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T technique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초

소아 예방치과 (Preventive dentistry for children)

  • 김진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29-133
    • /
    • 2008
  • Dental caries is the first disease to cause the pathological extraction of teeth in children. The complet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is not achieved by toothbrushing alone. The use of fluoride and pit and fissure sealant is regarded as key tools to prevent dental caries. Fluoride-containing tablets or multi-vitamins and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can be used as systemic application techniques. Professional fluoride application, fluoride iontophoresis on teeth, fluoride mouth rinsing and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can be used as local application techniques. Pit and fissure sealant is mainly used to prevent dental caries on occlusal surfaces of premolars and molars. Sweeteners not to occur dental caries has been developed to substitute sucrose. Dental erosion increases according to the high consumption of acidic soft drink or beverages. The appropriate use of fluoride and pit and fissure sealant are recommended to prevent dental caries effectively and the education is required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acidic soft drinks or beverages to decrease dental erosion.

PIT 기법을 활용한 게임 디자인 교육 (Game Design Education using PIT(Product Innovation Test) Technique)

  • 윤선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531-1537
    • /
    • 2021
  • 게임의 품질은 재미와 기능의 안정성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가운데 재미에 대한 품질 영역은 게임의 본질이므로 게임 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아주 중요하게 고려해야 될 요소이다. 독창성과 몰입성이 높은 재미있는 게임 디자인은 대개 아이디어 도출, 컨셉 설정과 같은 개발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 때 게임의 재미요소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게임의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 디자인 공부를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재미요소 설계를 교육할 때 PIT기법을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고품질의 재미있는 게임 디자인을 위해 PIT기법이 게임 디자인 교육현장에서 더 활발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VE 기법을 이용한 토취장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Borrow Pits by Using VE Techniques)

  • 김승기;이병석;양재혁;이종천;김찬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9-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Value Engineering 기법을 토취장 선정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규모 택지개발지역의 토취장 후보지들에 대한 지반조사 결과를 분석한 후 토취장 후보지들의 가채량을 산정하였으며, 토취장 후보지들의 VE 평가에는 가중치 부여 매트릭스평가법을 적용하였다. VE 평가를 위해 평가항목을 결정한 후 중요도를 산정하고 평가척도를 설정하였으며, 토취장 후보지에 대한 성능등급 및 성능평가를 수행하여 토취장 후보지들의 개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결과적으로 토취장 후보지들에 대한 상대공사비는 운반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운반거리가 멀어질수록 상대공사비는 점차 증가하므로 운반거리가 토취장 선정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적의 토취장 후보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토취장 자체의 조건도 중요하지만, 생애주기비용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oint Inject Technique을 이용한 치과 국소마취의 통증 조절 및 진료 효율의 극대화 (Pain control using the Point-Inject Technique in dental local anesthesia)

  • 이재윤;최성아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2-37
    • /
    • 2021
  • Many approaches to local anesthesia have been studied in dentistry.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local anesthetic method, "Point-Inject Technique (PIT)", and compare it with traditional injection techniques. The PIT method utilizes both the vasoconstrictive and antinociceptive properties of local anesthetics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controlled pressure during injection, reducing the time to complete anesthesia. Fifty patien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anesthetized using PIT, and the other 50 patient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using the direct injection method with a carpool syringe. The PIT group received 0.25 cartridges of 2%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The control group received 1.5~2 cartridges of 2% lidocaine with 1:100,000 epinephrine. Both groups were asked to mark the intensity of the pain caused by anesthesia using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The average time to recover from anesthesia was 40 minut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0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96% of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feeling no pain, while 78% of the control group reported having some form of pain during injection. The PIT method reduced both the reported pain scores of patients as well as time to recover from local anesthesia than the widely-used syringe injection method.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복숭아 및 씨의 부피 측정과 3차원 가시화 (Peach & Pit Volume Measurement and 3D Visualization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Data)

  • 김철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3호
    • /
    • pp.227-23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nondestructively estimate the volumetric information of peach and pit and to visualize the 3D information of internal structure from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data. Bruker Biospec 7T spectrometer operating at a proton reosonant frequency of 300 MHz was used for acquisition of MRI data of peach.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were implemented by using MATLAB (Mathworks) and Visualization Toolkit(Kitware), respectively. Thresholding algorithm and Kohonen's self organizing map(SOM) were applied to MRI data fur region segmentation. Volumetric information were estimated from segemented images and compared to the actual measurements. The average prediction errors of peach and pit volumes were 4.5%, 26.1%, respectively for the thresholding algorithm. and were 2.1%, 19.9%. respectively for the SOM. Although we couldn't get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with the limited number of samples, the average prediction errors were lower when the region segmentation was done by SOM rather than thresholding. The 3D visualization techniques such as isosurface construction and volume rendering were successfully implemented, by which we could nondestructively obtain the useful information of internal structures of peach.

무선 멀티미디어 센서 네트워크에서 예측부호화를 통한 우선순위 기반 이미지 전송 기법 (Priority based Image Transmission Technique with DPCM in Wireless Multimedia)

  • 이좌형;정인범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023-1031
    • /
    • 2010
  • 최근 하드웨어와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무선 멀티미디어 센서네트워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데이터를 갖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네트워크 대역폭이 극히 낮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효율적인 데이터 압축과 전송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이미지 데이터를 예측부호화를 통해 압축된 이미지를 우선순위에 기반하여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전송 기법(Priority based Image Transmission Technique With Wavelet Transform)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PIT 기법은 이미지의 웨이블릿 변환을 통하여 나누어진 영역별로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PIT기법은 패킷의 우선순위에 따라 전달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 중요한 데이터일수록 전송이 성공할 가능성을 높인다. PIT기법은 웨이블릿 변환의 특성상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되더라도 최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한다. PIT에서는 연속적인 이미지 사이의 유사성을 고려한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예측부호화(DPCM)을 통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우선순위별로 균등하게 분포시킴으로써 화질열화를 최소화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이 데이터가 손실되더라도 높은 화질을 보장함을 보인다.

소아의 치아 우식 부위별 세균 다양성 (Bacterial diversity in children's dental caries)

  • 김은미;백근식;하명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89-900
    • /
    • 2013
  • Objectives :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were employed to assess diversity of bacterial in children's dental caries. Methods : DNA of germs was extracted and the diversity of the 16S rRNA clones was analyzed by amplified rDNA restriction analysis and sequencing. The experimental samples were pit and fissure caries (PC), deep dentinal caries (DC), smooth surface caries (SC), and supragingival plaque (PQ) from 50 children of age less than 12 years old. The control group was healthy teeth supragingival plaque (HT). Thirty clones from each 16S rRNA clone library of 5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thus a total of 150 clones were analyzed. Results : Amplified rDNA restriction analysis uncovered 18, 20, 11, 17, and 22 phylotypes from healthy teeth, pit and fissure caries, deep dentinal caries, smooth surface caries, and supragingival plaque, respectively. Sequencing analysis found the dominance of Actinomycs naeslundii and Fusobacterium nucleatum in the healthy teeth; Leptotrichia sp. in the pit and fissure caries; Actinomyces sp., Streptococcus mutans, and Rahnella aquatilis in the deep dentinal caries; Streptococcus mutans and Actinomyces sp. in the smooth surface caries; Enterobacter hormaechei and Streptococcus sanguinis in the supragingival plaque. Conclusions : Clonal analysis identified 6 phyla, 20 genera, and 51 species.

Mean fragmentation size prediction in an open-pit min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the Kuz-Ram model

  • Seung-Joong Lee;Sung-Oong Cho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4권5호
    • /
    • pp.547-559
    • /
    • 2023
  •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the Kuz-Ram model for predicting the mean fragmentation size in open-pit 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itu rock considered here wer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rock factor, and mean in-situ block size. Seventy field datasets that included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to predict the mean fragmentation size. Deep neural network, support vector machine,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models were trained using the data.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The XGBoost model had the smallest RMSE and the highest r2 value compared with the other models. Additionally, when analyzing the error rate betwe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s, XGBoost had the lowest error rate. When the Kuz-Ram model was applied, low accuracy was observed ow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ata used for model development. Consequently, the proposed XGBoost model predicted the mean fragmentation size more accurately than other models. If its performance is improved by securing sufficient data in the future, it will be useful for improving the blasting efficiency at the target site.

다중가시점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방법: 지형요소를 이용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Solution Approaches to Multiple Viewpoint Problems: Comparative Analysis using Topographic Features)

  • 김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4-95
    • /
    • 2005
  • 본 논문은 가시권역의 최대화를 만족하는 가시권 분석에 있어 지형요소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최적 다중 가시점 탐색 문제에 있어 지형요소의 이용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지형상태를 반영하는 지역의 DEM 자료와 각 DEM자료에 대한 지형요소 (peak, pass, pit)의 특정을 반영한 여섯 종류의 탐색방법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공간 휴리스틱 (spatial heuristic)과의 비교 분석 (계산 시간과 총 가시권역 크기)을 통해서 지형요소를 이용한 방법의 효율성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써, 가시구역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시된 버퍼링을 이용한 방법의 경우, 비록 공간 휴리스틱 방법에 비해 적은 가시구역 면적을 제시하였지만, 컴퓨팅 시간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연구지역의 DEM상의 각각의 개별 그리드 셀을 대상으로 전체 DEM에 대해 계산된 가시구역을 이용한 방법의 경우, 비록 부가적인 계산 시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지형요소를 이용한 방법보다 향상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치아재건 시스템을 위한 컴퓨터 모델링 기술 (Computer Modeling Techniques for Teeth Reconstruction System)

  • 엄성권;김병오;유재수;유관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598-600
    • /
    • 1999
  • 본 논문은 수공으로 이루어지는 치과 치료 및 보철물 제작을 3차원 컴퓨터 모델링을 하여 좀 더 정확하고 빠른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기존 2차원 기반이 아닌 3차원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구강의 석고 모형을 3차원으로 컴퓨터에 모델링한 후, 모델링 정보로부터 능선(ridge), 교두(crusp), 피트(pit), 열구(fissure), 변연(margin) 등과 같은 치아 특성 정보추출과 교합면 생성을 통하여 보철물, 예를 들어 Conus 내관과 외관을 제작한다. 해부학적으로 무수히 많은 변수를 갖고 있는 구강 구조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이들 일련의 과정에서 요구되는 컴퓨터 모델링의 주요 기술들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