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MN leukocyt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Atropine, Phentolamine과 Propranolol이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에서의 칼슘 흡수, $O_2-$ 생성 및 식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tropine, Phentolamine and Propranolol on Calcium uptake, Superoxide generation and Phagocytic activity in activated PMN Leukocytes)

  • 이정수;한은숙;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92
    • /
    • 1988
  • 세포질 내 칼슘 농도의 증가는 다형핵 백혈구의 산화성 대사를 자극하는 주요 인자로 여겨지고 있다.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로부터 lysosomal enzyme의 유리는 세포내 cyclic nucleotide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지만 신경전달물질과 ${\beta}$-아드레날린 또는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결합에 따른 그밖의 반응은 아직도 분명하지 않다. 덧붙여, ${\alpha}$-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중개에 의한 다형핵 백혈구의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다. Atropine, phentolamine과 propranolol은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의 칼슘흡수, superoxide 생성, NADPH oxidase 활성도 그리고 식작용을 억제하였으며, 이에 반하여 carbachol과 isoproterenol은 활성화된 세포의 반응을 약간 더 자극하였다. Carbachol또는 isoproterenol 의하여 항진된 superoxide 생성은 각각 그들의 길항제인 atropine과 propranolol 의하여 억제되었다.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의 반응은 chlorpromazine, verapamil과 dantrolene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lithium에 의 하여 약긴 항진되었다. 한편 chlorpromazine과 dibucaine은 NADPH oxidase 활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tropine, phentolamine과 propranolol은 칼슘에 의존적인 식작용을 억제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tropine, phentolamine과 propranolol은 칼슘 유입을 억제하고 자율 신경계의 수용체와 연관이 있는 NADPH oxidase계에 직접 작용함으로써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로부터 superoxide 생성을 억제할 것으로 시사되었다.

  • PDF

Sulfhydryl기와 세포막 구성성분의 대사 변화에 따른 다형핵 백혈구 기능의 변경 (Alteration of PMN Leukocyte Function by the Change of Sulfhydryl Group and Metabolism of Membrane Components)

  • 신재훈;이정수;한은숙;신용규;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5
    • /
    • 1989
  • 면역 보체가 결합되어 있는 zymosan에 의하여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에서 세포 투과성 물질인 N-ethylmaleiamide과 $Hg^{++}$은 superoxide 라디칼 생성, NADPH oxidase 활성도 및 lysosomal enzyme (lactic dehydrogenase, ${\beta}-glucuronidas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세포막 단백에 특이적인 p-chloromercuribenzoic acid와 p-chloromercuribenzenesulfonic acid는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NADPH oxidase 활성도와 lysosomal enzym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식작용 중에 세포막과 세포내의 sulfhydryl기는 반응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N-ethylmaleiamide와 $Hg^{++}$은 세포막과 세포내의 sulfhydryl기를 모두 감소시켰다. P-Chloromercuribenzoic acid와 p-chloromercuribenzenesulfonic acid는 세포막의 sulfhydryl기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 세포내 용해성 sulfhydryl기에는 영향을 주지않았다. Cysteine과 mercaptopropionylglycine는 superoxide 라디칼의 생성과 lysosomal enzym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Gluthathione은 superoxide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뚜렷하게 lactic dehydrogenas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N-ethylmaleiamide에 의한 superoxide 생성의 억제는 cysteine과 mercaptopropionyl-glycine에 의하여 반전되었으나 gluthathione의 영향은 없었다. N-ethylamleiamide에 의한 NADPH oxidase의 비활성화는 gluthathione, cysteine과 mercaptopropionylglycine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Carbachol에 의하여 항진된 superoxide 라디칼 생성은 N-ethylamleiamide에 의하여 완전히 억제되었고, atropine에 의하여 길항되었다. 그러므로, 외부 자극에 대한 다형핵 백혈구 반응의 표현은 sulfhydryl기의 양의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Lysosomal enzyme 유리는 세포막과 세포내의 sulfhydryl기에 의하여, 이에 반하여 superoxide생성은 세포내 sulfhydryl기에 의해서 영향받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ENTEROCOCCUS FAECALIS 추출물이 다형핵 백혈구의 METALLOPROTEINASE-8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Sonicated Extracts of Enterococcus faecalis on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8 by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 박성경;손원준;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2호
    • /
    • pp.138-144
    • /
    • 2005
  • Enterococcus faecalis의 추출물을 성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인간의 백혈구를 이용해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Enterococcus faecalis를 배양한 뒤 초음파 분쇄를 하여 추출물을 얻어냈다. 이중 일부는 적정한 농도의 Ca(OH)_2$를 처리하였다. 이후 E. faecalis 추출물군, E. faecalis 추출물에 $Ca(OH)_2$ 를 처리한 군으로 분리하여 다형핵백혈구를 자극하여 MMP-8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MMP-8는 처리하지 않은 PMN group에서도 나타났고, PMN을 E. coli LPS로 자극시킨 경우 증가하였다 (p < 0.05) SEF group 들에서는 MMP-8의 생성량이 SEF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 < 0.05). 따라서 Enterococcus faecalis는 PMN의 MMP-8 생산 억제 효과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Ca(OH)_2$로 처리한 SEF 군의 경우 각기 다른 SEF 농도에서도 모두 MMP-8 생성량이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PMN 군보다 많았다 (p < 0.05) . 하지만 각 군들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 > 0.05).

다형핵구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에 Histamine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stamine on Polymorphonuclear Leukocyte-induced Pneumocyte Injury in Vitro)

  • 김영균;권순석;김관형;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28-235
    • /
    • 1992
  • 연구배경 : 다형핵구는 폐조직세포들을 방어하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방어기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폐조직세포들의 손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나 다형핵구에 의한 폐조직세포 손상이, 폐조직세포들에 대한 다형핵구의 직접적인 세포득성작용에 의한 것인지, 혹은 다형핵구로부터 유리되는 어떤 세포독성 매개물질에 의한 것인치에 대해서는 아직 불확실하다. 한편 histamine은 알레르기성 질환 및 일부 호흡기질환의 병인에 중요한 매개물질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다형핵구의 여러 기능들을 조절하는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자를온 다형핵구에 의한 폐조직세포의 손상기전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이에 대한 히스타민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 $^{51}Cr$을 부착시킨 A549 폐포세포와 4명의 건강한 비흡연자들의 말초 정맥혈로부터 분리한 다형핵구 혹은 다형핵구 상충액을 함께 배양하여 발생되는 폐포세포 손상정도를 $^{51}Cr$-release assay로 측정하여 비교하는 한편, 각각의 경우에 다형핵구를 histamine으로 전처치함으로써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세포자극제의 종류와 농도 및 전처치한 히스타민의 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다형핵구 자체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 정도보다는, 다형핵구상충액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 정도가 더 심한 경향을 보였다. 2) Histamine으로 전처치한 다형핵구 자체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 정도는, HBSS만으로 전처치한 다형핵 자체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 정도에 비해, 전처치한 histamine의 농도와 다형핵구 자극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억제 혹은 증강되는 일정치 않은 양상을 나타냈다. 3) Histamine으로 전처치한 다형핵구의 상층액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 정도는, HBSS만으로 전처치한 다형핵구의 상층액에 의한 폐포세포 손상 정도에 비해, 전반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이 있었다. 결론 : 이상의 연구결과 다형핵구에 의한 폐세포 손상은, 다형핵구의 폐포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작용보다는 활성화된 다형핵구로부터 분비되는 어떤 세포독성 물질들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histamine은 정상적으로는 다형핵구의 세포독성작용을 억제하나, 다형핵구와 폐포세포간의 상호작용시에는 주위의 미세환경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In Vitro에서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에 대한 케타민의 효과 (Effect of Ketamine on the Oxidative Burst Activity of Canine Peripheral Blood Leukocytes In Vitro)

  • 김민준;강지훈;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4권
    • /
    • pp.393-399
    • /
    • 2006
  • 전신마취제인 케타민은 흥분성 아미노산의 활성을 방해하는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체의 비경쟁적인 길항제이다. 본 연구는 개 말초혈액 백혈구의 순간산소과소비현상(Oxidative burst activity; OBA)에 있어서 케타민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탐식세포의 OBA는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케타민을 말초혈액 다형핵백혈구(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PMN)와 monocyte-rich cells에 직접처리 하였을 때는 OBA가 감소하였으며, 또한 케타민을 처리한 말초혈액 단핵구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도 PMN과 monocyte-rich cells의 OBA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케타민을 처리한 PMN 배양상층액에 의해서는 탐식세포의 OBA에 있어서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OBA의 감소는 latex beads를 넣어 탐식반응이 일어날 때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탐식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케타민은 호중구와 단핵구와 같은 개 말초혈액 탐식구의 OBA에 있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Human Peripheral Polymorphonuclear Leukocyte에 대한 Proinflammatory Cytokinessl의 작용 (EFFECT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ON THE HUMAN PERIPHERAL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 송요한;외귀옥;이인규;소서영;문대희;이인우;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67-278
    • /
    • 1995
  • 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PMN) are the most numerous host cell in periodontal pockets and their presumed role is to form a protective barrier between the bacteria and periodontal tissues. Microbial component LPS activates macrophages to produce $IL-1{\beta}$, $MIP-1{\alpha}$, $-1{\beta}$, $TNF-{\alpha}$ and IL-6, etc. These cytokines have autocrine function to the macrophages, and paracrine function to other cell such as PMN and affect them to produce some biological functions. In the present study, human PMN were tested for the expression of $IL-1{\beta}$ and $MIP-1{\alpha}$ mRNA. Also we performed the receptor binding assay and in vitro assay for the antimicrobial action of HL-60 cell to determine whether HL-60 can replace the peripheral PMN in analyzing the biological functions. PMN were stimulated with $IL-1{\beta}$, TPA, $MIP-1{\alpha}$, LPS, IL-2 and total cytoplasmic RNA were extracted for the northern blot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duction kinetics of $IL-1{\beta}$ or $MIP-1{\alpha}$ mRNA expression, cells were stimulated for 0,1,2,3 hours. We found peak expression of $IL-1{\beta}$ mRNA after 1hr of induction with $IL-1{\beta}$, LPS and after 2hr of induction with TPA. $MIP-l{\alpha}$ also induced but a scarce $IL-l{\beta}$ message from PMN. In contrast to the $IL-l{\beta}$ mRNA expression, $MIP-1{\alpha}$ were not induced from PMN in any culture conditions. Receptors for $MIP-1{\alpha}$ were identified on dibutyryl cyclic AMP(dbcAMP)-treated HL-60 as well as peripheral PMN. dbcAMP treatment significantly enhanced antimicrobial action of undifferentiated HL-60 cell. MIP-1 further increased enhancing effect of dbcAMP. $IL-1{\beta}$, to a lesser extent, also increased dbcAMP-induced enhancing effect of antimicrobial action of HL-60 cell.

  • PDF

Effects of Omega-3 Fatty Acid on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bbits

  • Jang, Eun-A;Son, Sung-Kuk;Kang, Jeong-Hyeon;Lee, Seongheon;Kwak, Sang-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9-27
    • /
    • 202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larify the effects of omega-3 fatty acid on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Rabbi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groups. Each group received intravenous infusion of saline only, saline and Escherichia coli endotoxin, omegaven infuison (0.5 mL/kg/hr) and endotoxin, lipoven (0.5 mL/kg/hr) and endotoxin respectively. Infusion of saline was started 0.5 hr before the infusion of saline or endotoxin, and omegaven and lipoven were started 2 hours after endotoxin infusion for 4 hours. The lungs of rabbits were ventilated with 40% oxygen. Mean blood pressure, heart rate, arterial oxygen tension (PaO2), and peripheral blood leukocyte were recorded. The wet/dry (W/D) weight ratio of lung and lung injury score were measured, and analysis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was done. Endotoxin decreased PaO2, and peripheral blood leukocyte and platelet count. And it increased W/D ratio of lung, lung injury score and leukocyte count, percentage of PMN cells, concentration of IL-8 in BALF. Omegaven attenuated all these changes except for peripheral blood leukocyte counts. Omegaven attenuated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bbits mainly by inhibiting neutrophil and IL-8 responses, which may play a central role in endotoxin-related lung injury.

치주질환 심도와 치은열구액내 Myeloperoxidas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AND MYELOPEROXIDASE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 최병선;곽정민;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733-740
    • /
    • 1995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polymorphonuclear leukocyte(PMN) enzyme myeloperoxidase(MPO) in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collected from active or control site and gingival disease status described by clinical indices(gingival index, papillary bleeding index, pocket depth, periotron un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PO activity/site was greater at active sites than at control sites. 2. According to increasing the clinical parameters, MPO/sites was higher statistically (P<0. 01, P<0.05). 3. High MPO(unit/site) groups was higher statistically than low MPO(unit/site) groups in various clinical parameters. 4.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PO(unit/site) and GI, MPO($unit/{\mu}l$ GCF) and periotron unit were 0.4782, -0.5901, respectively.

  • PDF

Effect of Defibrotide on Rat Reflux Esophagitis

  • Kim, Hyoung-Ki;Choi, Soo-Ran;Choi, Sang-Jin;Chio, Myung-Sup;Shin, Yong-Ky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6호
    • /
    • pp.319-327
    • /
    • 2004
  •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 of defibrotide on the development of the surgically induced reflux esophagitis, on gastric secretion, lipid peroxidatio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PMNs) accumulatio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dherence,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PMNs, scavenge of hydroxyl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cytokine (interleukin-1 ${\beta}$,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blood, and intracelluar calcium mobilization in PMNs. Defibrotide did not inhibit the gastric secretion and not change the gastric pH. Treatment of esophagitis rats with defibrotide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and myeloperoxidase (MPO) in the esophagus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rats. Defibrotid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MN adherence to superior mesenteric artery endothelium in a dose-dependent manner,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1{\mu}M$ formylmethionylleucylphenylalanine (fMLP)- or $0.1{\mu}g/ml$ N-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activated PMNs was inhibited by defibrotide in a dose-dependent fashion. Defibrotide effectively scavenged the hydrogen peroxide but did not scavenge the hydroxyl radical. Treatment of esophagitis rats with defibrotide inhibited interleukin-1 ${\beta}$ production in the blood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rats, but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defibrotide. The fMLP-induced ele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in PMNs was inhibited by defibrot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fibrotide may have partly beneficial protective effects against reflux esophagitis by the inhibition lipid peroxidation, PMNs accumulation, PMNs adherence to endothelium,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PMNs,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i.e. interleukin-1 ${\beta}$), and intracellular calcium mobilization in PMNs in rats.

희첨이 RA 병태 모델에서 관련인자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egesbeckiae Herba on rheumatoid arthritis induced by collagen in MRL/MpJ-Ipr-Ipr Mice)

  • 조영주;김성훈;박종오;김동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03-411
    • /
    • 2003
  •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Siegesbeckiae Herba (here after abbreviated as SBH) on rheumatoid arthriti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cidence of rheumatoid arthritis, IRA(indices of rheumatoid arthritis), immunophenotypes by flow cytometer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MRL/MpJ-Ipr-Ipr Mice in vivo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cidence of RA in MRL/Ipr mice was suppressed to 60% of control by SBH. 2. IRA was significantly reduced for IgG3 and IgM at 20 weeks of age and for IgG2b at 12 and 20 weeks of age in mice by SBH compared with control. 3. Immunophenotypes such as CD4/sup +//CD25/sup +/, CD8/sup +//CD3e/sup +/, CD69/sup +//B220/sup +/, NK/sup +//CD3e/sup +/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SBH compared with control. 4. In histopathological analysis, SBH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PMN(polymorphonuciear leukocyte), leukocyte and fibroblast infiltration, and subsynovial soft tissue edema frequently show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arthritis, and also effectively reduced the degeneration of cartilages and degenerative bone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 Siegesbeckiae Herba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nd it is still necessary to isolate effective compound from Siegesbeckiae Herba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