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NA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초

목뼈 척추사이 공간 관찰을 위한 후·전 사방향 촬영 각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Intervertebral Foramen Image for the Cervical spine of Posterior Anterio Oblique for the Angle)

  • 안병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97-203
    • /
    • 2015
  • 연구자는 부득이 임상에서 환자가 전 후 자세를 취할 수 없을 경우 후 전 뒤침(Pronation)자세로 목뼈 사위(RAO, LAO) 촬영법을 주관적, 객관적 평가 실험에 보았다. 객관적평가는 척추사이공간의 각도를 PACS 영상에서 측정한 결과 $C_2{\sim}C_3$, $C_3{\sim}C_4$, $C_4{\sim}C_5$, $C_5{\sim}C_6$, $C_6{\sim}C_7$ $C_7{\sim}T_1$에서의 각은 $47.4^{\circ}{\pm}3.3$, $50.5^{\circ}{\pm}2.3$, $52.7^{\circ}{\pm}4.2$, $53.2^{\circ}{\pm}1.9$, $53.2^{\circ}{\pm}2.3$, $55.2^{\circ}{\pm}2.3$로 나타나 하부 목뼈로 갈수록 신경공과 정중 시상면이 이루는 각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영상에서 측정한 추간공의 각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1). 주관적평가 Recever Operation characteristic로 상부, 하부 목뼈의 기존의 $45^{\circ}$ 촬영 각도보다는 상부목뼈 구멍(foramen) $C_2{\sim}C_3$, $C_3{\sim}C_4$, $50^{\circ}$에서 잘 관찰되었고 $C_5{\sim}C_6$, $C_6{\sim}C_7$, $C_7{\sim}T_1$$55^{\circ}$에서 잘 관찰이 되었다 실험결과 목뼈 후 전 사위촬영에서 척추사위공간을 영상관찰은 객관적평가, 주관적평가 후 상부 목뼈의 경우 $50^{\circ}$에서, 하부 목뼈 $55^{\circ}$에서 잘 관찰할 수 있었다.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과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CT for the diagnosis and the fragment fixation of anteroinferior tibiofibular ligament avulsion fracture in ankle fracture)

  • 나화엽;조국희;정유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8-85
    • /
    • 2011
  • 목적: 족관절 골절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진단 및 골편 고정술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수술한 족관절 골절 환자 108명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과 대조군 89명으로 나누어, Lauge-Hansen 분류, 수상 시 힘의 양,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두 군의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5개월 및 23개월이었다. 전체 환자 중 수술 시 부하 검사에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 8명과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11명의 최종 추시 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동반된 환자 19명 중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만 발견된 환자가 14명이었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에 비해 회내-외회전에 의한 손상, 고 에너지 손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방사선학적 지표에 해당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골편을 고정한 환자와 횡나사 경비 고정술을 한 환자 모두 최종 추시 상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회내-외회전, 고 에너지 손상, 방사선학적 지표 상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에 해당하는 족관절 골절 환자에서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의 유무를 알기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전하 경비 인대 견열 골절이 있는 경우 골편을 직접 고정하는 것이 원위 경비 인대 결합 손상의 치료에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유산소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중량물 부가 신발의 기능성 평가 (The Evaluation of an additional Weight Shoe's Function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Aerobic Capacity)

  • 곽창수;김희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7-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 and the safety of an additional weight shoe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aerobic capacity, and to improve some problems found by subject's test for an additional weight shoe. The subjects employed for this study were 10 college students. 4 video cameras, AMTI force platform and Pedar insole pressure distribution measurement device were used to analyze foot mo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itial achilles tendon angle and initial rearfoot pronation angle of an additional weight shoe during walking were 183.7 deg and 2.33 deg, respectively, and smaller than a barefoot condition. Maximum achilles tendon angle and the angular displacement of achilles tendon angle were 185.35 deg and 4.21 deg respectively, and smaller than barefoot condition. Thus rearfoot stability variables were within the permission value for safety. 2. Maximal anterior posterior ground reaction force of additional weight shoe was appeared to be 1.01-1.2 B.W., and was bigger than a barefoot condition. The time to MAPGRF of an additional weight shoe was longer than a barefoot condition. Maximal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of additional weight shoe was appeared to be 2.3-2.7 B.W., and was bigger than a barefoot condition in propulsive force region. But A barefoot condition was bigger in braking force region. The time to MVGRF of an additional weight shoe was longer than a barefoot condition. 3. Regional peak pressure was bigger in medial region than in lateral region in contrast to conventional running shoes. The instant of regional peak pressure was M1-M2-M7-M4-M6-M5 -M3, and differed form conventional running shoes. Regional Impulse was shown to be abnormal patterns. There were no evidences that an additional weight shoe would have function and safety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rearfoot control and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walking. However, There appeared to have small problem in pressure distribution. It was consider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redesign the inner geometry. This study could not find out safety on human body and exercise effects because of short term research period. Therefore long term study on subject's test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study.

Acutrak 나사를 이용한 요골두 골절의 치료 -7례 보고- (Acutrak Screw Fixation for Radial Head Fracture -7 Cases Report-)

  • 김광열;임문섭;신흥섭;최신권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0
    • /
    • 2006
  • 목적: 해부학적 정복이 가능한 요골두 골절에 대하여 Acutrak 나사를 이용한 고정술의 치료 결과와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 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본원에서 요골두 골절에 대해 수술한 12 예중 Acutrak 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7 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최소 6개월부터 최장 30개월로 평균 1.2년이었고,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손상의 원인은 낙상이 4예, 교통사고가 3예이었다. 치료 결과 평가 방법은 Mayo Clinic에서 발표한 Functional Rating index를 이용하였다 결과: Mayo Clinic의 Functional Rating Index를 이용한 기능적 평가상 우수가 2예, 양호가 5예였다 방사선학적 소견 상 모든 예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고, 부정 유합이나 나사 이완, 이소성 골형성, 감염, 외상 후 퇴행성 변화 등의 합병증은 없었고 수술 후 건측과 비교하여 운동장애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원에서 시행한 요골두 골절의 Acutrak 나사 고정은 요골두 부분의 안전지대에 대한 고려없이 시행 가능하며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평가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Acutrak 나사의 형태학적 특성상 골절의 선상 형태에 대하여 근위 요척골관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

불안정성 족근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The Evaluation of Clinical Prognostic Factors for the Surgically Treated Unstable Ankle Fractures)

  • 정홍근;유문집;유석주;이성철;박진영;김태원;김명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2-119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prognostic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of the unstable ank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62 unstable ankle fractures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rom May 1994 to June 2000, with a minimum follow-up period of 12 months(range: 13 months-7 years 3 months). The 62 patients were average 39.1 years old with male: female ratio of 41:21. Based on Lauge-Hansen classification, the supination-external rotation type was the most common with 36 (58.1%) cases. The clinical results was assessed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AOFAS) functional scale. The sex, age, body weight, trauma-operation interval, operation time, cause of injury, fracture typ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the possible postoperative clinical prognostic factors. Results: Postoperative AOFAS functional scale was average 82.1 points with 22(35.5 %) cases excellent, 12(19.4%) good. 16(25.8%) fair and 12(19.4%) cases poor results. The age and the operation tim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p<0.001). The sex, weight, trauma-operation interval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linical results. The pronation-external rotation type showed better clinical tendency among the fracture types, but withou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surgically treated unstable ankle fractures in patients whose age was above 41 years old or operation time exceeding 90 minutes showed significantly poor clinical results.

  • PDF

이두박근 원위부 파열의 임상적 치료 결과 (Clinical Results of Treatment of Distal Biceps Rupture)

  • 정덕환;황정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18
    • /
    • 2009
  • 목적: 원위부 이두박근 파열의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7년 2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이두박근 원위부 파열로 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례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33.9세였다. 9례(56%)에서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기는 수상 후 평균 4.7일이었다. 수술은 모두 파열된 원위부 이두박근을 해부학적으로 복원해주었다. 평가는 술 후 1년째에,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던 환자는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이두박근 근력, 환자의 만족도, 직업의 복귀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던 9례에서는 주관절의 굴곡-신전 운동범위와 회외-회내전 운동 범위는 각각 건측의 85.8%, 86.3%를 보였고, 이두박근 근력은 건측의 75%로 측정되었다. 주관적인 만족도는 8례에서 매우 만족, 1례에서 매우 불만족의 결과를 보였으며, 9례 중 8례는 예전의 직업으로 복귀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았던 예에서는 이두박근 근력은 수상 전 근력의 65%를 보였고, 환자의 주관적인 만족도는 4례에서 만족, 2례에서 불만족, 1례에서 매우 불만족의 결과를 보였다. 7례 중 3례에서만 기존의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결론: 조기 해부학적 복원술은 이두박근의 근력과 주관절의 굴곡, 회외전 범위를 최대한 회복 시 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젊고 활동력이 높은 환자에서는 가급적 보존적 치료 보다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만 한다.

  • PDF

어깨, 팔꿈치, 손목의 자세에 따른 최대악력과 근육활동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mbinational Posture of Shoulder, Elbow and Wrist on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 김태형;정승래;강성식;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1-119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ostures that were frequently conducted in manufacturing industry. To find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ies of each posture,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MVC) and ElectroMyoGraphy (EMG) were mea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appropriate posture could be suggested and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Most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ave been occurred in the fields of manufacturing industry.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the rate of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pper extremity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body parts. Accordingly,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discomfort and grip strength of upper extremity. However, these studies dealt with single selection of wrist, elbow and shoulder. So, it was insufficient for comprehensive studies about upper extremity. And in order to improve the work posture, the physiological changes being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wrist, elbow and shoulder postures should be observed and analyzed.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irty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 records of MSDs involved were recruit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postures of wrist(pronation, neutral, supination), postures of elbow(flexion $45^{\circ}$, $90^{\circ}$) and postures of shoulder(flexion $0^{\circ}$, $90^{\circ}$).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MVC values and EMG values. Jamar dynamometer and TeleMyo 2400T G2 was used to measure MVC and EMG. MVC and EMG for 12 postures were measured for three second and for three times. Experiment was performed randomly. A 10 minutes rest period was provided after each t. To measure muscle load, the EMG signals of eight muscles (Biceps, Medial triceps, Lateral triceps, Brachio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radialis, Flexor carpi ulnaris and Flexor carpi radialis) were evaluated. MVC values and EMG values were analyzed using Minitab ver. 14. The results showed that MVC value was the highest at shoulder $0^{\circ}$, elbow $45^{\circ}$ and wrist supination. In case of wrist postures, MVC of supination is the highest. In case of elbow and shoulder postures, MVC of flexion $45^{\circ}$ and $0^{\circ}$ was the highe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interaction between wrist and elbow posture under shoulder flexion and between shoulder and wrist under elbow flexion $45^{\circ}$. In case of the angle of shoulder $0^{\circ}$, elbow $45^{\circ}$ and wrist supination, the EMG values of four muscles(Medial Triceps, Extensor carpi ulnaris, Extensor carpi radialis, Flexor carpi ulnaris) were the highest. Based on this study, it is worth to note that the combination postures of upper extremity have a large impact on the MVC and EMG. The optimal condition upper extremity was shoulder flexion $0^{\circ}$, elbow flexion $45^{\circ}$ and wrist supination for prevent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Hand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방현수;김동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목적은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11세에서 16세 사이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능적 전기자극은 1회 20분, 주당 3회, 총 8주를 실시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이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Jebsen Hand Function Test, 수정된 Ashworth 척도, 3차원 동작분석을 실시하였다. Jebsen Hand Function Test, 수정된 Ashworth 척도는 실험 전부터 8주간 각 2주마다 측정을 실시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은 실험 전과 8주 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기능적 전기자극 후, Jebsen Hand Function Test에서 6개의 하위 검사 모두에서 각 과제의 수행을 위한 경과 시간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p<.05), 수정된 Ashworth 척도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지의 경직도의 감소가 나타났다(p<.05). 3차원 동작 분석 결과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전에 비해 적용 8주의 경과 후 손바닥 두드리기와 검지 두드리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p<.05), 아래팔의 회내-회외 운동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전에 비해 적용 8주의 경과 후에는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능적 전기자극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향후 기능적 전기자극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장기간의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상돌기 골절에서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 - 2예 보고 - (The Volar Plating of Fracture of the Coronoid Process - Report of Two Cases -)

  • 정구희;조철현;장재호;김재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60-265
    • /
    • 2010
  • 목적: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 대해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이 시행된 2예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척골 구상돌기 골절 2예에서 척 수근 굴근 양 두 사이로 접근하는 내측 접근법을 통해 2.4 mm 잠김 압박 금속판 (Compact Hand set$^{(R)}$, Synthes, Switzerland)을 이용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이 시행되었다. 추시 기간은 각각 14개월, 17개월이었으며,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로 임상적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는 각각 95점 (증례 1), 100점 (증례 2)이었다. 능동적 주관절 운동 범위는 $5^{\circ}{\sim}120^{\circ}$, $0^{\circ}{\sim}130^{\circ}$이었고, 회내 및 회외 영역은 모두 회복되었다. 결론: 내측 접근법을 통한 전방 금속판 고정술은 척골 구상돌기 골절에서 견고한 고정 및 조기 관절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주관절 강직의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of Stiff Elbow)

  • 송현석;윤형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86-292
    • /
    • 2010
  • 목적: 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범위의 유지가 필요하다. 주관절과 연관된 환자의 주소의 대부분이 주관절의 강직이다. 최근 보고들에서 주관적의 강직에 대한 치료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술식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결정하기 어렵다. 대상 및 방법: Morrey 등은 기능적인 운동 범위를 30-130도의 굴곡-신전 범위, 50도 회내전 및 50도 회외전이라고 하였다. 이 범위에서 일상 생활의 약 90%가 이루어 진다. 주관절 강직은 원인이 되는 외상과 주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관절 내 원인으로는 심각한 관절 내 불일치, 관절 내 유착 또는 관절 내 연골의 소실, 골극 형성에 의한 기계적 제한, 관절 내 유리체, 활액막의 과다 증식이 해당된다. 관절 외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탈구에 의한 심한 관절막의 유착, 측부 인대 또는 근육의 구축이 해당된다. 결과 및 결론: 신전 제한의 주 원인은 전방 관절막의 섬유화에 의한 구축이다. 이러한 병변은 전방 관절막 절제술이 도움이 된다. 굴곡 제한의 주 원인은 내측부 인대의 후방대의 구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