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AR ${\gamma}$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42초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Hypsizigus marmoreus in High Fat-fed Mice)

  • 류해정;엄민영;안지윤;정창화;허담;김태완;하태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08-1714
    • /
    • 2011
  • 본 연구는 느티만가닥버섯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령된 C57BL/6 수컷 쥐를 30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5%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으로 나누어 8주간 실시하였다. 체중 및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느티만 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에서 감소하였다.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도 고지방식이군에 비하여 느티만가닥버섯 처리군에서 낮았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인슐린 및 렙틴 수준 증가는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섭취로 인하여 낮아졌다. 또한, 간 중 지질 함량도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군에서 감소하였다. HE staining으로 관찰한 간내 지방축적과 지방세포의 크기도 느티만가닥버섯 분말 첨가 식이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인 $PPAR{\gamma}$, SREBP-1c, SCD-1의 단백질 발현은 고지방식이군과 비교 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첨가 식이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느티만가닥버섯 분말은 체중 감소 및 체지방 축적 억제와 더불어 혈청 지방 수준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ctiin inhibits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decreases adiposity and body weight in mice fed a high-fat diet

  • Min, Byulchorong;Lee, Heejin;Song, Ji Hye;Han, Myung Joo;Chung, Jay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6호
    • /
    • pp.655-661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and associated mechanisms of arctiin, a lignan compound found in burdock,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lso, the effects of arctiin supplementation in obese mice fed a high-fat diet on adiposity were examined. MATERIALS/METHODS: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arctiin (12.5 to $100{\mu}M$) during differentiation for 8 days. The accumulation of lipid droplets was determined by Oil Red O staining and intracellular triglyceride contents.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adipogenesis were measured by real-time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es. For in vivo study, C57BL/6J mice were first fed either a control diet (CON) or high-fat diet (HF) to induce obesity, and then fed CON, HF, or HF with 500 mg/kg BW arctiin (HF + AC) for four weeks. RESULTS: Arctiin treatment to 3T3-L1 pre-adipocytes markedly decreased adipogen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rctiin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the key adipogenic regulators $PPAR{\gamma}$ and $C/EBP{\alpha}$, and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SREBP-1c, fatty acid synthase, fatty acid-binding protein and lipoprotein lipase. Also, arctiin greatly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its downstream target phosphorylated-acetyl CoA carboxylase. Furthermore, administration of arctii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dy weight in obese mice fed with the high-fat diet. The epididymal, perirenal or total visceral adipose tissue weights of mice were all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 + AC than in the HF. Arctiin administration also decreased the sizes of lipid droplets in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CONCLUSIONS: Arctiin inhibited ad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through the inhibit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and the activation of AMPK signaling pathway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rctiin has a potential benefit in preventing obesity.

Cloning of porcine chemerin, ChemR23 and GPR1 and their involvement in regulation of lipogenesis

  • Huang, Jianfeng;Zhang, Jian;Lei, Ting;Chen, Xiaodong;Zhang, Yan;Zhou, Lulu;Yu, An;Chen, Zhilong;Zhou, Ronghua;Yang, Zaiqing
    • BMB Reports
    • /
    • 제43권7호
    • /
    • pp.491-498
    • /
    • 2010
  • Chemerin is a novel adipokine which is abundant in adipose tissue to promote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with significant relativity to BMI and insulin sensitivity. We report here the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orcine chemerin and its receptors ChemR23 and GPR1, as well as their transcriptional regulation during lipogenesis. Chemerin was mainly expressed in liver, intestine, kidney and adipose tissue, consistent with the expression pattern of GPR1, but not ChemR23, which was predominantly present in spleen and temperately in adipose tissue. We further investigated the lipogenesis-rel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PPAR{\gamma}$ and KLF15 on chemerin and its receptors. The data showed that KLF15, but not $PPAR{\gamma}$, can up-regulate the mRNA level of chemerin, ChemR23 and GPR1,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luciferase assay that confirmed the effect of KLF15 on ChemR23 promoter. Taken together, our data provide basic molecular information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function of chemerin in lipogenesis.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의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Water Extract)

  • 최혜란;이수정;이정현;권지웅;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899-1907
    • /
    • 2013
  •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이 콜레스테롤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세포주(HepG2 cells)에서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은 SREBPs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액 내에 LDL을 LDL receptor를 통해서 세포 안으로 흡수시키고,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HMG-CoA reductase 활성을 억제하면서 체내 콜레스테롤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HDL의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ABCA1, SR-B1)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이 LDL receptor를 통해서 LDL을 억제시키고 체내에서는 콜레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하였으며, HDL의 생성에는 관여를 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poB1/ApoA1 ratio 값을 통해서 동맥경화 지표를 확인해 본 결과 유의성 있게 수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이는 미숙과 물추출물이 콜레스테롤을 개선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대식세포(RAW 264.7 cells)에서 복분자 미숙과 물추출물이 CD 36, SR-A 수용체를 억제시킴으로 인해 세포 내의 ox-LDL 의 흡수를 차단시키고, 세포 안에서는 macrophage에 있는 PPAR-${\gamma}$를 억제시킴으로 인해 LDL 산화가 억제되었다. Adipophilin의 활성이 억제됨에 따라 세포 안에 있는 콜레스테롤 방출을 촉진시킴으로 인해 동맥경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Sprout Extract in 3T3-L1 Preadipocytes)

  • 김다혜;김상준;정승일;천춘진;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24-1230
    • /
    • 2014
  •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alpha}$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레스베라트롤의 지질 대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The Role of Resveratrol in Lipid Metabolism: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Basic and Translational Evidence)

  • 최승국;문현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7-73
    • /
    • 2016
  • 본 총설에서는 비-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인 레스베라트롤이 간, 골격근 및 지방조직에서 지질대사에 관계된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하여 지질 대사 효과를 유발시키는 과정에 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in vitro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지방생성을 줄여주고 apoptosis를 증가시켜 지방세포의 발달과정에 기인하며, 지방세포의 분화에 있어 중요한 전사인자인 $C/EBP{\beta}$, $C/EBP{\alpha}$, SREBP1c 및 $PPAR{\gamma}$의 활성을 감소시켜 항 비만 효과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많은 논문들을 통해 증명되었다(Fig. 2). 또한, in vivo 연구에서 레스베라트롤은 지방 축적 과정을 억제하고 지질 분해 및 산화 경로를 자극하여 체지방 증가율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최근 다양한 연구의 결과물(Table 2)들은 레스베라트롤이 지방생성, 지방분해, 열발생 및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며 또한, 백색 지방을 갈색 지방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흥미롭게도 레스베라트롤은 비만뿐만이 아닌 심장발작 및 뇌졸중과 같은 다양한 대사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 결장암 및 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하지만 인간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의 명확한 메커니즘을 알지 못하고 인간에게 나타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모델을 이용한 레스베라트롤의 단기간 및 장기간에 대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15-Deoxy-${\Delta}^{12,14}$-Prostaglandin $J_2$ Upregulates the Expression of LPS-Induced IL-8/CXCL8 mRNA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from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Kim, Jung-Hae;Kim, Hee-Sun
    • IMMUNE NETWORK
    • /
    • 제9권2호
    • /
    • pp.64-73
    • /
    • 2009
  • Background: 15d-$PGJ_2$ has been known to act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and has anti-hypertensive effects. As a result of these properties, we examined the effect of 15d-$PGJ_2$ on the LPS-induced IL-8/CXCL8 mRNA expression in VSMCs from SHR. Methods: Effect and action mechanism of 15d-$PGJ_2$ on the expression of LPS-induced IL-8/CXCL8 mRNA in VSMCs from SHR and WKY were examined by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for NF-${\kappa}B$ avtivity, Western blotting analysis for ERK and p38 phosphorylation and flow cytometry for NAD(P)H oxidase activity. Results: 15d-$PGJ_2$ decreased the expression of LPS-induced IL-8/CXCL8 mRNA in WKY VSMCs, bu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PS-induced IL-8/CXCL8 mRNA in SHR VSMCs. The upregulatory effect of 15d-$PGJ_2$ in SHR VSMCs was mediated through PPAR${\gamma}$, and dependent on NF-${\kappa}B$ activation and ERK phosphorylation. However, inhibition of the p38 signaling pathway augmented the upregulatory effect of 15d-$PGJ_2$ on LPS-induced IL-8/CXCL8 mRNA. A NAD(P)H oxidase inhibitor inhibited the upregulatory effect of 15d-$PGJ_2$ on LPS-induced IL-8/CXCL8 mRNA expression in SHR VSMCs, and an increase in NAD(P)H oxidase activity was detected in SHR VSMCs treated with 15d-$PGJ_2$/LPS.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upregulatory effect of 15d-$PGJ_2$ on LPS-induced IL-8/CXCL8 expression in SHR VSMCs is mediated through the PPAR${\gamma}$ and ERK pathway, and may be related to NAD(P)H oxidase activity. However, p38 inactivation ma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15d-$PGJ_2$/LPS-induced IL-8/CXCL8 expression in SHR VSMCs.

흑삼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lack Ginseng)

  • 박혜진;김애정;전용필;이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14-323
    • /
    • 2015
  • 본 연구는 구중구포법 과정의 흑삼 1~9포를 대상으로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ginsenosides을 분석한 결과 생리 활성이 높다고 판단한 흑삼 5포와 9포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3T3-L1 지방세포, RAW264.7 대식세포, 지방유래 줄기세포에 처치하여 세포독성, 지질축적(adipogenesis) 및 염증인자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 흑삼에서 효율적으로 ginsenosides가 추출되었다. 또한 흑삼 에탄올 추출물이 $PPAR{\gamma}$ 및 C/$EBP{\alpha}$ 감소, AMPK의 인산화 증가 등 adipogenesis 관련인자를 억제하였으며, 아울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에도 잠정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ginsenosides와 비만과의 조절기전 연구 및 항염증성 기전 등에 대한 정확한 기전 규명이 필요하다. 현재 인삼에 함유된 ginsenosides를 이용하여 체지방 감소 등의 기능성식품으로 많이 개발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홍삼 및 흑삼의 제조 기술인 구증구포법의 효율적인 표준화 공정기술, 유효 생리활성 성분의 대량 생산 및 안전성 기술 등이 개발된다면 항비만에 대한 고부가 가치 상품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양삼 혼입 숙성 감식초 섭취에 의한 흰쥐의 에너지 대사 변화 연구 (Change of Ripened Persimmon Vinegar with Mountain Ginseng Ingestion on Energy Metabolism in Rats)

  • 전병덕;김판기;류승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517-5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4년근 산양삼을 4년 숙성된 감식초에 혼입 숙성시킨 후, 5배 희석하여 쥐에게 경구투여하였다. 이후 당질대사 및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발현율을 분석하여 융합소재의 에너지대사율 증대에 의한 비만억제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집단은 대조군(CON), 감식초군(PV), 산양삼+감식초 융합소재군(MPV)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체중의 증가율은 PV, MPV가 낮게 나타났다. 글루코스 농도는 PV와 MPV가 낮았으며, 반대로 GLUT-2는 유의하게 높았다. 유리지방산 농도와 CPT-1은 PV, MPV가 높았으며, MPV가 PV에 비하여 높았다. Cytochrome C oxidase는 MPV가 CON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AMPK, $PPAR-{\gamma}$ 그리고 $PGC1-{\alpha}$는 모두 PV, MPV가 높았으며, MPV가 PV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융합소재의 체열생산반응을 증명하며, 이를 통한 에너지 대사 상승은 비만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다양한 후속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 최미선;김지인;정진부;이수복;정재남;정형진;서을원;김택윤;권오준;임재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8-367
    • /
    • 2011
  • 대두는 여러 종류의 파이토케미컬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항산화, 항염증, 항비만 효능 등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대두 부산물 성분의 비만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il-Red O 염색법과 정량 PCR을 통하여 지방세포분화억제 및 지방생성억제 효능을 분석하였다. 분화유도물질인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및 insulin 처리에 따른 지방세포 분화유도와 함께 대두부산물-침지수, 순물, 두유-의 처리는 세포손상 없이 지방세포분화 연관 유전자-PPAR${\gamma}$, Fabp4,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diponectin (ADIPOQ)-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보였다. 또한 대두에서 잘 알려진 isoflavone -daidzein과 genistein- 분석을 통하여 대두 부산물에 포함된 두 종류의 isoflavone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두부산물에는 지방세포분화유도 유전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전지방세포의 분화 및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두부생산 시 발생하는 대두부산물은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능을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는 건강기능 식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