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guru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PAGURUS LANUGINOSUS DE HAAN의 유생 발생에 관한 연구 (The Larval Development of Pagurus lanuginosus do Haan(Crustacea, Anomura) Reared in the Laboratory)

  • 홍성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5
    • /
    • 1969
  • Pagurus lanuginosus do Haan의 유생을 실험실에서 사육하며 glaucothoe기까지의 발생을 관찰 연구하였다. 1) P. lanuginosus는 4기의 Zoea기와 1기의 glaucothoe기의 유생기를 가졌다. 2) 평균 수온 $13.6^{\circ}C$와 평균 염분농도 $33.67\%_{\circ}$의 사육조건에서 알에서 부화한 zoea유생은 31-32일 후에 glaucothoe 유생으로 변태 발생했다, 3) 각 zoea기의 평균기간은 7-9일이었다. 4) zoea 유생의 가장 독특한 형태적 특징의 하나로 미선(telson)의 말만에 3쌍의 들기(1쌍의 털과 6쌍의 침)를 가지며 그 돌기의 수와 모양은 전 zoea기 동안에 변함이 없다. 5) zoea 유생의 제2 촉각의 외지의 내변에는 5개의 우상모가 나 있다. 6) glaucothoe 유생의 telson 말단에는 3쌍의 우상모가 나 있다. 7) glaucothoe 유생은 안병극을 갖지 않는다.

  • PDF

울릉도 해역의 쏙류 및 이미류 (Thalassinidean and Anomuran Fauna of Ulreung Island, Korea)

  • 김원;김창배;김지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1-401
    • /
    • 1993
  • 울릉도와 독도 근해에 서식하는 쏙류 및 이미류의 종류상에 8종, Axiopsis (Axiopsis) princeps, Petrolisthes japonicus, Pachycheles stevensii, Paguristes acanthomerus, P. japonicus, Elassochirus cavimanus, Pagurus Japonicus, P. trigonocheirus, 이 새로이 추가되었다. 과거에 이 지역에서 알려진 10종의 쏙류 및 이미류를 포함한 총 18종에 대한 분류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그림과 함께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PDF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Jindong Bay

  • Kwak, Seok-Nam;Park, Joo-Myun;Huh, Sung-Ho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9-269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o determine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 assemblag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abundance in an eelgrass bed of Jindong Bay. A total of 26 fish species and 29 decapod specie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an eelgrass bed in Jindong Bay in 2002.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Hexagrammos otakii, Pholis neulosa and P. fangi and these accounted for 48.4 %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Dominant decapod taxa were Palaemon macrodactylus, Charybdis japonica, Pagurus minutus and C. bimaculata. These were primarily small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r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varied greatly showing a peak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and May, and peak biomass in fish in July and decapods in August. Catch rate was low in winter months both in fish and in decapod. Season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ishes and decapods corresponded with eelgrass biomass and abundance of food organisms indirectly.

참돔 (Pagurus major) 치어용 사료에 있어서의 대두박의 이용성과 적정 단백질${\cdot}$에너지 함량 (Availability of Soybean Meal and Suitable Protein${\cdot}$Energy Level in Different Types of Diet of Red Seabream (Pagurus major))

  • 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7
    • /
    • 1992
  • 참돔 치어에 있어서의 식물성단백질원의 이용성의 검토와 유효이용을 꾀하기 위하여, 대두박 및 콘글루텐 밀을 배합한 여러 종류의 실험사료를 제작하여 성장, 사료효율 및 어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료중의 조단백질 및 조지폐함량이 각각 $47{\%}\;,20{\%}$ 구에서 뛰어난 성장 및 사료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어분의 $20{\%}$를 대두박으로 대체하여도 성장 및 사료효율에는 아무튼 간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원료대두박의 Ex 처리유무 및 사료의 제조법의 차이에 의한 영양가개선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백령도 연안에서 통발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caught by fish pots in the coastal waters off Baekryeong-do, Korea)

  • 박준;정경숙;김정년;임양재;김맹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306-314
    • /
    • 2018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at Baekryeong-do,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pots in 2016. A total of 42 species, 90,050 individuals and 2,351,666 g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Among them, there were 12 species and 3,826 individuals of fish, 15 species and 51,237 individuals of crustaceans, 2 species and 54 individuals of cephalopods, 7 species and 33,981 individuals of gastropods, 2 species and 757 individuals of echinodea, 2 species and 187 individuals of shellfish, and 1 species and 8 individuals of holothuroidea. The dominant species in number of individuals were Pagurus ochotensis, Neptunea cuming, Cancer gibbosulus, and Buccinum yokomaruae, which accounted for 70.0% of the total number individual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Neptunea cuming, Portunus trituberculatus, Cancer gibbosulus, and Pagurus ochotensis, which accounted for 65.3% of the total biomass collected.

제주도 서부연안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비양도 조감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과 계적학적 군집변동- (Bioecological Study of the Western Coastal Area in Cheju Island - Distribution and Seasonal Community Change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on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Biyangdo)

  • 이정재;김종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8-84
    • /
    • 1993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seasonal change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was performed on the 4 intertidal rocky shores of Biyang-do in Chehu Island throughout four seasons from January 1992 to january 1993. The macroinvertebrates composed of 8 phyla, 15 classes, 31 orders, 71 families, 168 species. The seasonal appearing species were 135 species in summer, 127 species in spring, 124 species in winter and 121 species in autumn,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 zones were Nodilittorina exigua, Nerita japonica, Pollicipes mitella, the middle zones were Turbo coronata coreensis, Monodonta neritoides, petrolisthes japonicus and the lower zones were Pagurus samuelis, Chthamalus pilsbryi, Chlorostoma argyrostoma lischkei. The community dominance indices of the upper zones were much higher than the middle and lower zones. The seasonal appearnace in species in the lower zones were remarkable, but individual numbes were not.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 all investigated zones were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winter. But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in summer, lowest in autumm.

  • PDF

제주 차귀도 연안역 저서 무척추동물의 출현과 계절별 변동 (Species Appeara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 the Coastal Water of Chagwi-do, Jeju-Island)

  • 양문호;문태석;유준택;고준철;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43
    • /
    • 2007
  • 제주 바다목장조성지인 차귀도 주변해역의 저서 무척추동물에 대한 출현 및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고산, 용수, 용당, 신창의 4개 해역을 설정하여 2004년 9월과 11월 및 2005년 2월, 4월, 6월, 8월 등 모두 6 차례에 걸쳐 조사 분석을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201 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연체동물이 74 종 (37.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중 복족류가 28.4%로 가장 우점 하였고, 절지동물 43 종 (19.2%), 자포동물 34 종 (16.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평균 개체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55 개체/$m^2$ (53.9%), 15,565.0g/$m^2$ (64.4%) 로 종류와 마찬가지로 연체동물이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가장 높게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Trochus sacellus, Batillus cornutus, Pagurus gracilipes, Cantharus cecillei의 복족류에서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계절별 출현양상은 하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이 증가하다 동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종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의 해역별 변동을 보면 조사해역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고산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북쪽에 위치한 신창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동해안 삼척 호산에 서식하는 둥근성게 Strongylocentrotus nudus의 분포와 피식 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in Relation to Predation Pressure in Hosan, the East Coast of Korea)

  • 유재원;손용수;이창근;김정수;한창훈;김창수;문영봉;김동삼;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1호
    • /
    • pp.40-49
    • /
    • 2004
  • 강원도 삼척 호산해역에서 해조장의 회복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짐작되는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nudus) 개체군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2년 6월의 예비연구를 통해 조하대에 3개 실험구(인공해조장. 갯녹음지역, 자연해조장)를 설정하고, 8월, 10월, 12월에 둥근성게의 분포와 섭식률, 포식압, 포식자 조합을 추정하였다. 둥근성게의 서식 밀도는 자연해조장에서 가장 낮았으나, 각경(test diameter)의 중위수는 가장 큰것(Kruskal-Wallis test, 8월, p<0.001; 10월, p=0.036)으로 나타났다. 둥근 성게의 먹이 섭식률을 추정하기 위한 실험(enclosure cage experiment)은 자연해조장에서 수행되었으며, 8월과 10월에 각각 160, 13.8 mg seaweed/g sea urchin/day로 추정되었다. 둥근성게에 대한 상대적인 포식압의 실험구 간 비교를 위해 수행된 포박실험 (tethering experiment)으로부터 자연해조장의 포식압이 다른 두 실험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도중 현장에서 관찰된 포식자는 대부분 무척추동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류 포식의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죽은 성게나 산 성게를 담은 통발을 이용하여 포식자 조합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둥근성게의 포식자는 복족류 Neptuned arthritica와 별불가사리 Asterina pectinifera, 집게류 Pagurus cf. samuelis, 그리고 게류에 속하는 Atergatis integerrimus 등이며, 집게류인 Paguristes barbatus와 게류인 Actaea subglobosa도 가능성이 있는 포식자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험구 간 대비되는 관찰 결과로부터 (1)성게의 낮은 서식 밀도와 관련된 요인은 포식압이며, (2) 이는 조사 해역의 백화 현상의 발생, 유지와 낮은 포식압 간 가능한 상관관계를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이크로네시아 웨노섬의 맹그로브 숲에 서식하는 고둥류 및 집게의 영양원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the Nutritional Sources of Gastropods and Anomura from the Mangrove Forest of Weno Island, Micronesia)

  • 고아라;김민섭;주세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27-439
    • /
    • 2013
  • Carbon cycling and productivity within Weno Island of Micronesia enclosed by the coral reef may be likely self-maintained and in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open ocea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mangrove known as providing the organic matter and habitats for many organisms in this enclosed area. In order to trace the nutritional source of fauna (mostly invertebrates) in the mangrove forest of Weno island, we analyzed the fatty acid (FA) and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of potential nutritional sources (mangrove leaf & pneumatophore, seagrass leaf & root, surface sediment,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 in water) and consumers (4 gastropods and anomura). The mangrove and seagrass contained the abundance of 18:2${\omega}$6, and 18:3${\omega}$3, whereas FAs associated with phytoplankton and bacteria were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in the surface sediment and POM. FA composition of consumers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surface sediment, mangrove, and seagrass. These were also confirmed through the mixing model of stable isotope for contribution of nutritional sources to consumers. Overall results with the feeding types of investigated mangrove fauna indicate that investigated mangrove fauna obtained their nutrition from the various sources, i.e. the mangrove for Littorina cf. scabra, the microalgae for Strombus sp., and omnivorous Pagurus sp. and Terebralia cf. palustris.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nutrition of most species living in the mangrove ecosystem is highly dependent on the mangrov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More detail food-web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mangrove ecosystem would be established with the analysis of additional fauna and flora.

영종도 소형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이동성 대형 동물 (어류와 십각류)의 군집생태 (The Community Ecology of Mobile Macrofauna (Fish and Decapod) at the Youngjong Tiny Tidepools, Incheon, Korea)

  • 김병기;김병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5-216
    • /
    • 2015
  • 인천, 영종도의 소형 조수웅덩이에서 이동성 대형동물의 군집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0년 2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매월 실시되었다. 총 18종, 1,122개체, 623.6 gWWt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민물두줄망둑, 미끈망둑, 풀게, 긴발가락참집게였다. 종수와 생체량은 12월부터 3월까지 낮았고, 4월부터 11월까지 높게 나타났다. 정준대응분석 결과 수온이 군집 조성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 요인임을 나타내었다. 종다양도지수 범위는 0.14~2.05였고, 10월에 가장 높았다. 소형 조수웅덩이는 일부 작은 크기의 어류와 십각류에게 산란장과 성육장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