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불면 장애에 대한 약침술 치료법 제안을 위한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 연구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Insomnia Disorder)

  • 조민우;임정화;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206
    • /
    • 2021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harmacopuncture treatment for insomnia disorder to derive clinical evidence and recommendation grades. Methods: Studies that verified effects of pharmacopuncture on primary insomnia were included.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ere assessed using Risk of Bias (RoB). Results: A total of 25 studies were selecte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ffective rate were primarily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Vitamin B12 was the most used pharmacopuncture material.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uncture point was Anmian (Ex-HN). The volume of the acupuncture solution ranged from 0.25 mL to 2 mL. Acupuncture treatment depth was 0.5 cm to 2 cm. In three studies, the procedure was performed at 16:00. Meta-analysis of studies revealed that the effective rate of the pharmacopun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using sleeping pills group (RR: 1.21, 95% CI: 1.01 to 1.45, p=0.04, I2=69%). PSQI was de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MD=-2.19, 95% CI: -2.90 to -1.48, p<0.00001, I2=0%). Effective rates of pharmacopuncture and acupuncture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acupuncture group (RR: 1.11, 95% CI: 1.05 to 1.17, p=0.0002, I2=0%). PSQI was de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MD=-1.87, 95% CI: -2.36 to -1.38, p<0.00001, I2=0%). Although the effectiveness rate of the pharmacopuncture group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acupuncture group (RR: 1.12, 95% CI: 0.98 to 1.27, p=0.1, I2=9%), the PSQI was decreased in the pharmacopuncture group (MD=-2.10, 05% CI: -3.29 to -0.91, p=0.0005, I2=34%). The quality of clinical studies was poor. Conclusion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er to use 0.5 to 2 mL of pharmacopuncture solution such as Danshen and Ciwujia with a depth of 0.5 to 2 cm at around 4 p.m. to treat insomnia disorder, focusing on Anmian (Ex-HN) and Sameumgyo (SP6).

산조인 복합오일을 이용한 향기건식 흡입요법과 스파 프로그램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단일기관 임상시험 (Efficacy of Inhalation Therapy using Zizyphus jujuba var. spinosa Blended Oil and Spa Therapy on Stress : A Double-blind, Randomized, Single center Clinical Trial)

  • 오서영;강재희;장태수;최희정;안택원
    • 혜화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inhalation therapy using Zizyphus jujuba var. spinosa blended oil and spa therapy on stress in adults. Methods : The study design was a double blind, randomized, single center clinical trial. A total of 30 volunteers who were highly stressed and were over 9 points on POMS(profile of mood sta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halation therapy using Zizyphus jujuba var. spinosa blended oil and spa therapy were applicat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Jojoba oil inhalation and spa therapy was given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2 weeks, the participants were treated about inhalation and spa therapy twice a week. The treatment sequence is spa therapy after inhalation therapy. Result : The improvement of stress was evaluated by POMS, HRV(Heart Rate Variability), EEG(Electroencephalography),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alivary cortisol. After treatment, POM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other measurement(HRV, EEG, PSQI, salivary cortisol) except POMS, there were not significant. Overall, however, they showed a tendency to alleviate 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inhalation therapy using Zizyphus jujuba var. spinosa blended oil and spa therapy might be effective on stress.

  • PDF

자원(紫圓)의 사하(瀉下)작용을 이용하여 호전된 불면 환자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Insomnia Improved by Jawon(Ziuan)'s Purgative Action)

  • 박인숙;노동진;이고은;조희근;강형원;류영수;박보라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5-134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port the effect of Jawon(Ziuan)'s purgative action for insomnia. Methods : A 60 year-old male patient has been suffered from insomnia for 2 years and has been on taking sleeping tablets during about a year and a half. We administered Sihogayonggolmoryeo-tang because we thougt that the disease was So-Yang-Bing Li Jeung. And Jawon was added for quick improvement. Results : 1. The score of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decreased from 18 to 16 after the patient tooks Sihogayonggolmoryeo-tang. 2. After 23 days, the patient tooks Sihogayonggolmoryeo-tang with Jawon at the same time. With the purgative action with Jawon appearing, the score of PSQI decreased from 16 to 4 extremely and accompanying symptoms were also improved. Conclusions : In this case, for the patient taking Sihogayonggolmoryeo-tang with Jawon at the same time is far more effective than only doing Sihogayonggolmoryeo-tang. The result was more improved with appearing the effect of purgative action.

양극성장애 환자의 하지불안증후군 유병율과 관련 특성 (Prevalence and Its Correlates of Restless Legs Syndrome in Out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s)

  • 이능세;윤보현;이현재;시영화;송제헌;박수희;이지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2호
    • /
    • pp.121-129
    • /
    • 201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외래 치료 중인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의 유병률과 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시도 되었다. 방 법 안정적으로 외래 치료 중인 양극성 장애 환자 100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RLS의 진단과 증상의 심한 정도는 International Restless Legs Syndrome Study Group에서 개발한 진단 기준을 이용하였다. Beck 우울증 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상태 불안 척도(Spielberg's State Anxiety Inventory), 피츠버그 수면의 질 설문지(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한국판 약물태도 척도(Korean version Drug Attitude Inventory), 한국어판 항정신병약물치료 중 주관적 안녕감 척도-단축형(Subjective Well-Beings under Neuroleptic Treatment Scale-Short Form)과 반즈 좌불안석증 평가 척도(Barnes Akathisia Rating Scale) 등이 각각 우울 증상, 불안의 수준, 주관적 수면의 질, 주관적 안녕감, 약물에 대한 주관적 태도, 좌불안석증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결 과 연구대상자 100명 중 7명(7%)이 RLS로 진단되었으며, RLS의 필수 진단기준을 1개 이상 가지는 환자는 36명(36%)이었다. 본 연구의 표본의 크기가 작은 이유로 세 그룹 간 비모수적 검정을 시행하였다(RLS의 필수진단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그룹, RLS로 진단할 수는 없지만 RLS 필수진단 기준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그룹, RLS 필수진단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그룹). 세 그룹 간에 성별, 나이, 그 밖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LS환자군 및 RLS증상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 및 불안증상이 더 많았고, 수면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결 론 본 연구는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RLS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본 첫 예비 연구라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조현병 환자와 비교할 때 양극성 장애와 RLS의 연관성이 비교적 적다는 것을 시사한다. RLS가 있는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우울 및 불안 증상이 더 많고 수면의 질이 더 낮은 경향은 조현병 환자에서도 관찰이 된다. 향후 대규모 연구에서 보다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양극성장애와 RLS와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여자 골프선수들의 수면양상조사 (Characteristics of Sleep Patterns in Korean Women Golfers)

  • 박수연;신원철
    • 수면정신생리
    • /
    • 제21권2호
    • /
    • pp.80-84
    • /
    • 2014
  • 목 적 : 수면은 전문운동선수들에게 매우 중요한 많은 생리적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운동선수에서의 수면부족은 운동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만, 운동선수들의 수면에 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저자들은 수면관련 설문지를 이용하여 한국의 여자골프선수들의 수면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98명의 대학생 여자 골프선수와 나이와 성별이 일치하는 46명의 일반 여자대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수면관련 자가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에는 평소 수면습관(잠드는 시간, 수면잠복시간, 아침에 기상시간, 낮잠시간)과 운동시간, 엡워스주간졸음척도, 불면증심각도지수, 피츠버그수면질지수,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와 Beck 불안척도 등이 포함되었다. 결 과 : 운동선수들은 일반 대학생에 비해 잠드는 시간이 빨랐으며(PM 23 : $05{\pm}00$ : 52 vs. 00 : $14{\pm}00$ : 51, ; t = 5.287, p < 0.001), 아침 기상시간이 더 늦었으며(AM 07 : $21{\pm}01$ : 09 vs. 6 : $35{\pm}00$ : 32 ; t = -2.715, p = 0.008), 주중의 총 수면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길었다($417.77{\pm}78.18$ minute vs. $351.52{\pm}77.83$ minute ; t = 4.406, p < 0.001). 또한 낮잠시간도 운동선수에서 더 길었다($77.73{\pm}41.28$ minute vs. $20.22{\pm}33.03$ minute ; t = 7.623, p < 0.001). 피츠버그수면질지수 점수는 운동선수에서 더 낮았으나, 수면잠복시간, 엡워스주간졸음척도, 불면증심각도지수,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와 Beck 불안척도는 양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우리나라 대학생 여자 골프선수들이 좋은 수면양상을 가지며, 일반 여자 대학생과 비슷한 스트레스와 불안 정도를 보였다.

불면증 환자에 대한 침치료 전후 정량화 뇌파 분석: Z Scored Absolute Power and sLORETA (Analysis of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Following Acupuncture Treatment in Patients with Insomnia: Z Scored Absolute Power and sLORETA)

  • 이고은;문수정;이성익;임정화;위영만;문광수;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9-184
    • /
    • 2016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neurophysiological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on insomnia patients using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 and standardized Low Resolution Brain Electromagnetic Tomography method (sLORETA).Background: Insomnia is one of the commonly encountered symptoms in primary medical care. Recent studies of acupuncture for insomnia reported that the acupuncture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of acupuncture in the treatment of insomnia has not been revealed and a few studies have measured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using QEEG.Methods: Participants who had some problems in initiating or maintaining sleep, or had non-restorative sleep for more than 3 days a week and ISI scores above 8 and below 21 were treated by acupuncture for 2 weeks (3 times a week, total 6 times). We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for insomnia by the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t baseline and at 2 weeks after the end of treatment (4th week). Also, we performed EEG and analysed the EEG data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treatment (2nd week) on the linked ears montage using the Neuroguide software program and sLORETA.Results: Thirty-two participants were enrolled and 2 participants dropped out because of personal reasons. Among the 30 participants, EEGs of 12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of QEEG and sLORETA. Total score on the ISI and PSQ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cupuncture treatment. The number of electrodes exceeding the range of 90% (±1.65) or 95% (±1.96) in the z scored absolute power of bet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cupunctur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rain activation between pre- and post-acupuncture using sLORETA.Conclusions: The deviation of absolute power compared to the normative datab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cupuncture treatment in the alpha and beta ranges. Therefore, we suggest that acupuncture treatment for insomnia might be effective through the central nervous system especially in the brain. There are many limitations to drawing any conclu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순환교대근무와 주간고정근무 여성 간호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스트레스, 수면, 우울증의 영향 (Effects of Perceived Stress, Sleep, and Depression on Resilience of Female Nurses in Rotating Shift and Daytime Fixed Work Schedules)

  • 정주리;권혁민;김태형;최말례;은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2호
    • /
    • pp.111-124
    • /
    • 2019
  • 목 적 : 건강한 수면은 중요하며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 고정 근무 간호사 두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두 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만 20세 이상의 여성 교대근무 간호사와 주간고정근무 간호사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7년 6월 12일부터 2018년 6월 12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한글판 스트레스 자각척도, 스트레스 대처전략 축약형,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상태불안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 엡워스 주간졸음 척도, 불면증 심각도 척도, 코너 데이비슨 리질리언스 척도 질문지를 적용하였다. 결 과 : 교대근무간호사와 고정근무간호사 두 집단 간의 변수 통계량을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자각, 수면의 질, 주간 졸음증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요소들은 근무자들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 심리적 건강수준, 우울증, 불면증 심각도 이었다(p < 0.05).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긍정적 재구성1이 커질수록(β = 0.206, p < 0.001), 우울증이 줄어들수록(β = -3.45, p < 0.001),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이 높아질수록(β = 0.193, p < 0.001), 수용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29, p < 0.05), 주간졸음이 줄어들수록(β = -1.17, p < 0.05), 적극적 대처2가 증가할수록(β = 0.118, p < 0.05), 긍정적 재구성2가 증가할수록(β = 0.110, p < 0.05) 회복탄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자에 비해 주간고정 근무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특정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사회심리적 건강수준, 수면, 우울증이 회복탄력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더 많은 수면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를 밝히는 전향적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트레스와 성격요인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es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n Sleep)

  • 윤호경;강승걸;함병주;이헌정;권호인;서광윤;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0권1호
    • /
    • pp.32-38
    • /
    • 2003
  • 목 적:스트레스와 성격적 요인이 수면에 여러가지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최근까지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스트레스와 성격요인 그리고 수면 이 세가지 요소간의 연관성과 서로간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성격요인이 수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이들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건강한 남녀대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수면상태, 성격 특성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평가 척도(K-DSI)와 평소 수면평가지(modified PSQI), 성격요인검사(16 PF)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밖에 주관적인 우울, 불안의 정도도 조사하였다. 이들의 서로간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통계방법으로 기술분석, 피어슨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이용하였으며 SPSS ver. 10.0과 AMOS 4.0을 사용하였다. 결 과:스트레스는 비회복적 수면으로 인한 증상들(기상 시 증상, 주간 증상 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요인 중에서는 죄책감 요인(O 요인), 자아강도 요인(C 요인)과 불안감 요인(Q4 요인)이 비회복적 수면으로 인한 증상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불안 총점과 스트레스, 성격 사이에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 상에서는 스트레스와 성격요인이 감정반응을 매개로 하여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레스가 다른 수면의 요소들보다 비회복 수면으로 인한 이차증상들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수면의 회복 기능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자아강도가 약하고 죄책감이 많으며 높은 불안감을 가진 성격이 스트레스에 취약하며, 다양한 성격특성과 그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 여러가지 스트레스 사건, 그리고 이에 대한 감정반응들이 복합적으로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불면증 변증도구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및 심리검사와의 상관성에 대한 초기연구 (A Pilot Study of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tern Identification Tool for Insomnia and Analyzing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Tests)

  • 정진형;이지윤;김주연;김시연;강위창;임정화;김보경;정인철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 for insomnia (PIT-Insomnia) and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PIT-Insomnia and psychological tests. Methods: Two evaluators examined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the participants who met insomnia disorder diagnostic criteria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Fifth Edition (DSM-5) and took the Insomnia Severity Index (ISI) score over 15 once manually and twice using the PIT-Insomnia to measure the inter-rater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 also conducted the following surveys: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Korean version of Beck's depression inventory (K-BDI),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K), the Korean Symptom checklist-95 (KSCL-95), and the EuroQol-5 dimension (EQ-5D), to measure concurrent validity and correlation between the PTI-Insomnia and psychological tests. Results: 1.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showed moderate agreement,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pattern identification score showed agreements from poor to moderate. 2.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alysi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via manual showed slight agreement, whe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alibration, the inter-rater reliability analysi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via manual showed fair agreement. 3. The concordance analysis between results via manual and the PIT-Insomnia showed poor agreement, when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alibration, concordance analysis showed fair agreement. 4. The concordance analysis between the PIT-Insomnia and the PSQI showed positive linear correlation. 5. The concordance analysis between the PIT-Insomnia and the PSQI, K-BDI, STAI-K, KSCL-95, and EQ-5D showed that non-interaction between the heart and kidney hav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the K-BDI, anxiety item of KSCL-95, dual deficiency of the heart-spleen hav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item of KSCL-95, paranoia item of KSCL-95, heart deficiency with timidity hav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stress vulnerability item of KSCL-95, parania item of KSCL-95, phlegm-fire harassing the heart hav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K-BDI, paranoia item of KSCL-95, depressed liver qi transforming into fire have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the anxiety item of KSCL-95, parania item of KSCL-95, all pattern identification have negative linear correlation with EQ-5D. Conclusions: The PIT-Insomnia has moderate agreement of reliability and reflects the severity of insomnia since it has some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PSQI. There are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PTI-Insomnia with specific psychological tests, so we could suggest it can be used appropriately in the clinical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