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ific abalon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9초

배합사료 및 2 종류의 해조류 공급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성장비교 (Comparison of formulated feed and two seaweed-based diets on growth of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김성연;박철지;남원식;김재목;이정호;노재구;김현철;박종원;황인준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3-238
    • /
    • 2013
  • 본 연구는 전복 먹이종류에 따른 성장 효율성 검토를 위하여 같은 어미에서 생산된 같은 크기의 개체를 사용하여, 동일한 사육환경 내에서 천연먹이인 미역 (UP), 다시마 (LJ) 및 시판용 전복 배합사료 (FD) 를 공급하였다. 그 결과, 각장형질의 성장은 미역 (UP) 및 다시마 (LJ) 를 공급한 실험구가 배합사료 (FD) 실험구 보다 유의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증체율은 해조류를 공급한 실험구 (UP 및 LJ) 보다 배합사료 (FD) 실험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먹이의 종류에 따라 패각의 성장과 근육부위의 성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생각된다.

3년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양성 시 적정 수용밀도 (Optimum Stocking Density of 3-year-ol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in Net Cage Culture)

  • 이시우;김병학;김태익;손맹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3-101
    • /
    • 2015
  • 본 연구는 3년산 북방전복을 해상가두리에서 1년 동안 수용밀도별로 양식순기에 따라 사육하여 성장 및 생존율 조사를 통해 적정 수용밀도를 구명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수행하였다. 해상가두리 ($2.4{\times}1.2m$) 내 수용밀도는 셀터 단면적 (square meter, $m^2$, sq m) 당 점유율로 15, 30, 45, 60 percentage (= per)/sq m로 설정하여 2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사육기간 동안 수온은 $8.2^{\circ}C-22.1^{\circ}C$, 염분은 평균 $33.5{\pm}0.6psu$, 용존산소는 평균 $7.87{\pm}0.86mg/L$이었다. 월별 각장변화에서는 2014년 5월, 7월부터 10월, 2015년 4월에 15 per/sq m, 30 per/sq m가 45 per/sq m, 60 per/sq m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각장의 FML, AGR, DGR, SGR과 각폭의 FMB, AGR, DGR은 15 per/sq m와 30 per/sq m는 45 per/sq m, 60 per/sq m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각폭의 SGR에서 60 per/sq m는 모든 실험구 보다 낮았다 (P < 0.05). 중량에 대한 FMW, WG, DWG, SWG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생존율에서는 15 per/sq m, 30 per/sq m가 50%이상으로 45 per/sq m, 60 per/sq m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따라서, 본 실험결과 70 mm 이상의 3년산 북방전복의 해상가두리 내 적정 수용밀도는 셀터 총 단면적 기준으로 15 per/sq m ($2.4{\times}2.4m$, 1칸 당 354마리) 가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위한 적정 수용밀도지만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30 per/sq m ($2.4{\times}2.4m$, 1칸 당 710마리) 수용해야 한다.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선발육종 연구를 위한 microsatellite multiplex PCR법 개발 (Microsatellite multiplex PCR method for selective breeding studies in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박철지;남원식;이명석;강지윤;김경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3-390
    • /
    • 2014
  • 북방전복 선발육종에 필요한 친자확인 및 가계분석을 효율적으로 실험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multiplex PCR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mutiplex PCR 기술은 6개 microsatellite locus Hdh145, Hdh512, Hdh1321, Awb017, Awb083 및 Awb098을 한번의 PCR 증폭으로 다중분석이 가능하다. 이 기술은 높은 친자확인 성공률과 가계분석에 있어서도 모두 멘델의 분리법칙을 따르고 있다. 더욱이 대량의 시료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시간절약 및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샘플 처리과정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handling errors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multiplex PCR은 친자확인, 가계분석, 집단유전학 및 계통분류학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oxic effects of ammonia on the survival, growth, and oxidative and immune responses in th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Park, Hee-Ju;Yu, Young-Bin;Choi, Jae-Ho;Lee, Ju-Hyeong;Kang, Ju-Ch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2호
    • /
    • pp.89-98
    • /
    • 2021
  • The accumulation of ammonia, a consequence of intensive aquaculture activity, can damage cultured animals. We analyzed the survival rates, growth, antioxidant responses, and immune responses of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mean shell length 70.2 ± 4.9 mm; mean body weight 36.9 ± 3.6 g), biweekly for four weeks, to determine the accumulated concentrations of ammonia (0, 0.1, 0.2, 0.4, 0.8, and 1.6 mg/L). In our biweekly measurements, a survival rate of ≥ 95% was observed for all concentrations of ammonia.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decreased at ≥ 0.8 mg/L (p < 0.05), but the daily increment in shell length (DISL)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p < 0.05). Regarding antioxidant responses,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the hepatopancreas was increased at ammonia concentrations over 0.8 and 0.2 mg/L (p < 0.05) at two and four weeks, respectively, and the SOD activity of the gills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ver 0.4 and 1.6 mg/L (p < 0.05) at four weeks. The catalase (CAT) activity of the hepatopancreas and gills increased at ammonia concentrations > 0.8 mg/L (p < 0.05). Phenoloxidase (PO) activity increased at ammonia concentrations over 0.8 mg/L (p < 0.05), and Lysozyme (LZM)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ver 0.8 and 0.4 mg/L (p < 0.05). Overall, our findings indicated that ammonia concentrations over 0.8 mg/L in seawater might damage the SGR, antioxidant responses, and immune responses in H. discus hannai. Our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r reinstallation for abalone aquaculture systems and can be used to assess the toxic effects of ammonia on H. hannai.

어패류 및 종에 내재되어 있는 ${\beta}-Galactosidase$의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Endogeneous Activities of ${\beta}-Galactosidase$-like Enzyme in Several Finfishes and Shellfishes)

  • 김대희;정창화;남윤권;민광식;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45-452
    • /
    • 1996
  • 어류 및 폐류내에 내재하는 내재성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를 분석함으로서 외래유전자의 이식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어류 6종 및 패류 4종을 대상으로 본 실험을 행하였다. 어류에 있어서의 X-gal 염색 결과 혈청 및 근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모두 positive ( + ) 염색 양상을 보였다. 패류에 있어서도 어류와 같은 양상을 보여 근육을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모두 positive 염색 양상을 보였으며 더욱이 참굴에 있어서는 폐각근 및 근육에 있어 매우 진한 염색 반응을 보였다. 근육으로 부터 DNA를 추출한 후 PCR을 수행한 결과 모든 종에서 positive (+)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어패류간 그리고 각 개체간 차이는 없었다. 각 장기별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 측정결과 모든 종에 있어서 혈청의 활성도는 무시할 만한 수준이었고, 근육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미꾸라지와 잉어에서는 신장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틸라피아는 소화관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해산어인 넙치의 경우 돌가지미, 문치가자미의 경우에 비해 간에서 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돌가자미 및 문치가자미인 경우 신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패류에 있어서는 소화맹낭에서 가장 높은 활성값을 나타내었고 폐각근 및 외투막에서 매우 낮은 활성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참굴에 있어서는 참전복, 피조개 및 진주조개 보다는 상대적으로 폐각근 및 외투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Effects of Temperature on Survival and Growth of Hybrids between Haliotis gigantea Gmelin (♀) and Haliotis discus hannai Reeve (♂)

  • An, Hye Suck;Han, Jong Won;Hwang, Hyun-Ju;Jeon, Hancheol;Jung, Seung-Hyun;Jo, Seonmi;Choi, Tae-Young;Hyun, Young Se;Song, Ha Yeun;Whang, Ilson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2017
  • In abalones, interspecific hybridiz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possible means to increase production and desired traits for the industry. In Korea, Haliotis gigantea is considered a species with a larger size and higher temperature tolerance than H. discus hannai. However, H. discus hannai is considered the most valuable and popular fishery resource due to its better acceptance and higher market prices. Thus, viable interspecific hybrids have been produced by artificial inseminating H. gigantea eggs with H. discus hannai sperm. However, the reciprocal hybrid cross was not successful. In this study, the hybridity and the growth and thermal tolerance performance of the interspecific hybrids were examined. A combination of various assays revealed maximum growth occurrence at 21℃ and the higher growth rate in the hybrids than that of H. discus hannai parent. In addition, the growth and survival at high-temperature (28℃) of the hybrids was equivalent to that of the highly tolerant H. gigantea parent, suggesting new possibilities to overcome the mass mortality in H. discus hannai during high temperature periods of summer season in Korea. Furthermore, the induced interspecific hybrid status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species-specific bands for each parental species of th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ofiles using universal rice primer (URP), which could be used as speciesspecific markers to distinguish the hybrids and their parental species.

염분 스트레스가 둥근전복 Haliotis discus discus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Stress on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s of the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discus)

  • 양현성;박경일;홍충희;최광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8-225
    • /
    • 2008
  • 이 연구는 염분 변화가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의 유리아미노산(FAA)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염분 15, 20, 25, 30, 35, 40 psu에 각각 24 h, 48 h, 120 h 노출 시킨 후 총 13가지 FAA의 함량 변화를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 중 15 psu에 노출된 전복 전량이 24 h 이내 폐 사하였고, 20 psu에 노출된 시료의 경우 전체 20개체 중 8개체가 48 h이내 사망하였다. FAA 중 Taurine, Glycine, Alaninr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중 Taurin리 함량은 $114\;{\mu}mol/g$ dry tissue weight로써 전체 FAA의 77%를 점유하였다. 저염 및 고염 환경에 노출된 시료의 FAA함량은 분석 기간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Taurine의 농도는 노출 후 24 h이 경과하였을때까지 대조구 보다 낮았으나 노출 48 h 후부터는 저염 환경인 20 psu및 25 psu에서 증가하여 분석 종료 시점인 노출 120 h이 되었을 때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반면 필수아미노산인 Methionine은 노출 48 h부터 20, 25, 40 psu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노출 120 h 후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전 실험 구에서 측정되지 않았다. Taurine 과 Glycine 비율(T:G ratio)은 저염환경에 노출된 시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저염에 노출된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뚜렷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도 나타났고 노출 시간이 지속 될수록 그 비율은 상승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FAA특히 Taurine, Glycine, Methionine 등이 둥근 전복의 삼투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의미하며, FAA 분석은 염분 변화에 따른 둥근전복의 삼투조절 및 생리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제시하였다.

교배실험을 통한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패각색 변이에 대한 유전적 지배 (Genetic control of shell color variation in the Haliotis discus hannai by mating experiments)

  • 박철지;남원식;이명석;강지윤;김경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9-413
    • /
    • 2014
  • 본 연구는 북방전복의 보라색패각색의 유전적 지배를 명확히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구는 같은 사료를 공급하여 실험 하였으며, 또한 동시에 생산된 4가계를 혼합사육한 후 microsatellite DNA를 이용하여 친자확인으로 가계를 분리하여 가계간의 패각색의 분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배형태가 ♀Gr ${\times}$ ♂Gr (GG type), ♀Pu ${\times}$ ♂Gr (PG type) 및 ♀Gr ${\times}$ ♂Pu (GP type)의 경우 모든 자식개체의 패각색은 녹색으로 나타난 반면, ♀Pu ${\times}$ ♂Pu (PP type)의 교배구의 모든 자식개체는 보라색패각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각색 형태는 녹색이 우성, 보라색이 열성형질로 가정할 경우 패각색의 표현형 분리의 설명이 가능하며, 보라색패각색의 유전지배는 1개의 유전자좌에 대하여 2개의 대립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된다.

미생물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일부 해조류 및 어패류와 그 가공식품의 비타민 $B_{12}$ 함량 분석 (Vitamin $B_{12}$ Content Using Modified Microbioassay in Some Korean Popular Seaweeds, Fish, Shellfish and Its Products)

  • 곽충실;박준희;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1호
    • /
    • pp.94-102
    • /
    • 2012
  • There is a limitation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due to a lack of data on vitamin $B_{12}$ content in many Korean foods. In this study, vitamin $B_{12}$ content was determined in some seaweeds, fish, and shellfish and their product that are consumed in Korea using a modified microbioassay with Lactobacillus delbruecki ATCC 7830. Dried laver and dried seasoned and toasted laver contained very high levels of vitamin $B_{12}$ (66.8 and $55.2-71.3\;{\mu}g$/100 g, respectively. Sea lettuce and seaweed fulvescene also contained high vitamin $B_{12}$ content of 5.47-9.41 and $6.46-7.20\;{\mu}g$/100 g, respectively, whereas sea mustard and sea tangle contained low levels of vitamin $B_{12}$; vitamin $B_{12}$ was not detected in seaweed fusifome. Pacific saury, trout, sea-bass, or squid contained 12.01, 2.00, 0.49 and $2.33\;{\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Ochellatus octopus, and naked sand lance contained 0.72-1.43 and $3.68\;{\mu}g$ vitamin $B_{12}$/100 g, respectively. Dried Alaska pollack con-tained $0.19-2.64\;{\mu}g$ vitamin $B_{12}$/100 g. Shellfish such as little neck clam and small ark shellfish contained high levels of vitamin $B_{12}$ of $30.5-40.5\;{\mu}g$/100 g, and mussel and abalone contained 17.71 and $7.82\;{\mu}g$/100 g, respectively. Of uniqu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products, salt-fermented products of squid ($2.91\;{\mu}g$/100 g), clams ($34.31\;{\mu}g$/100 g), Ala-ska pollack roe ($9.98-12.02\;{\mu}g$/100 g), hairtail guts ($4.58\;{\mu}g$/100 g) or small shrimp ($0.58-1.55\;{\mu}g$/100 g), and fish sauce from anchovies ($1.52-1.78\;{\mu}g$/100 mL), sand eel ($0.22-0.24\;{\mu}g$/100 mL) or small shrimp ($0.19-0.78\;{\mu}g$/100 mL) were analyzed. A few commercial brands of flying fish roe ($0.73-1.73\;{\mu}g$/100 g), canned tuna ($0.40\;{\mu}g$/100 g), and fried fish paste ($0.25-0.69\;{\mu}g$/100 g) were also analyzed. In conclusion, vitamin $B_{12}$ content in these foods, chosen considering the Korean food culture,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present vitamin $B_{12}$ food database. It may be helpful to estimate vitamin $B_{12}$ intake more correctly than before, an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dietary education related to vitamin $B_{12}$ and me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