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BW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여고생의 철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과 철보충제 효과 연구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Iron Supplementation on Iron Status of High School Girls)

  • 홍순명;황혜진;서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9호
    • /
    • pp.943-951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ron supplement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on the iron status and anemia of high school girls. The subjects resided in Ulsan city in Korea and were already diagnosed as having anemia or iron deficiency. Over a period of three months, one iron tablet (80 mg Fe as ferrous sulfate/day) was administered to the iron deficient subjects and two tablets (160 mg Fe as ferrous sulfate/day) were administered to the anemia subject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anemia subjects were 161.24 $\pm$ 4.50 cm and 50.87 $\pm$ 5.86 kg,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kg/$m^2$ )was 19.58 $\pm$ 2.03 and the PIBW(percent ideal body weight) were 92.52 $\pm$ 9.84%. Except for vitamin A and vitamin C intakes, the intake levels of all other nutrients were below the RDA. Total calorie intakes of anemia subjects were 73.5% of RDA. The iron intakes of subjects from food were 69. 1% of RDA and the Ca intakes were 59.1% of RDA. The basal hemoglobin(Hb) concentration of anemia subjects averaged 10.77 $\pm$ 1.33 g/dl, and this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to 12.12 $\pm$ 1.08 g/dl, after iron supplementation. The basal ferritin, and transferrin saturations {TS (%)}of anemia subjects were 12.51 $\pm$ 15.19 ng/$m\ell$ and 8.43 $\pm$ 7.56%, respectively, and these significantly increased to 20.59 $\pm$ 22.39 ng/$m\ell$ and 15.56 $\pm$ 12.87%, respectively. The level of total iron binding protein (TIBC)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initial 486.80 $\pm$ 70.16 $\mu\textrm{g}$/dl to 417.86 $\pm$ 67.73 $\mu\textrm{g}$/dl (p < 0.001) after iron supplementation. For the iron deficiency subjects, the ferritin, iron and TS(%) leve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nd the TIBC levels were significantly (p <0.001) decreased after iron supplementation. Anemia symptoms such as 'Feeling blue (p<0.05)', 'Decreased ability to concentrate (p<0.001)' and 'Poor memory (p<0.05)'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ron supplementation in the anemia subjects. The number of tablets administere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serum hemoglobin (t=0.194, p< 0.01), serum ferritin (t=0.181, p<0.01), TS(%) (t=0.141, p<0.05), and hematocrit (t=0.254, p<0.01),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hanges in TIBC (t=-0.143. p<0.05) and red cell distribution width (RDW, t=-0.140, p<0.05). In conclusion, daily iron supplement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ron status and reducing symptoms of anemia in high school girls. (Korean J Nutrition 35 (9) : 943~951,2002)

수유부에서 두유 보충이 모유, 혈액 및 뇨 중 Isoflavo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 Milk Supplement on Isoflavone Concentration of Breast Milk, Plasma and Urine from Breast Feeding Woman)

  • 이현주;장영은;이혜옥;김정숙;김승보;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7호
    • /
    • pp.736-742
    • /
    • 2003
  • Soybeans have been a major protein source for many centuries in Korea. Soybeans contain phytochemicals which are isoflavones, biochemically active component. Isoflavone is a kind of phytoestrogen,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similar to estrogen.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breast milk and blood of breast feeding mothers who consume soy products contain isoflavon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y milk supplement on the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concentration of breast milk, plasma and urine from breast feeding woman. Seventeen healthy women who delivered at Kyung Hee Medical Center were recruited. For the first 2 weeks after delivery, seventeen women ingested 400 ml (isoflavone 43.2 mg) of soy milk on the given time starting from the day of giving birth. For the next 2 weeks, soy milk ingestion was withdrawn. Dietary intake and anthropometric data were checked and breast milk, blood, and 24 hr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on the day of giving birth, the 14th (the last day of the supplement phase) and 28th (the last day of the withdrawal phase) day, respectively. HPLC analysis was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isoflavones. Dietary intakes of the subjects were inadequate for the Korean RDA regardless of soy milk supplementation. Especially, intakes of vit A, calcium, and iron were very low. The Anthropometric data such as LBM, TBW, PIBW, BMI checked on the day of 14th decreased and maintained their levels by the 28th day. Daidzein concentration in breast milk was not affected by soy milk supplementation. However, genistein concentration decreased by the 28th day (14th day: 0.89 $\pm$ 0.10 $\mu$g/ml, 28th day : 0.48 $\pm$ 0.07 $\mu$g/ml) (p < 0.05). Plasma daidzein and genistein concentrations were not changed by the 14th day and decreased by the 28th day (14th day: 49.64 $\pm$ 3.30 ng/ml, 26.72 $\pm$ 2.90 ng/ml, 28th day: 38.30 $\pm$ 4.40 ng/ml, 6.51 $\pm$ 0.50 ng/ml, respectively) (p < 0.05). Twenty four hour urine concentrations of daidzein and genistein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14th day and decreased by the 28th day (14th day: 5.80 :t 0.3 mg/d, 4.17 $\pm$ 0.2 mg/d, 28th day: 6.72 $\pm$ 0.4 mg/d, 5.09 $\pm$ 0.5 mg/d, respectively) (p < 0.001). The rate of urinary recovery of daidzein was greater than that of geniste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upplement of dietary soy milk to the lactating women elevates the contents of isoflavone in the breast milk.

대전시에 거주하는 남ㆍ녀 고등학생의 체격지수 평가 및 섭식 장애 행동 분석 (Study on the Physique Status and Eating Disorder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 김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5-129
    • /
    • 2004
  • 본 연구는 대전시 소재 고둥학교를 대상으로 동일한 학년의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분류하여 체형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평가를 하고 섭식 장애 행동을 분석하여 섭식 장애 고위험집단을 분류해 내었다. 또한, 체형에 대한 만족도 및 체중조절 행동 및 식생활 행동을 분석하여 섭식장애 행동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들은 유의적으로 동일 연령의 남학생에 비해(p<0.05) 자신의 체형을 실제보다 더 비만한 쪽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정상체중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체중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섭식장애 고위험 집단으로 분류된 남학생과 여학생은 2.6%와 11.4%로 나타났으며, 전체 7.2%로 분류되었다. 섭식장애 행동에는 체형에 대한 만족도, 체중 조절 경험 그리고 식생활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여학생에게서 뚜렷하게 나타났다(p<0.001).

  • PDF

건강관리 요인들에 따른 혈중지질 농도 및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 남혜원;김은경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78-78
    • /
    • 2003
  • 심혈관계질환의 예방과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운동 습관과 음주, 흡연, 폐경, 비만 여부에 따라 신체계측치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cholesterol, LDL-cholesterol 등의 혈청지질 및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체중이나 신장, 비만 정도 및 WHR 등 신체계측지수는 음주나 흡연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적으로 상승시켰다. 2)음주군은 비음주군에 비하여 단백질의 열량비율(% RDA)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흡연군은 비타민 A와 나이아신, 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E의 섭취량에 있어서 비흡연자들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3)운동에 의한 혈청지질 농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들의 경우 현재의 체중과 PIBW, Quetlet index, 엉덩이둘레가 비운동자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 운동군이 비운동군에 비해 콜레스테롤과 나이아신 및 인을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 당질의 섭취비율은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p<0.05). 여성의 경우에는 불포화지방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 비운동군의 불포화지방 섭취량이 더 많았다(p<0.05). 4)폐경한 여성의 경우 폐경 전 여성에 비하여 신장은 더 작고 WHR은 더 높았다. 폐경 이후 estrogen 분비의 변화로 인하여 혈중 지질 성분 중에서는 cholesterol이 198.4$\pm$36.3mg/dl, LDL이 119.5$\pm$34.9mg/dl로 폐경 전의 수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5)비만 여부는 남자의 경우 콜레스테롤 농도에(p<0.01)), 여자의 경우 중성지방 농도(p<0.01)에 대해 의미있는 설명력을 보이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이 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생활습관이 신체계측치 및 혈중 지질 농도와 일부 상관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건강위험 요인도 관찰할 수 있었다. 고지혈증은 심혈관계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유발 요인에는 여러 환경적인 요인과 식이 요인이 있다. 또한 생활습관은 영양소의 섭취량에도 영향을준다. 이처럼 식이 요인과 생활습관은 단독 혹은 상호 영향을 주게 되므로 고지혈증 및 심혈관계질환을 개선하려면 식사요법과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하여야 한다. 고지혈증의 원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음주와 흡연은 상호 유도작용이 있으므로 금연이나 절주를 하고자 할 경우 두가지를 동시에 자제해야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폐경후 여성들에게 발생 빈도가 높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인 고지혈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노력은 폐경후 여성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균형식 섭취와 운동을 통해 혈중 지질 수준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비만으로의 이행을 방지함으로써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도록 하여야겠다.

  • PDF

부산지역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 실태 및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menstrual Syndrome(PMS) and the Nutritional Intake of College Women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 황혜진;김영만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31-740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premenstrual syndrome (PM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nutritional intak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8 college women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Menstrual Discomfort Questionnaire (MDQ) regarding PMS, food intake frequencies and nutritional intake. We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PMS symptoms and nutritional intake.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anemic subjects were 161.42 $\pm$ 3.50 cm and 51.87 $\pm$ 5.42 kg. The average BMI (body mass index, kg/$m^2$) was 19.92 $\pm$ 2.14 and PIBW (percent ideal body weight) were 93.02 $\pm$ 9.75%. Except for phosphorous, vitamin A and vitamin C intakes, the intake levels of all other nutrients were below the Korean RDA. The average calorie intake of the subjects was 1645.65 $\pm$ 352.63 kcal (82.2% of the Korean RDA) and iron intake of the subject was 11.06 $\pm$4.03 mg (69.1% of the Korean RDA) . The calcium and vitamin $B_6$ intakes were 512.26 $\pm$ 183.12 mg (73.1% of the Korean RDA) and 1.12 $\pm$ 0.14 mg (80.0% of the Korean RDA), respectively. With regard to their menstrual state, 45.9%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menstrual cycles were irregular. The frequency of PMS of the subjects was 30.2% (over 3 points) on 5 point scale (1 : no. 5 severe). The common symptoms of PMS of the subjects were pain (2.32 $\pm$ 1.01), negative effects (2.27 $\pm$ 0.87), behavioral changes (2.26 $\pm$ 0.85), water retention (2.07 $\pm$ 0.78) , arousal (1.79 $\pm$ 0.84) , autonomic reactions (1.77 $\pm$ 0.87) , lack of control (1.69 $\pm$ 0.75) and decreased concentration (1.68 $\pm$ 0.75) .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the PMS symptoms and calcium (p < 0.01) , vitamin E (p < 0.05) , carbohydrate (p < 0.05) . This suggests that PMS represents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nutrient deficiency states especially calcium.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alcium supplementation is likely to be of benefit in relieving PMS symptoms.

MNA (Mini Nutritional Assessment)를 이용한 건강증진센터 내원 노인의 영양상태 판정 (Nutrition Assessment of Older Subjects in a Health Care Center by MNA (Mini Nutritional Assessment))

  • 이혜옥;이정숙;신지원;이금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2호
    • /
    • pp.122-132
    • /
    • 2010
  • Elderly people compris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and nutritional impairments may contribute to health problems among this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by Mini-Nutritional Assessment (MNA) an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iochemical indicators,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MNA results among older adults (${\geq}$65 yrs, n=98, 66.7${\pm}$2.5 yrs; M=52, F=46, BMI 24.5${\pm}$2.8 $kg/m^2$) at a Health Care Center. A dietitian administered MNA and collect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ight, height, waist circumference), biochemical indicators (albumin, hemoglobin, hematocrit, TLC, glucose, lipids) and the BMD (spine, femur, F=46). Subjects were grouped into a normal nutrition group (0~2 risk factors of malnutrition) and a high risk of malnutrition group (>=3 risk factors of malnutrition) based on their risk factor status for malnutrition. The risk factors for malnutrition include age ${\geq}$65 years, PIBW <90%, albumin <3.5 g/dl, TLC <1,500%, Hgb <14 g/dl (men), Hgb <10 g/dl (women), loss of appetite and weight loss 1~3 kg/last 3 months. In addition, subjects were grouped into a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group by BMD. We found that 12% of the subjects were at risk of malnutrition (MNA score, 21.4${\pm}$2.1) and that 88% were well nourished (27.3${\pm}$1.5) according to the MNA. Full-MNA scores we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0.05) associated with BMI, mid-arm circumference (MAC), calf circumference (CC), albumin and hemoglobin, respectively. The full-MNA score of the high risk of malnutrition group (23.0${\pm}$3.8)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nutrition group (27.0${\pm}$2.1) (p<0.05). In addition, the Full-MNA sco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risk factor of malnutrition (r=-0.35, p=0.0004). We found that 39.1% of the subjects had osteoporosis, 45.7% had osteopenia and 15.2% were normal according to their BMD. The MNA score of osteoporosis group (24.58${\pm}$3.3)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27.4${\pm}$1.1) and osteopenia group (26.9${\pm}$1.5)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NA can be useful as a nutritional screening tool of older adults in Health Care Centers.

Effect of Functional Beverage on Weight Control and Body Fat Mass in Overweight Women

  • Chae, Jey-Sook;Lee, Jong-Ho;Koh, Soo-Jeong;Jang, Yong-Soo;Lee, Jin-He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4호
    • /
    • pp.257-264
    • /
    • 2003
  • Carnitine, hydroxycitric acid, and soy peptide have been known to be anti-obesity ag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s of carnitine, hydroxycitric acid, and soy peptide mixture as a potential anti-obesity supplement in overweight women. Overweight premenopausal women (n=33; PIBW>110; 20 to 39 year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placebo group and the functional beverage group (the test group). Functional beverage was composed of 2000 mg soy peptide, 20 mg L-carnitine and 300 mg garcinia(40% hydroxycitric acid). Body weight and 3 day food dimes, biochemical measurements and computerized tomography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8-week. After 8-week consumption of functional beverage with usual diet and exercise, body weight fell an average of 1.4 kg (2.1%). Visceral fat area reduced an average of 7.8% at L1($69.6{\pm}8.7\;vs\;64.2{\pm}7.5\;\textrm{cm}^2$) and 5.1% ($60.7{\pm}4.9\;vs\;57.6{\pm}4.8\;\textrm{cm}^2$, p<0.05) at L4level after weight loss in the test group. Calf fat area in the test group showed about 10% reduction ($31.0{\pm}2.7\;vs=\;27.7{\pm}1.7\;\textrm{cm}^2$, p<0.05) after weight loss. These reductions in fat areas were not shown in the placebo group. There were tendencies of increase in serum levels of $\beta-hydroxybutyrate$, acetoacetate, and total ketones in the test group. There were 7% and 17% insignificant increase in fasting free fatty acid (FFA) and response area of FFA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OGTT), respectively, in this group. ill addition, little weight loss in the test group showed 8% but not significant reduction in insulin response area during OGT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aking a mixture of carnitine, hydroxycitric acid, and soy peptide as a potential anti-obesity supplement for 8-week produced advantageous changes in the weight and visceral fat accumulation of overweight women.

골밀도 분류에 의한 정상군과 골감소증군 여대생의 식사관련 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by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 최지희;김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69-878
    • /
    • 2008
  • 최대골질량에 근접할 수 있는 20대 여성들의 골격건강 상태는 중년기 이후 급증하는 골절이나 골다공증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하여 청년층의 식사지침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대 여대생들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정상군과 골질환군으로 분류한 후, 신체계측과 식사섭취 상태 등을 조사 비교하고, 골밀도와 관련된 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골밀도는 WHO에서 분류한 T-score값에 따라 정상군 59명($-0.42{\pm}0.45$), 골감소증군(골다공증 2명+골감소증 41명, $-1.52{\pm}0.41$) 43명이었으며,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을 나타낸 대상자는 전체 대상자의 약 42%로 나타났다. 평균 연령은 21.43세,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BMI)는 각각 $161.25{\pm}4.77\;cm$, $56.05{\pm}9.20\;kg$과 21.5($kg/m^2$)이었으며 전체 대상자 중 60명(58.8%)만이 정상체중군에 속하였고 골감소증군에서 저체중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정상군과 골감소증군의 신체계측치를 비교했을 때, 체중, 체단백질(protein mass), 무기질(mineral mass), 골격근량(skeletal muscle mass), 제지방량(fat free mass) 및 체수분(total body water) 함량 등이 골감소증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RIs)의 75% 이하로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에는 비타민 C(73%), 엽산(49%), 칼슘(66%)과 칼륨(45%) 등이었고, 영양섭취기준에 비해 높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에는 단백질(136%), 비타민B6(120%), 인(122%) 및 나트륨(충분섭취량의 256%) 등이었다. 체중 1 kg당 영양소섭취량을 분석 비교한 결과에서는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상군에 비해 골감소증군에서 에너지섭취량이 다소 높았고, 칼슘은 섭취량자체는 많았지만 동물성칼슘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고, 마그네슘(Mg)의 섭취량도 적게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과 섭취빈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상군과 골질환군에서 섭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우유와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골감소증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Tscore와 관련성을 보인 신체계측지수는 체중(p<0.01), PIBW(p<0.05), 신장(p<0.01), 체단백질(p<0.001), 체지방량(plt;0.05), 무기질(p<0.001), 체수분(p<0.001), 근육량(p<0.001), 제지방량(p<0.001), BMI(p<0.05), 골격근량(p<0.001), 허리둘레(plt;0.05) 및 엉덩이둘레(plt;0.05) 등이었으며, 체중 1 kg당 영양소섭취량과의 관련성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당질, 인, 나트륨 및 칼륨이 유의적으로($p<0.05{\sim}p<0.01$)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섭취빈도와의 관련성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빈도는 양(+)의, 버섯류의 섭취빈도는 음(-)의 유의적인(p<0.05)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최대의 골질량에 근접해야하는 20대 여대생의 골격건강상태는 약 42%의 대상자가 골감소증군으로 나타나, 중년층의 골질환 발병율과 거의 같은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골격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적정 체중유지가 중요한데, 전체 대상자의 약 59%만이 적정체중 범위에 있었고, 골감소증군에서 저체중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건강체중유지에 대한 교육도 강조되어져야 할 것이다. 식사관련요인에서는 각 영양소의 섭취량 자체도 중요하지만 특히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및 마그네슘등의 경우 각 영양소 상호간의 섭취 비율이 골격건강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취약한 칼슘섭취상태를 보완하기 위한 주요 급원식품으로는, 우유와 유제품의 공급이 우선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 근로자의 비만정도에 따른 건강상태와 영양상태 및 식이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 of Health Statu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Self-Efficacy to the Obesity Levels of Male Workers)

  • 장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849-8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대구${\cdot}$경북지역 20, 30대 남성 근로자 224명을 대상으로 비만정도에 따른 신체적 특성,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BMI는 조사대상자 모두 대한비만학회에서 제시한 정상 범위인 18.5${\sim}$23 $kg/m^{2}$에서 벗어난 과체중으로 조사되었다. BMI가 증가함에 따라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고, 평균 혈압은 비만군이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01)가 있었으며, 공복 시 혈당은 30대가 20대보다 높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간질환의 유무를 알 수 있는 지표인 SGOT, SGPT 및 ${\gamma}-GTP$는 BMI별로 보면 비만군은 정상군 및 과체중군보다 높아 유의적인 차이(SGOT, SGPT: p<0.001, ${\gamma}-GTP$: p<0.01)를 보였다. 건강상태에 따른 생화학적 상태를 살펴보면, 수축기혈압은 관리요망군, 질환의심군, 정상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으며, 확장기혈압, 총콜레스테롤, 공복 시 혈당, SGOT, SGPT 및 ${\gamma}-GTP$는 정상군 및 관리요망군과 질환의심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비만정도에 따른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20대에서 비타민 E가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p<0.05)가 있었으나 30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섭취부족의 비율은 칼슘 71.0%, 아연 50.9%, 비타민 $B_{2}$ 70.5%, 비타민 C 56.3%, 엽산 81.3%, 나이아신(28.1%), 비타민 $B_{1}$(34.5%), 철(18.3%), 비타민 $B_{6}$(16.5%) 등으로 영양소 섭취부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20, 30대 근로자들의 영양 섭취 상태 개선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 자기효능감 점수는 51.5점으로 20, 30대 남성근로자의 식이 자기효능감이 대체적으로 매우 좋게 나타났고,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90% 이상이 식이 자기효능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 식생활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총 인과 관계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식생활 태도, 연령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인 20, 30대 남성 근로자 대부분이 과체중에 속하며, 체중이 증가할수록 BMI,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체지방율(%) 등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영양소섭취 부족비율은 칼슘 71.0%, 아연 50.9%, 비타민 $B_{12}$70.5%, 비타민 C 56.3%, 엽산 81.3% 등으로 높게 나타나 근로자들의 영양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천마분말 복용이 심혈관계 질환 노인들의 혈중 지질 양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Powder on Plasma Lipid Profiles in the Elderly with Cardiovascular Disease)

  • 양경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58-868
    • /
    • 2008
  • 평균 수명과 노인 연령층의 증가에 따른 노인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건강증진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양군 마을 주민들 중에서 60세 이상으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진단 및 유소견자 중 자원자 32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14일에서 2007년 3월 13일까지 6개월 동안 천마복용 전후의 설문조사와 혈액학적 지질성분 변화 양상에 대한 천마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전체 평균 연령은 $65.7{\pm}7.84$세로 남자는 $70.0{\pm}6.24$세, 여자는 $63.3{\pm}7.76$세이었다. 전체 평균키와 몸무게는 각각 $152.5{\pm}28.9\;cm$, $57.6{\pm}10\;kg$이었으며, 남자 노인은 $165.3{\pm}5.86\;cm$461.7{\pm}11.7\;kg$, 여자 노인은 $143.7{\pm}34.9\;cm$$54.4{\pm}8.03\;kg$로 표준 체격보다 작았고 남자 노인에 비해서 여자 노인의 비만도가 다소 높았다. 질병보유상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81.3%로 고혈압, 근골격 질환, 당뇨병, 심장병, 신경통 등을 앓고 있었다. 약물복용 상태는 조사대상자의 53.1%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은 없었으며, 한 가지 약물복용은 남녀 각각 18.2%, 38.1%, 두 가지 약물복용은 9.1%, 9.5%로 남자 노인이 여자 노인보다 약물 복용수가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식태도는 남자에 비해서 여자가 채소와 과일의 섭취 빈도수가 높았으나 남녀 모두 육류와 생선의 빈도수가 낮았다. 1회 식사량은 조사대상자의68.8%가 보통수준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87.1%가 균형식으로 먹는다고 답하였다. 또한 영양위험도 평가에서는 고위험 영양불량군이 남녀 각각 81.8%, 76.2%로 고위험 영양불량상태인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천마복용 전후의 남녀의 혈압, 혈당 및 헤모글로빈의 평균 수치는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있었으며, 천마복용으로 남자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이완기혈압이 증가된 반면에 혈당이 감소되었다. 혈액 내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과 HDL-콜레스테롤 역시 천마복용 전후 남녀의 평균 수치는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남자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중성지방은 감소된 반면에 HDL-콜레스레롤은 p<0.05 수준에서 천마복용 전에 비하여 복용 후에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동맥경화나 심혈관계 위험 지수에 있어서는 남녀 모두 천마복용으로 유의적으로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남녀 성별에의한 영향을 통제하고 천마복용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천마복용이 최고혈압, 최저혈압, 헤모글로빈,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AI, CRF 그리고 HTR에는 유의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천마복용이 p<0.01 수준에서 혈당치와 p<0.05 수준에서 LHR에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기본적으로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를 자원자 중심으로한 결과 이들 중 56% 정도가 혈당강하제, 고지혈증 및 고혈압 약을 복용하면서 천마를 섭취했다는 한계점 때문에 천마복용 전후 혈압과 혈중 지질성분이 정상 기준치 범위 내에 있었으며, 그 결과 혈당, 혈압 및 지질성분에 대한 뚜렷한 함량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앞으로 천마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생리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정상인, 고지혈증 환자, 고혈압 환자, 약물 복용자 및 비복용자 등 각 항목에 대한 정상군과 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혈압과 혈중 지질성분에 대하여 천마 이외에 다른 관련 인자가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도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천마의 복용으로 동맥경화나 심혈관계 질환에 관련된 위험지수가 저하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의 목적을 위해 한의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마의 심혈관계 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천마를 이용한 다양한 건강식품이 개발되어 국민 건강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