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ace Pond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월지궁(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동궁(東宮)은 태자궁(太子宮)이 아니다 - (Reexamination on Materials related to Wolji Palace - East Palace is not the Crown Prince's Palace)

  • 최영성
    • 동양고전연구
    • /
    • 제55호
    • /
    • pp.173-192
    • /
    • 2014
  • 1975년 3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계속된 안압지 발굴을 통해 안압지일대가 7세기 이래 동궁(東宮)이었으며, 또 1980년 발굴을 통해 동궁이월지궁(月池宮)이었음이 밝혀졌다. 안압지의 본래 이름이 '월지'라는 사실이 발굴을 통해 증명된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곳이 동궁으로 불렸다는 이유를 들어 태자궁으로 인식하는 학자가 많다. 동궁이 태자궁의 별칭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곳은 '독립된 전용 공간'으로서의 태자궁일 수 없다. 7세기 이후 신라에서는 월성(月城)의 정궁(正宮) 이외에도 동궁 남궁 북궁 및 양궁(壤宮) 등 별궁(別宮)이 있었다. '동궁'은 '동쪽에 있는 궁궐'이다. 그 위치를 가지고 붙인 이름이지 태자궁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월지궁 관련 여러 문헌 자료를 새롭게 분석하여 동궁이 태자궁일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고대 한.중.일 원지의 비교연구 - 최근 발굴된 원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Palace Ponds of Korea, China and Japan - Focus on the Recent Excavated Palace Pond -)

  • 박경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
    • /
    • 2002
  • The place of South Weol Dynastys authorities exhumed in the region of KangChoWu, China lies adjacent to a stone ditch through which water streams crookedly, and a dark trough of stone pond in the north side. There is a sharply curved stone ditch and a crescent-shaped water entrance made by stones. The place was separated by using stone columns and stone walls. There is a beam of ditch, a crooked entrance, a flat bridge of slate, a stepping-stone, a sluice gate, and a crooked corridor. There are big and small artificial islands, and reinforcing stone drainage way in the palace pond recently exhumed at the building site for the pavilion of Hwang-Yong Temple in Kuhwang-Dong, Gyeongju city, Korea. There are four facilities assumed to be entrance and exits at four corners and an open space on which gravel was spread extensively. A narrow road and a middle road with indefinite curves at the south of Asukakyoseki exhum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d two stone buckets which one is to fill with water and the other is to drain water off like fountain are there, and besides wave protecting dam and north pond and the part that water pass were excavated. Palace ponds that were extensively distributed at old residential cities are a general phenomenon of countries in eastern Asia. Anap pond of Silla and Gungnam pond of Baekje were in Kroea. We believe that Asutnkyoseki is on the extension. Although more investigations in the background of thought and the genealogical relation about the palace pond are required, it seems that an idea was surely received from China.

동궁과 월지 출토 건축 목부재의 현황과 결구 제작기술의 수준 (A study on the wooden joinery technique of building members excavated at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 서효원;손은미;이선아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6호
    • /
    • pp.67-7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wood joinery technique in the ancient era. Joinery is one of the core techniques in constructing timber frame archite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These techniques can be revealed by examining wooden members of ancient buildings. The members were excavated at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the historic site in Gyeongju.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of 284 members excavated at the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and analyzes the details such as length, thickness, width, joint types, joint shapes. Wi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indicate the level of wood joinery techniques in ancient buildings.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6-63
    • /
    • 2012
  • 본 연구는 궁원의 복원 및 창덕궁 태액지의 원형경관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로 창덕궁 주합루 일대에서 시대상이 투영되어 형성된 독특한 경관과 한국 전통수경관의 특수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덕궁 태액지는 인조 연간에 용지(龍池)라는 명칭으로 축조되었으며, 숙종 이후 태액지로 개칭되어 불려졌다. 태액지에는 신선도를 의미하는 섬과 청서정, 택수재, 부용정의 수경을 감상하기 위한 정자가 조영되었으며, 방지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방에는 건물군락이 비대칭적 균형구조로 배치되었다. 이 일대의 배치에는 정형적 축선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열고관 개유와, 정자, 다리, 섬, 어수문, 주합루가 남북 중축선상에 위치하고, 섬과 어수문은 동서축을 이루는 분기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액지 섬과 정자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섬과 정자를 조영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규칙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태액지 일대의 이용분석에서는 조망에 의한 정적인 감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정조 시대에는 직접 지당에서 다양한 뱃놀이와 낚시하는 동적인 유희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태액지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 당시 배를 타는 행위가 비중 있게 행하여지자 배의 운행을 위해 태액지와 섬을 잇는 다리가 철거되었고, 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태액지 일대에 표현된 상징체계는 어변성룡과 군신주합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공간구성요소로 택수재, 물고기 조각, 어수문, 주합루 등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 궁궐 지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 조사 연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의 지안 축석 기법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Ponds in Korean Royal Palace Gardens)

  • 이상민;정수정;허학영;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4-130
    • /
    • 2001
  • We have increasing number of new ponds planned and designed in traditional styles. However, many of the stoneworks at the edges of those new ponds are not the characteristics of our traditional ponds. This study is aiming at surveying and analysing the building techniques of Korean traditional water edges built with stones, by investigating selected ponds in royal palace garden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views. Nine ponds from Gyongbok Palace, Changdeok Palace, and Changgyong Palace, which have many well-preserved ponds of various styles, were surveyed. First of all, the building materials (stones), or the kinds and sizes of stones used for the edges of ponds were surveyed. Secondly, construction methods, or the height and techniques of buildings stone walls were surveyed. Major findings were, first, the edges of most ponds constructed with granite Jangdaeseok, usually 120cm-140cm long, and 30cm-40cm thick. The only exceptions were those ponds which see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style. Second, typical pond ages were up-right vertical walls. Granite jangdaeseoks were piled-up 2 stories or up to six stories. Exceptions were Bandoji Pond and Chundangji Pond which had been constructed during latest period(King 'Ghojong' period). Third, heith of stone walls were between 60cm and 220cm. The depth of ponds were about 150cm or less, and the rest of the edge wall height was freeboard. 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not made by precise investigation and actual measurement, they could be fundamental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traditional styles of the Chosun dynasty Palace.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researches on this matter will result in important and fundamental data of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water edges.

  • PDF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의 정비과정으로 살펴본 전통의 남용과 발명 (The Abuse and Invention of Tradition from Maintenance Process of Historic Site No.135 Buyeo Gungnamji Pond)

  • 정우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6-44
    • /
    • 2017
  • 한국 전통 연지의 시원으로 평가되는 궁남지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무왕의 연지 축조 기록, 사비왕궁으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 및 화지산 이궁지 남쪽에 위치한 지리적 정황에 의해 궁남지로 비정되는 한편 사적으로 지정 복원되었다. 본 연구는 궁남지의 복원정비 과정에 나타난 진정성 왜곡과 전통의 발명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되었으며, 연구의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래방죽[마천지]으로 불려왔던 궁남지는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3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 저습지의 상태로 존재했다. 궁남지 복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홍사준은 1940년대만 해도 마래방죽에 백제시대 궁남지 유적으로 추정되는 섬과 석축시설이 남아있었고 그 위에 전각 및 정원을 조성한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화지산 이궁터의 조사 후 서동설화와 연관시켜 마래방죽을 궁남지와 동일시하는 의견을 피력하였는데, 이는 궁남지 복원정비의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였다. 특히 홍사준이 제시한 스케치 도면 및 부여도엽에서 마래방죽의 형태와 규모를 엿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방죽의 형태는 일제 강점기에 촬영된 사진 속 상황과 근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2. 궁남지의 축소정비는 1960년대 추진된 경지정리사업에 의해 농경지로 불하되고 남은 잔여의 면적이 수습된 결과였다. 1965~67년에 있었던 최초 복원공사 이래 수차례 시행된 궁남지 정비를 통해 드러난 문제는 고고학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채 후대의 시각으로 추정복원 되면서 경복궁 향원지의 구성을 그대로 복제한 데 기인한다. 구체적으로, 연못 안에 섬과 정자를 놓고 교량으로 섬과 육지를 연결시키는 구성은 궁남지가 경복궁 향원정을 모델로 만들어졌음을 방증해 준다. 하지만 교량설계에 참조된 취향교 조차도 조선시대의 형식으로 보기 어려운바 당시의 잘못된 복원설계의 동기와 발상이 궁남지의 가치를 크게 저하시켰다고 판단된다. 이처럼 전통조경의 소재로서 이미 널리 알려진 디자인 전범을 그대로 모방한 것은 경복궁이 갖는 미적 표상과 기호를 지향한 것으로서, 궁남지가 그와 유사한 장소 권위를 획득하도록 의도된 것이었다. 3. 궁남지는 애초부터 진정성이 결여된 채 정비된 사적이었기 때문에 정비 과정에서 경관의 왜곡과 전통성의 남용을 통해 유적의 역사적 맥락이 과감히 표방되어 갔다. 이러한 역사 재료의 무비판적인 활용과 왜곡을 불사한 정비방식은 1960~70년대 박정희 체제에 의해 주도된 민족주의 문화정책과 맞닿아 있다. '만들어진 전통담론'의 맥락에서, 박정희 시기의 문화정책은 국민의 기억에서 이상화된 과거를 취사선택하여 그것을 가시적으로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이전의 유적을 보수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이 부각된 사적지가 전국 곳곳에 생겨나게 되었는데, 궁남지가 초기에 순수한 보존의식으로 축소되어 정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본래 공간과는 상관없는 새로운 건조물들이 들어서고 기형적으로 확장 정비되어 갔던 사실은 그러한 국가주도 문화정책의 영향이 컸다고 판단된다.

한.중.일 고대 원지 비교 분석을 통한 안압지 조영계획의 연구 (A Study 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ap Pond with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Palace Ponds in Korea, China and Japan)

  • 박경자;양병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ap pond with a comparative study of ancient palace ponds in Korea, China and Japan. Anap pond was excavated in 1975-6 and is the oldest orignal pond to be found among Koran garden sites. Anap pond was made just before Shilla drove out Tang, after Shilla ruined Paekjae and Koguryo with the Tang army. This was a time Shilla enjoyed a multi-cultural situation due to interaction with Paekjae and Koguryo refugees, as well a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mbassadors sent to Tang who were well aquainted with Tang culture. Anap pond shows the influence of not only the indigenous mountain-god myth, but also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mm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ut it also depicts the special form of space inbued with the exquisite aesthetic taste of Shilla people, which started with Anap pond hardened in Gaen temple, and which bloomed in Sukgulam. Scenery structure analysis gives a supposition of the center building on the western coatland, and sequential analysis gives the feeling of being at sea, analysised by root square shape analysis, equal ratio square shape and golden section, sow we can see the planned space organization by speculated planning. Thus, Anap pond is a garden of Shilla in which the cultural exchange has been inculturated and made our own, and the special aesthetic taste embodied.

  • PDF

경주 구황동 원지(九黃洞 園池) 유적 창건 및 변화 시기의 조영과 성격 변화 (Changes in Construction and Characteristics during the Period of Foundation and Change of the Garden Pond Site in Guhwang-dong, Gyeongju)

  • 김형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102-118
    • /
    • 2022
  • 신라왕경 경주는 신라 천년의 문화와 기술이 집약된 도시이다. 하지만 신라왕경의 조경 유적에 대해서는 동궁과 월지 외에는 관련 자료 부족 등의 이유로 연구가 미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궁과 월지에 이어 그 전모가 발굴조사로 확인된 구황동 원지의 조영 특성과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경주 구황동 원지는 발굴조사 후 지금까지 궁원지(宮園池)이냐 분황사의 사원지(寺院池)이냐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원지의 특징인 두 시기로 구분되는 유구의 양상으로 볼 때 1차시기인 6~7세기에는 용 신앙과 관련한 제의시설, 2차시기인 8~9세기에는 조경적 기능이 강화된 원지로 기능하였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문헌 기록에 나오는 청연궁(青淵宮)과 조추정(造秋亭)이 있던 자리일 가능성이 높다. 1차시기의 특징적인 시설로 'ㄹ'자형 수로가 확인되는데 수로의 폭과 깊이로 보아 단순 배수시설로 보기에는 부족하며, 용 제의와 관련하여 관념상 용이 들어오는 통로로 여겨진다. 나아가 의례와 관련한 유상곡수(流觴曲水) 시설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용 제의 관련 시설이 2차시기가 되면서 개편되는데 굴곡진 호안, 정원석, 누정 건물의 등장과 'ㄹ'자형 수로, 육각형 건물의 폐기 등과 관련하여 경관 기능 중심의 원지로 그 성격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성격과 관련하여서는 1차시기의 제의기능과 2차시기의 귀면와를 포함한 의장적 요소로 볼 때 왕실 관련 시설로 볼 수 있다. 원지 서편에 인접한 축대 상부가 삭평된 것으로 볼 때 주 건물지는 축대 상부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왕이 거처하는 이궁이 아닌 제의기능과 유휴기능을 가졌기 때문에 대규모 건물지는 없었을 것이다.

「경복궁도」 제작 시기와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Period and Background of Gyeongbokgungdo)

  • 홍현도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4호
    • /
    • pp.51-62
    • /
    • 2023
  • Gyeongbokgungdo depicts the composition and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well as a monument related to pro-jamrye held at the site of Gyeongbokgung Palace in Yeongjo. Based on literature such as Dongguk Yeoji Seungram, such as Gyeongbokgungdo painted major buildings, government offices, and buildings in the backyard. In addition, the literature and the foot of the mountain, waterway, and Pond,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site identified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are reflected, and some of the Gyeongbokgungdo contain reconstruction records. As such, Gyeongbokgungdo depicts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facilities built after the Imjin War based on the literature, and seems to have been produced around the time of reconstruction as it reflects the mountain and water system. In addition, the layout of the main hall of Gyeongbokgungdo was partially reflected in the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and used as a material to understand the layout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고려 강도궁궐의 위치와 범위 검토 (The Location and Range of Goryeo Palace in Gangwha)

  • 이상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108-127
    • /
    • 2014
  • 강화는 비록 짧은 기간이긴 했지만 궁궐을 비롯한 여러 시설물이 즐비한 고려의 도성이었다. 하지만 도성의 핵심시설인 궁궐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중세도성으로서의 역사적 위상을 발현하지 못하고 있다. "고려사"에 의하면 강도궁궐은 개경궁성을 모방하였다고 한다. 이 사실을 전제한다면, 강도궁궐의 실체는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개경궁성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개경궁성의 특징은 도성의 남북중심 축선에서 서편으로 치우친 곳에 입지하고, 궁성의 동편에는 '동지(東池)'가 위치한다. 그리고 궁성의 중앙부에는 탁월한 고도의 구릉이 남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구릉을 감싸고 두 줄기의 가지하천이 흘러 주류하천에 합수된다. 강화에서 이상 개경궁성의 특징들을 적용해 볼 수 있는 곳은 관청리 '궁골'일대이다. 이곳에서는 예로부터 많은 청자들이 수습되었다고 하며, 중앙부에는 탁월한 고도의 구릉이 남아있다. 이 구릉을 감싼 두 줄기의 하천은 남쪽으로 흘러 주류하천인 동락천에 합수된다. 한편 관청리 405번지 유적의 발굴조사 결과는 이곳이 연못이었음을 추측케 한다. 그렇다면 이 유적은 궁궐의 동편에 입지하는 개경의 '동지'와 같은 성격의 유적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적도에서 확인한 대형도로는 개경도성의 남북방향 주간선도로에 비견된다. 그러므로 강도궁궐은 개경궁성과 같이 이 두 유구의 서편에 입지하여야만 한다. 그곳이 바로 '궁골'인 것이다. 지적도에는 '궁골' 일대에 호상(弧狀)의 도로에 의해 구획된 복주머니 형태의 평면이 확인되는데, 개경의 궁성모습과 흡사하다. 이 호상도로 내부에 궁궐 전각의 일부로 생각되는 관청리 659-2번지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개경궁성의 특징, 고지도 및 지적도, 고고자료의 검토를 통해 얻은 결론은 강도궁궐이 강화읍 관청리 '궁골'일대에 위치해 있었을 것이라는 것이며, 그 범위는 상기한 호상도로의 내부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