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O (Polyphenol oxidas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1초

Dietary Transformation of Lipid in the Rumen Microbial Ecosystem

  • Kim, Eun Joong;Huws, Sharon A.;Lee, Michael R.F.;Scollan, Nigel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341-1350
    • /
    • 2009
  • Dietary lipids are rapidly hydrolysed and biohydrogenated in the rumen resulting in meat and milk characterised by a high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low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which contributes to increases in the risk of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alter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uminant products with the overall aim of improving the long-term health of consumers. Metabolism of dietary lipids in the rumen (lipolysis and biohydrogenation) is a major critical control point in determin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uminant lipids. Our understanding of the pathways involved and metabolically important intermediates has advanced considerably in recent years. Advances in molecular microbial technology based on 16S rRNA genes have helped to further advance our knowledge of the key organisms responsible for ruminal lipid transformation. Attention has focused on ruminal biohydrogenation of lipids in forages, plant oils and oilseeds, fish oil, marine algae and fat supplements as important dietary strategies which impact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ruminant lipids. Forages, such as grass and legumes, are rich in omega-3 PUFA and are a useful natural strategy in improving nutritional value of ruminant products. Specifically this review targets two key areas in relation to forages: i) what is the fate of the lipid-rich plant chloroplast in the rumen and ii) the role of the enzyme polyphenol oxidase in red clover as a natural plant-based protection mechanism of dietary lipids in the rumen. The review also addresses major pathways and micro-organisms involved in lipolysis and biohydrogenation.

Effects of Pseudomonas aureofaciens 63-28 on Defense Responses in Soybean Plants Infected by Rhizoctonia solani

  • Jung, Woo-Jin;Park, Ro-Dong;Mabood, Fazli;Souleimanov, Alfred;Smith, Donald 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4호
    • /
    • pp.379-38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th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Pseudomonas aureofaciens 63-28 to induce plant defense systems, including defense-related enzyme levels and expression of defense-related isoenzymes, and isoflavone production, leading to improved resistance to the phytopathogen Rhizoctonia solani AG-4 in soybean seedlings. Seven-day-old soybean seedlings were inoculated with P. aureofaciens 63-28, R. solani AG-4, or P. aureofaciens 63-28 plus R. solani AG-4 (P+R), or not inoculated (control). After 7 days of incubation, roots treated with R. solani AG-4 had obvious damping-off symptoms, but P+R-treated soybean plants had less disease development, indicating suppression of R. solani AG-4 in soybean seedling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activities of R. solani AG-4-treated roots increased by 24.6% and 54.0%, respectively, compared with control roots. Ascorbate peroxidase (APX) and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activities of R. solani AG-4-treated roots were increased by 75.1% and 23.6%, respectively.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in soybean roots challenged with P. aureofaciens 63-28 and P+R increased by 25.0% and 11.6%, respectively. Mn-SOD (S1 band on gel) and Fe-SOD (S2) were strongly induced in P+R-treated roots, whereas one CAT (C1) and one APX (A3) were strongly induced in R. solani AG-4- treated roots. The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 in P+Rtreated shoots was 27.2% great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The isoflavone yield of R. solani AG-4-treated shoots was 60.9% less than the control.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최소가공 양송이버섯 (Agaricus bisporus Sing)의 갈변저해 및 저장 중 품질특성 (Browning Inhib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nimally Process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Sing) Using Extracts from Natural Materials during Storage)

  • 류정모;박연주;최소영;황태영;김일환;오덕환;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5
    • /
    • 2003
  • 고품질의 최소가공 버섯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천연 갈변저해제를 양송이버섯에 적용하여 최적의 천연 갈변저해제를 선발하고 선발된 천연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최소가공 버섯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천연 갈변저해제 중 천문동, 계피 및 키위 추출물이 우수하였다. 이들 선발된 갈변저해제를 처리한 최소가공 버섯의 저장 중 물리적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갈변도에서는 1% cysteine과 천문동 추출물이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천연갈변저해 제를 처리한 버섯의 PPO 활성이 저장 초기부터 높게 나타난 것은 갈변저해제가 양송이버섯의 조직 내부로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갈변저해제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양송이버섯의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까지 갈변저해에 주로 이용되던 화학물질을 천연물 유래 갈변저해제로 대체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1-MCP 처리가 '화산' 배의 상온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on the Fruit Quality of Pear c.v. "Hwasan" during the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 박용서;이필호;허북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95-601
    • /
    • 2010
  • 배의 저장성 향상 방법 구명 측면에서 수확한 화산 배에 16시간 동안 1-MCP 처리(0, 0.5, 1.5 ppm) 후 상온($20^{\circ}C$)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전과 저장 8주 후의 과피 색도는 Hunter L, a 및 b값 모두 1-MCP 1.5 ppm 처리구에서 변화가 가장 적었다. 관능평가 값은 1-MCP 0 ppm 처리구는 4주째까지, 0.5 ppm 처리구는 6주째 까지, 1.5 ppm 처리구는 7주째까지 좋다 이상의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1-MCP 1.5 ppm 처리구는 저장 8주째까지 경도, 당 함량, Polyphenol oxidase 활성, 호흡량 및 에틸렌 발생량이 가장 낮아 저장성이 향상 되었다. 따라서 화산 배의 상온 저장전의 1-MCP 처리는 저장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1.5ppm 농도 처리에서 좋았다.

Crosstalk of Zn in Combination with Other Fertilizers Underpins Interactive Effects and Induces Resistance in Tomato Plant against Early Blight Disease

  • Awan, Zoia Arshad;Shoaib, Amna;Khan, Kashif Al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30-340
    • /
    • 2019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integrated effect of zinc (Zn) with other nutrients in managing early blight (EB) disease in tomato. A pot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basal application of the recommended level of macronutrients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NPK)] and micronutrients [magnesium (Mg) and boron (B)] in bilateral combination with Zn (2.5 and 5.0 mg/kg)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igned in replicates. Results reveal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Zn with Mg or B was often futile and in some cases synergistic. Zn with NPK yield synergistic outcome, therefore EB disease was managed significantly (disease incidence: 25% and percent severity index: 13%), which resulted in an efficient signaling network that reciprocally controls nutrient acquisition and uses with improved growth and development in a tomato plant. Thus, crosstalk and convergence of mechanisms in metabolic pathways resulted in induction of resistance in tomato plant against a pathogen which significantly improved photosynthetic pigment, total phenolics, total protein content and defense-related enzyme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peroxidase (POX), polyphenol oxidase (PPO) and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The tremendous increase in total phenolics and PAL activity suggesting their additive effect on salicylic acid which may help the plant to systemically induce resistance against pathogen attack. It was conclud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Zn (5.0 mg/kg) with NPK significantly managed EB disease and showed positive effect on growth,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ttributes therefor use of Zn + NPK is simple and credible efforts to combat Alternaria stress in tomato plants.

결구 차이에 따른 양상추 신선편이 제품의 품질 비교 (Quality Evaluation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 (Lactuca sativa L.) According to Degree of Head Formation)

  • 윤예리;권기현;김병삼;차환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60-465
    • /
    • 2008
  • 신선편이 가공 양상추의 결구 정도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양상추는 결구 정도에 따라 70, 85, 100%로 분류하여 $3{\times}4cm$로 썰어 polypropylene(PP)과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재질로 되어있는 사각 용기 $(20{\times}15{\times}5$ cm)에 담아 질소 충진 후 $4^{\circ}C$의 저장고에서 8일 동안 저장하였다. 저장 초기 결구 70% 양상추의 당도가 $3.67^{\circ}Bx$였으며, 무기질 함량도 나트륨 25.04, 칼륨 186.03, 칼슘 18.62mg/100 g 둥으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결구정도와는 상관없이 무기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결구 70%인 양상추의 비타민 C 함량은 3.30 mg/100 g로 가장 높았으며, 양상추 외잎의 클로로필 함량 역시 결구 70%가 결구 100%에 비하여 3배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씹힘성을 나타내는 양상추의 경도는 결구 70%인 양상추가 1,010 g이였으며, 결구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여 씹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유추되어진다. PPO의 활성은 결구정도에 따라 240, 371, 566 unit/g로 각각 나타나 결구 70%에서 갈변이 최소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결구 70%인 양상추를 이용하여 신선편이 가공 제품을 유통시킬 때 품질유지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침지액을 달리한 박피 연근의 저장중 품질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of Peeled Lotus Roots Stored in Various Immersion Liquids during Storage)

  • 정진웅;박기재;성정민;김종훈;권기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26-533
    • /
    • 2006
  • 수도수(TW) 및 0.6% acetic acid(0.6% HOAC)를 대조구로 하고 강산성 전기분해수(SAEW;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pH 2.76, ORP 1,128mv, HClO 105.0ppm)와 약알칼리 전기분해수(LAEW; lo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pH 8.56, ORP 660 mV, HClO 73.8 ppm)를 침지액으로 하여 박피 연근의 품질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박피방법별로는 회전식 브러시형 박피기에 의한 감모율이 5.1%로 가장 작았으며 박피 후 3시간까지는 유의한 품질현화를 보이지 않았다 SAEW 및 LAEW 침지 박피 연근의 총균수는 저장 5일까지는 $10^1$ CFU/g 수준이었으며 TW 침지 박피 연근과 비교하여 저장 30일까지 1 log cycle 이상의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SAEW 및 LAEW 침지 박피 연근이 낮은 함량을, 그리고 PPO는 저장 15일까지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a값 및 b값의 증가폭이 컸으며, 색차 변화는 SAEW 및 LAEW 침지 박피 연근이 TW 및 0.6% HOAC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작았다. 경도 또한 TW 처리구에 비해 SAEW 및 LAEW 침지 박피 연근에서의 감소폭이 작았다 일반성분과 총당 함량은 전진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vitamin C 함량은 0.6% HOAC 침지 박피 연근이 저장 10일에 18.4mg%, 저장 30일에 9.1mg%로 감소하여 저장초기에 비해 약 25%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SAEW 및 LAEW 침지 박피 연근은 TW 침지 박피 연근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관능평가 결과 종합적 기호도는 저장 5일부터 30일까지 모두 SAEW 침지 박피 연근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유기농과 관행재배 된 배의 과실품질과 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Fruit Quality,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Obtained from a Sustainably Managed vs Conventionally Managed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rchard)

  • 조정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3
    • /
    • 2010
  • 최근에 유기 재배된 과실이 관행재배와 비교해서 건강관련 물질과 관련된 화합물이 다량 분포된다는 연구와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두 가지 재배방법에 따른 과실품질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기농과 관행으로 재배 된 배 '신고'의 과실품질과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처리는 키틴 복합퇴비+키틴 액비(구역 A), 키틴 복합퇴비+적외선으로 처리 된 키틴 액비(구역 B), 그리고 관행재배 시스템(구역 C와 D)으로 나누었다. 처리구간에 따른 수확기 과실 품질은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실 저장 60일 후 유기농 구역 A와 B에서 재배된 과실의 경도와 페놀함량의 평균은 관행 재배구보다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모든 구역에서 수확 시기에는 낮은 함량의 폴리페놀 산화효소 활성을 나타냈으나, 저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기 재배구인 구역 B는 다른 재배구들에 비교해서 과실 내 높은 전자 공여도를 나타내었다.

과열증기와 초고압 처리법을 적용한 간장 소스의 냉장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oy Sauce Treated with Superheated Steam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during Cold Storage)

  • 최윤;오지혜;배인영;조은경;권대중;박혜원;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7-39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식에서 활용도가 높은 간장 소스를 생산할 때 새로운 가공 기술인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을 적용해보고, 저장기간 동안($5^{\circ}C$, 30일) 그 품질의 변화를 비교 하였다. 소스 제조에 앞서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저장기간(0,7일)동안 PPO의 활성이 억제되고 색과 BP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고, 관능적으로 색, 향, 맛,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재료를 첨가하여 간장소스를 제조하였고 열 또는 초고압을 이용하여 살균처리 하였다. 저장기간(0,7,14,30일) 동안 소스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살균방법에 따라 염도, 당도, pH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색도 측정 시 과열증기로 전처리하지 않은 재료를 첨가한 간장 소스에 비해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재료를 첨가한 간장 소스에서 L값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살균 방법에 따라서는 초고압 처리한 경우 L값이 높게 유지되었다. 일반 세균은 열 또는 초고압 살균 시 저장기간 동안 4 log CFU/g 이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대장균 과 B. cereus는 모든 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소스의 점도는 열 또는 초고압 살균한 군에서 저장기간 동안 유지되었으며, 살균하지 않은 군은 점차 감소하였다. 간장 소스를 이용하여 만든 불고기의 관능검사 결과, 과열증기 전처리와 초고압 살균을 병행한 군에서 색, 향,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짠 맛과 단 맛은 처리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사과, 양파, 마늘을 과열증기로 전처리한 후 간장 소스를 제조하고, 소스 살균을 위해 비가열 살균 방법인 초고압으로 처리했을 때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냉장 유통 간장 소스 제조 시 품질이 유지되고 관능적으로 우수하며, 위생적으로 안전한 소스를 생산하기 위해 과열증기와 초고압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박피 토란의 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침지액의 영향 (Effect of Immersion Liqui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Taro during Storage)

  • 박기재;이호준;김종훈;권기현;정진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42-750
    • /
    • 2006
  • 박피 토란의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존성이 높은 침지액의 개발을 위해 전기분해수를 침지액으로 활용하여 침지액에 따른 초기품질과 저장중 품질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0.2% APS(Aluminium Potassium Sulfate)와 0.85% NACl 수용액을 대조구로 하고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분수(SAEW-CJ;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added with Citron Juice, pH 2.57, ORP 1,122mV, HClO 23.05ppm)와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카리성 전기분해수(LAEW-CJ; Lo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added with Citron Juice, pH 4.67, ORP 997mV, HClO 42.55mV)를 침지액으로 하여 $5^{\circ}C$ 저장중 박피 토란의 품질 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해수 및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카리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의 저장초기 총균수는 0.2% APS와 0.85% NaCl 침지 박피 토란에 비해 수작업 박피 토란은 3 log cycle, 기계적 박피토란은 2 log cycle 정도 낮은 수준이었으며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의 균수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대장균군수 및 효모 및 곰팡이수에도 유사하였다. 총페놀성 화합물, PPO 활성, 색차 및 vitamin C 함량은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해수 및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칼리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이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0.2% APS 및 0.85% NaCl 침지 박피 토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과 활성 및 색차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칼리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의 감소량이 가장 작았으며, 일반성분과 총당 함량은 점진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박피방법이나 침지액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