의 감촉 및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평가 대상에서 PS3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멧돌호박 분말과 단호박 분말의 배합 비율에 따른 분말 호박 수프의 제조 시 PS3 시료가 기계적 및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 멧돌호박 분말 75%, 단호박 분말 25%의 배합 비율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삼 푸딩의 저장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pudding during storage)

  • 김영경;김병삼;권기현;김종훈;차환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61-768
    • /
    • 2013
  • Healthy ginseng pudding was made with different doses of two gelling agents and stored at $37^{\circ}C$ for eight weeks. And the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were measured. Sweetness and pH level increased in newly made ginseng puddings but decreased during storage. Acid taste decreased but increased during storage in A (pectin 0.2%+agar 0.6%). But it increased but subsequently decreased in B (agar 0.8%). Acidity in C (agar 1%) remained unchanged until six weeks but slightly increased at 8 weeks of storage. Texture increased in all specimens but subsequently decreased. Chromaticity value of L decreased in all specimens before increasing while the values of a and b increased and subsequently decreased. In texture examination, hardness and adhesion were higher in C (agar 1%) and lower in A (pectin 0.2%+agar 0.6%).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lasticity among three specimens. Cohesion was higher in C (agar 1%) while it showed a similar level in A (pectin 0.2%+agar 0.6%) and B(agar 0.8%). Stick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r in C(agar 1%) but lower in A(Pectin 0.2%+agar 0.6%), compared with C(agar 1%) specimen. In sensory test, overall palatability was higher in A (Pectin 0.2%+agar 0.6%). In conclusion, ginseng pudding with 0.6% agar and 0.2% pectin exhibited better quality. And ginseng pudding has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healthy dessert considering ample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토마토 소스 제조를 위한 토마토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mato for Tomato Sauce Production)

  • 하대중;곽은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65-973
    • /
    • 2008
  •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4 types of fresh tomatoes and 2 types of canned tomatoes, and then determined the most preferr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tomato type for the production of tomato sauce. The sample tomatoes were prepared by cutting after either peeling or heating for 5 min. Soluble solid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Italian canned >American canned, Cherry> Vita king > Aranka > general tomatoes. The primary free sugars were fructose and glucose, and we determined that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ost prevalent sugars in the cherry and American canned tomatoes. The total sugars, which were the sum of th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consistent with the soluble solid contents. pH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order: general> Italian canned> Cherry, Vitaking> Aranka> American canned tomatoe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was glutamic acid, and its content in the unheated tomatoes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American canned> Italian canned> Vita king> Cherry> general tomatoes; however, after heating, the Vita king tomato was followed by the American canned tomato. The lightness (L value) of the fresh tomatoes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canned tomatoes, and it decreased after heating. The redness (a value) of the unheated tomatoes was in the following order: Italian canned> American canned> Vitaking tomatoes; after heating, the Vitaking evidenced the highest values, followed by the canned tomatoes. The result of our QDA profile of sens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dness, aroma, sweet taste, sour taste, palatability, and viscosity was in the following order: Italian canned > American canned > Vitaking tomatoes, which evidenced the most balanced hexagonal shape. In the preference test, 2 types of canned tomatoes and Vitaking tomatoes were the most preferred among the fresh tomatoes. From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canned tomatoes were the most preferred for the production of tomato sauce due to its high redness, flavor, palatability, and viscosity values. Vitaking tomatoes were the most appropriate among the fresh tomatoes.

  • PDF

황기와 당귀를 첨가한 약선 계육 양념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sun Chicken Sauce with Milk Vetch Roots and Angelica Roots)

  • 민성희;오창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0-35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Korean yaksun chicken sauce with milk vetch roots and angelica roots. Four different amounts of angelica roots were added to chicken sauc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pH values of sauces increased with decreasing Angelica root content. On the other hand, sugar contents, solid contents, and lightness of sauces decreased with decreasing Angelica root content. In a palatability test, sauces with 1 g and 2 g of angelica roots scored high in color,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Microbial cell counts of sau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ngelica roots. Furthe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polyphenol contents of sau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for those of sauces with 1 g of angelica roots. Lastly, flavonoid contents of sauc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decreasing amount of angelica roots.

Separation of Ether-Soluble Neutral Extract of a Commercial High-Grain Feed Stimulating Hay Intake in Cattle

  • Shahjalal, M.;Dohi, H.;Kosako, T.;Hayashi,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88-191
    • /
    • 2000
  • Appetite stimulant ether-soluble neutral extract of a high-grain compound feed was separated into four fractions with an open column of silica gel chromatograph using four carrier solutions containing n-pentane and diethyl ether as 100:0 (Fraction A), 90:10 (Fraction B), 75:25 (Fraction C) and 0:100 (Fraction D). The stimulative effects of the fraction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intake of hay (with or without the fractions) in two-choice test bioassays with cattle. The Fractions A, B and C of the neutral extract stimulated (p<0.05) hay consumption in cattle, whereas Fraction D had no effect on selective feeding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fraction. Furthermore, Fractions A, B and C had higher (p<0.05) feeding stimulative indices (FSI) than that of the Fraction D. The results suggest that chemical stimulants to increase palatability of hay are present in the neutral Fractions A, B and C of high-grain concentrate.

절임정도에 따른 배추김치의 질감과 맛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xture and Taste of Kimchi in Various Saltings)

  • 우경자;고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1-41
    • /
    • 1989
  • The effects of salting degree of cabbage on the chemical, microbiological, textural changes and taste of Korean whole cabbage Kimchi fermented at $21^{\circ}C$ was studied. Low salted Kimchi (1.8% NaCl, soaking for 2 hr. in 20% brine) was showed higher total acdity than high salted Kimchi II(3.1% NaCl, Soaking For 8 hr in 20% brine) and III(2.9% NaCl, no soaking in 20% brine). The changes i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as relevant to the salt content of whole cabbage Kimchi. Kimchi I was showed higher growth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lower death rate constant of Lactic acid bacteria than that of Kimchi II and III. In palatability test, salty taste of Kimchi II, III was more salty than that of Kimchi I ($p{\leqq}0.01$) and total evaluation of Kimchi I, II was more palatable than Kimchi III ($p{\leqq}0.05$) at 3rd's day (optimum taste). Cutting force by Rheometer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salt content of Kimch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