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MB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보존제 PHMB(polyhexamethylene biguanide)-EGCG(epigallocatechin gallate) 혼합물의 각막상피세포 급성독성 평가 (Acute Cytotoxicity Testing of Polyhexamethylene-biguanide (PHMG) and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Mixture on the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

  • 김남열;이군자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1-541
    • /
    • 2018
  • 목적 : 항균제 polyhexamethylene Biguanide(PHMB),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및 PHMB/EGCG 혼합물의 각막상피세포(primary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HCEpiCs)에 대한 급성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각막상피세포를 0.00001~0.005% PHMB, 0.001~5% EGCG 및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이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30분, 60분, 120분 및 24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막상피세포를 고정한 다음 Draq 5로 염색하고 공초점현미경과 ImageXpress $Ultra^{TM}$를 이용하여 세포형태를 관찰하여 세포생존율과 세포자살(apoptosis)을 비교하였다. 결과 : 배양된 각막상피세포는 0.00005% 이하의 PHMB 농도 및 0.05% 이하의 EGCG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이 포함된 배양액에서 급성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240분 배양시킨 경우에는 손상된 각막상피세포 수가 증가하고 생존 세포의 수는 감소하였다. 결론 : 항균 시너지 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0.00005% PHMB/0.05% EGCG 혼합물의 경우 각막상피세포에 대한 급성독성은 없었으나 만성효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저살충농도의 PHMB로 처리한 각막염 유래 가시아메바 세포 미세구조 변화의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Ultrastnlctural changes of Acanthamoeba cyst of clinical isolates after treatment with minimal cysticidal concentration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 공현희;정동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1호
    • /
    • pp.7-14
    • /
    • 1998
  • 최근 가시아메바 각막염의 치료제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polyhexamethylene biguanide (PHMB)의 가시아메바에 대한 작용 기전을 알기 위해 각막염 유래 가시아메바 4 분리주에 대한 PHMB의 최저 살충 농도 (minimal cysticidal concentration; MCC)를 결정하고, 이 MCC의 PHMB로 처리한 포낭의 형태학적 변화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PHMB의 8시간과 48시간에 대한 MCC를 결정하였는데, 8시간 MCC는 KA/E1 $14.32{\;}{\mu\textrm{g}}/ml$. KA/E2 $22.45{\;}{\mu\textrm{g}}/ml$, KA/E3 $21.54{\;}{\mu\textrm{g}}/ml$, 및 KA/E4 $23.59{\;} {\mu\textrm{g}}/ml$였다. 48시간 MCC는 KA/El $3.97{\;}{\mu\textrm{g}}/ml$, KA/E2 $7.49{\;}{\mu\textrm{g}}/ml$, KA/E3 $6.40{\;}{\mu\textrm{g}}/ml$ 및 KA/E4 $4.92{\mu\textrm{g}}/ml$로 나타났다. PHMB를 처리한 포낭에서는 포낭 내 amoeb고가 심하게 수축되고 이로 인해 포낭 내벽과 분리되는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세포막 아래의 subplasmalemmal lipid droplet의 모양이 불규칙해졌다 심한 경우 세포질이 응집되고. 미토콘드리아의 cristae도 크게 감소하는 등 세포 내 소기관들도 모양이 심하게 변하였다. 포낭 내외벽은 그 형태가 비교적 잘 유지되었다. 이상의 변화들로 볼 때. PHMB는 세포막에 주로 작용하며, 세포 내 소기관들의 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시아메바의 세포막의 lipidcomposition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PHMB에 의한 가시아메바 포낭에 대한 살충 효과는 environmental biocide로서 Escherichia col거 세포벽에 있는 acidic prlospholipids에 작용하여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과 유사한 기전으로 일어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canthamoeba isolated from amebic keratitis related to orthokeratology lens overnight wear

  • Lee, Jun-Joo;Jeong, Hae-Jin;Lee, Ji-Eun;Lee, Jong-Soo;Xuan, Ying-Hua;Kong, Hyun-Hee;Chung, Dong-Il;Ock, Mee-Sun;Yu, Hak-S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313-320
    • /
    • 2006
  • In an effort to characterize, on the molecular scale, the Acanthamoeba initially isolated from the cornea of an amoebic keratitis patient associated with overnight-wear orthokeratology lens in Korea, we conducted mitochondrial DNA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18S rDNA sequencing, and drug sensitivity analyses on the isolate (KA/PE1).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olyhexamethylene biguanide, chlorhexidine and oral itraconazole, which resulted in resolution of the patient's ocular inflammation. The majority of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 KA/PE1 were determined to be identical, or quite similar, to those of A. castellanii Ma strain, which had been isolated also from amoebic keratitis. The risk of Acanthamoeba keratitis as a potential complication of overnight orthokeratology is briefly discussed.

화학적 수식에 의한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eta$-D-Xylosidase 의 연구 (Chemical Modification of the $\beta$-D-Xylosidase from Bacillus stearothermophilus)

  • 서정한;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6-642
    • /
    • 1994
  • Essential amino acids involving in the catalytic mechanism of the $\beta$-D-xylosidase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studies. Among various che- mical modifiers tested N-bromosuccinimide (NBS), $\rho$-hydroxymercurybenzoate (PHMB), N-ethylma- leimide, 1-[3-(di-ethylamino)-propyl]$-3-ethylcarbodi-imide (EDC), and Woodward's Reagent K(WRK)inactivated the enzyme, resulting in the residual activity of less than 20%. WRK reduced the enzyme activity by modifying carboxylic amino acids, and the inactivation reacion proceeded in the form of pseudo-first-order kinetics. The double-lagarithmic plot of the observed pseudo-first- order rate constant against the modifier concentration yielded a reaction order of 2, indicating that two carboxylic amino acids were essential for the enzyme activity. The $\beta$-D-xylosidase was also inactivated by N-ethylmaleimide which specifically modified a cysteine residue with a reaction order of 1, implying that one cysteine residue was important for the enzyme activity. Xylobiose protected the enzyme against inactivation by WRK and N-ethylmaleimide, revealing that carboxylic amino acids and a cysteine residue were present at the substrate-binding site of the enzyme molecu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