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M1D

검색결과 700건 처리시간 0.025초

Selenium공급방법이 수경재배 토마토의 생장과 Se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 Supplying Methods on the Growth and Se Uptake of Hydroponically Grown Tomato Plants)

  • 이철규;조경철;이정현;조자용;서범석;양원모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4-288
    • /
    • 2005
  • 토마토 '모모타로'를 공시하여 셀레늄 $10mg{\cdot}L^{-1}$의 관주 및 엽면시비 등의 단용 및 혼용처리가 수경재배 토마토의 생육 및 과실 내 셀레늄 축적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토마토 종자를 50공 트레이에 파종하여 70일 동안 육묘한 후 유묘를 코코피트 슬라브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 배양액 표준처방으로 조성하였으며, pH $5.8\~6.2$와 EC $2.3mg{\cdot}L^{-1}$등으로 조절하여 공급하였다 셀레늄은 무기태 $SeO_2$와 sugar fatty acid ester에 킬레이트화 한 유기태 셀레늄을 $10mg{\cdot}L^{-1}$으로 조성하여 관주, 엽면시비, 관주와 엽면시비를 병행하여 처리하였다. 초장, 엽수, 엽면적 및 엽록소 등의 토마토 생장 반응은 셀레늄의 엽면시비, 그리고 엽면시비와 관주를 병행한 처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과실 내 셀레늄 축적 함량은 킬레이트화 한 유기태 셀레늄을 엽면시비와 관주를 병행하여 처리한 경우에 $0.302mg{\cdot}L^{-1}$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태와 유기태 셀레늄의 엽면시비와 관주 등의 단용 처리보다는 혼용 처리가 전반적인 과실 생장과 체내 셀레늄 축적에 효과적이었다. 무기태 셀레늄$(SeO_2)$보다는 sugar fatty acid ester에 킬레이트화한 유기태 셀레늄 처리가 셀레늄을 함유한 기능성 토마토의 수경재배에 더 효과적이었다.

천연보존제 첨가에 따른 다진 마늘의 품질 안정화 (Stabilization of Chopped Garlic Quality by the Addition of Natural Preservatives)

  • 나영아;류영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5
    • /
    • 2000
  • 다진 마늘의 상품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생 마늘을 다진 마늘로 제조한 후. 구연산과 식염, 그리고 천연보존제를 각각 첨가하거나 복합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에서 구연산의 첨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연간 농도 0.5%와 l%의 두 구간으로 설정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는바, citric acid 0.5%구간에서는 a값의 저하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citric acid l%구간에서도 L값의 상승, a값의 저하, b값의 저하 등 결과적으로 갈변억제 효과에 상당히 우수한 영향을 미쳤다. 2. 식염 1%구간에서는 오히려 역효과(가스량 증가)를 보여 주었으며, 식염 농도가 2%이상에서는 미생물 증식에 있어 억제효과를 보여 주어 식염의 방부제 역할을 충분히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Gas의 형성량은 미생물의 증식량과도 밀접한 관계를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Hunter 계수값을 살펴보면 식염의 농도가 a값의 변화에는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salt 3% 구간에서 b값의 현저한 제어능력을 보여 주어 결과적으로 L값의 저하효과를 가져와 갈변억제효과를 보여 주었다. 3. 구연산 0.5%와 Salt 3%의 복합첨가가 갈변억제에 상당히 큰 효과를 보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즉, b값의 수치에는 영향력이 거의 없으나 a값(적색도)의 저하에는 효과가 좋아 결과적으로 L값(명도)의 유지에 상당히 좋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CA l%와 Salt 3%의 복합첨가 구간에서는 미생물수 증식억제, L값 유지(갈변 억제) 등에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지만, pH의 수치는 상당히 낮아지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4. 천연종실추출액(GF, 500ppm)과 구연산(0.3%)의 복합첨가효과에 있어서는 미생물생성억제효과가 좋았으며, 갈변억제효과는 보통이었다. GF(500ppm)와 구연산(0.3%), 그리고 여기에 Ascorbic acid(0.1%)를 첨가한 복합효과측정에 있어서는 갈변억제의 효과에 그다지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미생물생성억제효과는 약간 있었다. 첨가농도를 다르게 한 구연산과 겨자의 혼합액(CA+Mustard 0.5%)의 효과는 Sample D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농도의 비중에 비하여 미생물 억제기능은 오히려 약간 상승하였다. 5. 다진 마늘을 제조하여 2주 경과한 후의 색상과 맛에 대한 기호성(평균 점수로 표시)점수는 전반적으로 낮아졌으나, 대체적으로 다진 마늘의 색상과 맛에 있어 식염 3% 구간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구연산 5%와 l% 구간의 관능검사 결과는 2주 경과 후 색상과 맛에 있어 식염첨가효과보다 더욱 좋은 평균점수로 나타났다. 식염과 구연산의 복합첨가 구간에 있어서는 구연산 0.5%와 NaCl 3%의 복합첨가 구간에서 관능검사의 색상과 맛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보여 주었다. 또한 천연종실추출액과 Citric Acid 그리고 Ascorbic acid 등의 3가지 복합첨가효과에 있어서도 비교적 좋은 점수의 관능검사 결과가 나타났다. 6. 쵸핑 사이즈(choppin size)에 따른 점도의 변화 및 포장적성을 위한 관능검사의 결과는 다진 마늘의 입자 직경이 3mm size일 때, 즉 점도(Viscosity)가 4500cp에서 가장 좋은 점수(7점)의 관능 평가를 받았다.

  • PDF

다양한 간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두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s Manufactured by Various Bitterns)

  • 고강희;문신혜;유영주;김인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금 제조에 따른 부산물인 간수를 사용해 두부를 제조하고 이의 수율과 미네랄 분석, 조직감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간수는 천일염 간수(SSB), 탈수염 간수(DSB), 함수(CSW) 및 숙성 천일염 간수(BSS)를 사용하였고 $10^{\circ}$ Brix의 두유에 대해 간수를 0.8~1,7%의 농도로 하여 10% (v/v) 부피로 첨가하여 두부를 제조하였다. BSS는 다른 간수에 비해 Na 함량이 1.5~2.0 배 더 높았으나 모든 간수의 Mg의 함량은 유사하였다. 두부 수율은 함수(CSW)를 제외하고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p<0.05), 탈수염 간수(DSB)와 CSW가 가장 높았다. $MgCl_2$에 비해 간수를 사용한 두부에서 Na와 K의 함량이 높았고 간수 중 1.7%를 첨가한 경우를 제외하고 CSW로 제조한 두부에서 다른 간수와 달리 Pb가 검출되지 않았다. 두부의 기계적 물성 중 부착성은 사용한 간수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나 DSB와 CSW로 제조한 경우 견고성이 다른 응고제에 비해 낮았다. 관능평가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와 부드러운 조직감 항목에서 $MgCl_2$에 비해 간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두부가 높게 평가받았고 특히 CSW로 제조한 두부가 가장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CSW는 수율이 높고 부드럽고 맛이 좋으며 중금속 함량이 낮은 두부를 제조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약재복합 추출물의 인간피부섬유아세포 HS68에 대한 항노화 효과 (Antiaging Activity of Mixed Extrac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on HS68 Skin Fibroblast)

  • 신동철;김귀철;송시영;김희진;양재찬;이용화;김보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45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aging and antioxidant effects o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 with 80% ethanol extracts of plants including of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Methods : An ethanol extract of three medicinal plants including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Extract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 was evaluated by two different assays as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 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ies. These extracts were tested for cell viability on HS68 skin fibroblast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ltraviolet-B irradiation on cytotoxicity, type 1 collagen, elastin level and oxidative damage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 (HS68).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lastin is also involved in inhibiting or repairing wrinkle formation, although collagen is a major factor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Results : The extracts obtained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scavenging activity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 like activity. The extracts of complex herbal medicine showed low cytotoxicity as more than 100% cell viability in 100ppm/ml concentration. HS68 fibroblasts were survived 70% at 120 $mJ/cm^2$ UVB irradiation and treate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The levels of aging factors and cytotoxicity were decreased by ethanol extract of complex herbal medicin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complex medicinal plants of including of stem of Dendropanax morbifera, Corni fructus and Lycii Fructus may have value as th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aging medicinal plant.

일산화탄소중독(一酸化炭素中毒)의 약물치료효과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관장법(灌腸法)을 중심(中心)으로-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in the Treat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 최동욱;유근영;박항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3권1호
    • /
    • pp.13-18
    • /
    • 1980
  • The ultimate goal of treatment of carton monoxide poisoning is to promote dissociation of carboxyhemoglobin and to maintain arterial $PO_2$ above 50mmHg throughout the course of treatment to protect vital organs from damage caused by hypoxia. The hyperbaric chamber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this purpose has obviousely made an enormous contribution and yet has several handicaps to be overcome by any means. These handicaps are: the financial impact to purchase the chamber (especially in a small, remote community), an extra manpower requirement to operate the device, limitation in the capacity of the chamber (one man type), and the possible hazard of oxygen intoxication and dysbarism.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new therapeutic measure as an alternative to the hyperbaric chamber when it is not available or contraindicated. The effect of intestinal perfusion with hydrogen peroxide has been studied by many investigators and was known to be an excellent way of extrapulmonary oxygen supply. the advantage of this method will include; 1) much more amount of oxygen is delivered to the tissue than one would expect from 100% saturation with oxygen at 1 ata, 2) the procedure is simple and most economical, 3) neither sophisticated equipment nor extra manpower is required. As a study preliminary to the clinical application, authors conducted a series of experiment to observe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enema on dissociation of carboxyhemoglobin in intoxicated rabbit blood. Using an animal gas chamber, 20 rabbits were exposed to CO gas of 6,000 ppm for 60 minutes. Ten rabbits of control group were given 10cc of warmed normal saline solution by reactal perfusion and for the other 10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ame amount of 1% $H_{2}O_{2}$ solution was given by the same way. Two blood specimens were drawn from each rabbit: the first one immediately following the exposure and the second one after rectal perfusion, about 30 minutes after the first sampling. The result was as follows; 1) The decrease in carboxyhemoglobin concentration during the first 30 minute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18.18{\pm}4.49%\;and\;23.03{\pm}4.13%$ respectively shelv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two groups. 2)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nd not altered significantly by intestinal perfusion with $H_{2}O_{2}$.

  • PDF

클로버 오일을 이용한 생마 저온부패균의 제어 및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의 제조 (Control of Yam-Putrefactive Psychrotrophic Bacterium Using Clove Oil and Preparation of Functional Fresh-Cut)

  • 류희영;박상조;이봉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6-72
    • /
    • 2007
  • 생마의 저장성 및 접근성 강화에 따른 소비증대 및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마 저온부패균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천연물을 선별하였다. 저온$(4^{\circ}C)$ 및 상온$(30^{\circ}C)$ 부패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Pseudomonas rhodesiae YAM-12 에 대해 다양한 자생 및 약용식물 추출물 800여종의 항균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버 오일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생마 신선편이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건전생마 신선편이에 1%클로버 오일을 3분간 침지하여, $4^{\circ}C$에서 31일간 저장한 경우, 색차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미생물의 증식 또한 완전히 억제되었다. 한편 P. rhodesiae YAM-12를 인위적으로 오염시키고(초기농도 $10^3$ CFU/g),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1%클로버 오일의 처리는 색차 변화를 최소화하며, 미생물증식을 $10^4$ CFU/g로 억제하였다. 반면 무처리, 멸균수 및 NaOCl 처리의 경우에는 심각한 부패와 함께 색차변화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클로버 오일의 항균, 항산화, 항혈전 활성과 향신료로 사용되어온 점을 고려할 때, 클로버 오일을 처리한 생마 신선편이는 별도의 화학 방부제 처리 없이 생마의 유통안전성 향상 및 부패억제, 기능성 및 향미부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의 연작(連作) 장해요인(障害要因)과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시용효과(施用效果) I. 고추연작(連作) 장해실태(障害實態) 조사(調査) (Studies on the Cause of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and Soil Conditioner Application on Red Pepper(Capsicum annuum L.) I. Studies on the Cause of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of Red Pepper)

  • 황남열;류정;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9-54
    • /
    • 1988
  • 고추의 연작장해(連作障害) 요인(要因)을 분석(分析)하여 연작지토양개량(連作地土壤改良)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1985~1986년(年) 2개년(個年) 동안 전북(全北) 임실군(任實郡) 관촌(館村)의 고추 주산단지(主産團地)에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의 연작면적비율(連作面積比率)은 2년연작(年連作)이 12.7%였으며 3년연작(年連作)이 6.8%, 4년이상연작(年以上連作)은 48.9% 였다. 2. 연작지(連作地)의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특성(特性)은 토양경도(土壤硬度)가 높고 토양삼상중(土壤三相中) 기상(氣相)의 비(比)가 낮았으며 유효인산(有效燐酸)은 508 ppm,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0.86me/100g로 적정치(適正値)보다 월등(越等)히 높았다. 3.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의 균류(菌類)에 대(對)한 세균수(細菌數)(B/F비(比))와 방선균수(放線菌數)(A/F비(比))는 연작연한(連作年限)이 많을 수록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다. 4. 토양선충밀도(土壤線蟲密度)는 1년재배지(年栽培地) 359, 2년연작지(年連作地) 391, 3년연작지(年連作地) 495, 4년이상연작지(年以上連作地)가 524마리/100g이였으며 경사(傾斜)가 심(甚)하고 배수(排水)가 양호(良好)할수록 낮았다. 5. 역병발생(疫病發生)은 4년이상연작지(年以上連作地)의 이병주율(罹病株率)이 14.3%로 1년재배지(年栽培地)의 0.7%에 비(比)해 월등(越等)히 높았으며 경사(傾斜)가 완만할수록 탄저병(炭疽病)은 감소(減少)되고 역병(疫病)은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였다.

  • PDF

Comparative Feeding Values of Soybean Hulls and Wheat Bran for Growing and Finishing Swine

  • Chee, Kew M.;Chun, Kwang S.;Huh, Bong D.;Choi, Jin H.;Chung, Mahn K.;Lee, Hyung S.;Shin, In S.;Whang, Kwang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861-867
    • /
    • 2005
  • Feeding values of soybean hulls (SH) were compared to those of wheat bran (WB) for swine diets by chemical compositions, a digestion trial, a preference test by self-selection, and two feeding trials. The SH and the WB appeared to have, on airdry basis, 11.1 vs. 15.4% CP, 32.5 vs. 8.7% crude fiber (CF), 36.8 vs. 10.7% ADF, 0.6 vs. 0.1% Ca, and 492 vs. 92 ppm Fe, respectively. Lysine and total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in the SH were 0.66 vs. 0.37%, respectively. Apparent digestibility values of the SH were 71% for dry matter, 50% for CP, and 74% for CF. Apparent digestible energy and MEn values of the SH were 2,420 and 2,370 kcal kg$^-1$, respectively,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WB, 2,420 and 2,275 kcal kg$^-1$ (NRC, 1998), respectively. The first feeding trial was conducted with 72 crossbred growing pigs with an average weight of 29.6 kg. The pigs when fed the diets containing 0, 6 and 10% SH by replacing the WB on a weight basis for 42 day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and feed/gain ratio among the treatments. The same trends were observed in the second trial with 60 crossbred finishing pigs with an average weight of 64.5 kg when fed the diets containing 12% SH or WB for 41 days. Back-fat thickness and adjusted loin eye muscle area of the finisher pigs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When allowed to self-select from two different feed troughs containing 10% SH or WB for two weeks, two groups of 80 pigs with 10 pigs per pen consumed the two diets exactly in equal proportion. In conclusion, the soybean hulls can be included up to 10 and 12% for growing or finishing pig diets, respectively, replacing the wheat bran on a weight basi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palatability of diets and animal performances.

답토양유형중(畓土壤類型中) 보통답(普通畓)의 특성연구(特性硏究) (Study o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Well Adapted Paddy Soils in Korea)

  • 문준;엄기태;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1987
  • 답토양(畓土壤) 6개유형중(個類型中) 가장 넓은 분포면적(分布面積)을 가진 보통답(普通畓)의 특성(特性)과 토지이용(土地利用) 및 토양생성(土壤生成)에 대(對)하여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보통답(普通畓)의 분포면적(分布面積)은 전체답면적(全體畓面積)의 33%에 해당(該當)되며 그중(中) 곡간(谷間) 및 선상지(扇狀地)에 54% 그 외(外)는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와 하성평단지(河成平坦地)에 분포(分布)한다. 2. 보통답(普通畓)의 토양배수(土壤排水)는 대부분(大部分) 약간(若干) 불량(不良)으로 글라이화(化)된 식질(埴質) 및 식양질계(埴壤質系)로 물리성(物理性)이 양호(良好)한 편이고 토심(土深) 및 지하수위(地下水位)가 깊우며 토양(土壤)의 잠재생산능력은 높은 편이다. 3. 전체보통답(全體普通畓)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을 보면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와 심토(心土)가 많은 편(便)이며 토양반응(土壤反應)은 약(弱)한 산성(酸性)이었다.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표토(表土)는 있는 편(便)이나 심토(心土)는 적었다.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높고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는 표토(表土) 6.62, 심토(心土) 7.74 me/100 g 정도(程度)였다.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높았으며 유효인산(有效燐酸)은 우리나라 답토양평균치(畓土壤平均値)인 60 ppm 보다는 다소(多少) 하회(下廻)하였다. 4. 생성원인(生成原因)은 제사기신층(第四期新層)에 속(屬)하지만 현세충적층인 것으로 보여지며 미농무성(美農務省)의 구분류체계(舊分類體系)에 의(依)하면 대부분(大部分) Low humic gley soils에 해당(該當)되고 F. A. O분류안(分類案)에 의(依)하면 Gleysols에 속(屬)하며 일본(日本)의 시비개선사업(施肥改善事業)에서는 토양군(土壤群)은 회색토양(灰色土壤), 토양아군(土壤亞群)은 회갈색토양(灰褐色土壤)이다. US soil taxonomy(Subgroup)에 의(依)하면 Typic 및 Fluventic Haplaquepts에 속(屬)한다.

  • PDF

한국원료견질에 적응하는 자동조사 공정관리의 구명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eration Control with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to be responded for Korean Silk Cocoon)

  • 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6
    • /
    • 1975
  • These studies were attempted to find out the optimum silk reeling system by use of automatic silk reeling machine to increase raw silk yield and reeling efficiency with various silk reelable cocoons.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ilk reelability ratio(X)of the Korean cocoons during the last ten years was 61 per cent, beside 64.7 per cent in autumn cocoon and 57.3 per cent in spring cocoon. However, the ratio variation of autumn cocoons was larger than that of spring cocoons. 2.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coon filament breaks during its process and silk reelability level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The cocoons of both poor and good reelability evidenced "J" shape distribution on the filament break graph by the order of reeling cocoon end. Many bave breaks were found at the inner shell of the cocoons, or in case of poor reelability cocoons. 3. The morphology of broken cocoon ends during the process was classified into A, B, C, D, E and F types, The occurrence of B type was majority, but that of F type was minority among them. 4. In case of the cocoon cooking, H-type ion-exchanged soft water was better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Na and H-type ion exchanged neutral soft water for those of fair reelability, and alkaline (Na-type) soft water for those of poor reelability, respectively. 5. The modification of cooking water by mixing the above different types of water (50% Na-type and 50% H-type passed by standard natural water; 75% Na-type and 25% H-type passed by hard natural water; 25% Na-type and 75% H-type passed by soluble natural water) made higher yield of raw silk with tess breaks of thread. 6, In case cocoon ends groping water included sodium hexametaphosphate as much as 800 ppm. the groping efficiency and raw silk yield of cocoon was improved. The effect was pronounced in case of poor reelability cordons. 7. The most reasonable cocoon cooking and silk reeling condition for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were observed to be rather incomplete cook with good reelability cocoons and optimum cook with poor reelability cocoons succeeded by the reeling bath temperature of 45$^{\circ}C$, 8. The reasonable silk reeling velocities were observed to be about 150m per min.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120m per min. for fair reelability ones and 90 to 120m per min. for poor reelability ones. 9. In order to improve the raw silk yield of cocoons and reeling efficiency, the cocoon stand-by-ratio for reeling should be kept at the level of 40 per cent for good reelability cocoons or at 60 per cent for poor reelability ones beside necessary end found cocoon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