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N zygot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The parental origin correlates with the karyotype of human embryos developing from tripronuclear zygotes

  • Joergensen, Mette Warming;Labouriau, Rodrigo;Hindkjaer, Johnny;Stougaard, Magnus;Kolevraa, Steen;Bolund, Lars;Agerholm, Inge Errebo;Sunde, Lone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2권1호
    • /
    • pp.14-21
    • /
    • 2015
  • Objective: It has previously been suggested that embryos developing from intracytoplasmic sperm-injected (ICSI) zygotes with three pronuclei (3PN) are endowed with a mechanism for self-correction of triploidy to diploidy. 3PN are also observed in zygotes after conventional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parental origin, however, differs between the two fertilization methods. Whereas the vast majority of 3PN IVF zygotes are of dispermic origin and thus more likely to have two centrioles, the 3PN ICSI zygotes are digynic in origin and therefore, more likely to have one centriole.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 whether the parental origin of 3PN embryos correlates with the karyotype. Methods: The karyotype of each nucleus was estimated using four sequential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s-each with two probes-resulting in quantitative information of 8 different chromosomes. The karyotypes were then compared and correlated to the parental origin. Results: 3PN ICSI embryos displayed a significantly larger and more coordinated reduction from the assumed initial 3 sets of chromosomes than 3PN IVF embryos.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parental origin-and hence the number of centrioles-between the 3PN IVF and the 3PN ICSI zygotes are likely to be the cause of the differences in karyotypes.

인간 다-전핵기 (>2PN) 수정란의 초급속 동결에 관한 연구 (Cryopreservation of Human Multi-Pronuclear (PN) Zygote by Ultra-Rapid Freezing)

  • 김은영;이봉경;남화경;이금실;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29-134
    • /
    • 1998
  • 본 연구는 인간 전핵기 수정란의 동결시 election microscope grid론 사용하는 초급속 동결방법이 유용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인간 IVF 시술시 생성되는 다-전핵기 (>2PN) 수정란을 정상 2PN 수정란 대신 사용하였으며, 또한 이들은 3PN과 $\geq4PN$ 수정란으로 나누어 전핵의 수에 따른 냉해와 융해 후 체외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동해제는 30% ethylene glycol, 18% ficoll, 0.5 M sucrose와 10% FBS 등이 D-PBS에 첨가되어 제작된 EFS3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급속동결-융해 후, 인간 다-전핵기 수정란의 생존율은 85.5%였다. 대조군과 동결군의 난할율을 진핵의 수에 따가 니누어 비교하였을 때, 각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PN; 81.3%와 85.4%, $\geq4PN$; 90.0%와 95.7%). 또한, 융해 후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였던바, $\geq4PN$수정란에서는 동결군 (4.5%)의 체외발달이 대조군 (44.4%)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던 반면, 3PN 수정란에서는 동결군 (22.0%)의 결과가 대조군 (38.5%)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따라서 인간 다-전핵기 수정란은 EM grid와 EFS30 동결액을 이용한 초급속 동결로 배발달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핵 시기에서의 수정란 동결이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누적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opreservation of Sibling 2PN Zygotes on Cumulative Delivery Rates in the Human IVF-ET Program)

  • 김묘경;이선희;최수진;최혜원;박동욱;임천규;송인옥;이형송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4호
    • /
    • pp.329-338
    • /
    • 201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10개 이하의 2PN 접합자를 얻은 환자군에서 전핵 단계 배아의 동결보관이 누적 분만율을 증가시키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터를 내원하여 과배란 유도에 의해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을 시행한 주기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체외수정법 또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도한 후 20~22시간에 8개의 수정란을 확인하거나, 또는 전핵이 1개만 보이는 접합자와 발달지연 배아를 포함하여 수정란이 10개 미만인 138주기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주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을 두 군으로 나누었으며 그룹 I (n=86)은 배아의 동결 없이 모든 수정란을 배양하여 3일째 이식한 군으로 하였으며, 그룹 II (n=52)는 전핵 시기에 일부 수정란을 동결하고 나머지를 배양하여 3일째 이식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간 신선배아 이식주기와 그 다음 동결-해동 이식주기 후의 임상적 임신율과 누적 임신율을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비교 대상군 사이에 여성의 평균 나이, 획득 난자의 수 및 수정란의 수에서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양된 배아의 수는 그룹 II ($5.2{\pm}0.5$)가 그룹 I $8.4{\pm}0.7$)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 (p<0.01). 또한 이식한 배아의 수 역시 그룹 II ($3.3{\pm}0.6$)가 그룹 I ($3.6{\pm}0.6$)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p<0.01). 신선주기 배아이식에서 ${\beta}$-hCG 양성을 보인 환자 수와 분만을 한 환자의 수는 그룹 I이 그룹 II에 비하여 약간 높은 양상을 보였다 (51.2 vs. 46.2% and 41.9 vs. 34.6%). 동결-해동 배아이식 후 누적 분만율을 비교하였을 때 그룹 I (48.8%)과 그룹 II (5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적은 수의 수정란을 얻은 환자군에서 일부 전핵 단계에서의 동결보관이 누적 분만율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부 수정란의 동결보관은 해당 신선주기에서 임신에 실패하였을 경우 환자에게 추가적인 배아이식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Enhancement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 development with optimized in vitro culture dish via stabilization of medium osmolarity

  • Hyejin Yoon;Jongwoo Lee;Inyoung Kang;Kyoo Wan Choi;Jaewang Lee;Jin Hyun 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4호
    • /
    • pp.244-252
    • /
    • 2023
  • Objectiv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the newly developed optimized in vitro culture (OIVC) dish for cultivating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This dish minimizes the need for mineral oil and incorporates microwells, providing a stable culture environment and enabling independent monitoring of individual embryos. Methods: Mouse pronuclear (PN) zygotes and two-cell-stage embryos were collected at 18 and 46 hours after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injection, respectively. These were cultured for 120 hours using potassium simplex optimized medium (KSOM) to reach the blastocyst stage. The embryo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each cultured in one of three dishes: a 60-mm culture dish, a microdrop dish, and an OIVC dish that we developed. Results: The OIVC dish effectively maintained the osmolarity of the KSOM culture medium over a 5-day period using only 2 mL of mineral oil. This contrasts with the significant osmolarity increase observed in the 60-mm culture dish. Additionally, the OIVC dish exhibited higher blastulation rates from two-cell embryos (100%) relative to the other dish types. Moreover, blastocysts derived from both PN zygotes and two-cell embryos in the OIVC dish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elevated mean cell numbers. Conclusion: Use of the OIVC dish markedly increased the number of cells in blastocysts derived from the in vitro culture of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The capacity of this dish to maintain medium osmolarity with minimal mineral oil usage represents a breakthrough that may advance embryo culture techniques for various mammals, including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 programs.

티모시 건초 급여 한우 씨수소 정소상체 정자의 수정 효과 (Effect of sperm penetration of oocyte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IVF) with cauda epididymal spermatozoa in Hanwoo bull after feeding of timothy hay)

  • 강성식;김의형;이석동;이명숙;조상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0-324
    • /
    • 2018
  • 본 연구는 티모시 건초와 농후 사료 위주의 사료를 급여한 한우 씨수소 정소상체 정자 체외수정 효율 조사를 통해 정자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농후 사료는 체중의 1.8%를 급여하고 양질의 티모시 건초를 자유채식 시킨 14개월령 거세우의 정소에서 분리된 정소상체 미부의 정자를 회수하고 동결 흉해 후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웅성전핵과 자성전핵이 형성(2PN)된 난자는 정상수정으로, 1개의 전핵(1PN), Expanded Sperm Head (ESH), Polyspermy 형태는 비정상적인 수정의 형태로 평가하였다. 정상적으로 수정된 난자의 비율은 정소상체 정자의 경우 전체 침투율은 49.7% 그리고 정상적인 2PN을 가진 난자는 18.5%를 보였으며, 대조구 정자의 전체 침투율은 54.4%로서 정소상체 정자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정상적으로 2PN을 형성한 비율은 36.7%로서 정소상체 정자를 이용한 정자 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외수정 후 발달률 조사에서 정소상체 정자의 분할률은 81.2%, 대조구 정자는 82.7%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배반포 발달률은 정소상체 정자 24.4%와 대조구 정자 12.2%로 정소상체 정자를 사용한 난자의 발달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동결수정란 이식주기에서 수정란 융해 후 생존율과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urvival and Pregnancy Rate in Frozen-thawed Embryo Transfers)

  • 김정욱;변혜경;염혜원;전진현;박용석;송인옥;송지홍;최범채;궁미경;전종영;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1호
    • /
    • pp.59-65
    • /
    • 200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urvival and pregnancy rate in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cycles. Methods: we performed retrospective analysis in 738 cycles of frozen-thawed embryo transfers, in relation to the insemination methods, the freezing stage of embryo, patient's age, infertility factors and the origin of injected sperm in ICSI cycles. After conventional IVF or ICSI, the supernumerary PN stage zygotes or multicellular embryos were cryopreserved by slow freezing protocol with 1,2-propanediol (PROH) as a cryoprotectant. Results: The survival rates of thawed embryos were 69.3% (1585/2287) in conventional IVF group and 71.7% (1645/2295) in ICSI group. After frozen-thawed embryo transfers, 27.0% (92/341) and 32.0% (109/341) of pregnancy rates were achieved in conventional IVF and ICSI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and pregnancy rates according to the insemination methods, the freezing stage and patient's age. However, the pregnancy rate (36.2%) of male factor infert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ubal (27.2%) and other female factor infertility (22.9%). In ICSI group, the origin of injected sperm did not affect the outcome of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cycle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acceptable clinical outcomes can be achieved after the transfer of frozen-thawed embryos regardless of the stage of embryos for freezing, the patient's age and the origin of injected sper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