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GE2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머위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tasites japonicus)

  • 김진화;나영;심관섭;이범천;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3-267
    • /
    • 2006
  • 태양광선과 산소는 피부세포에 자유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시켜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와 염증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한 머위추물물의 피부 보호효과에 대한 것으로 UVB가 조사된 각질형성세포에서이 항산화 및 염증관련 사이토카인의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라디칼에 의한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100{\mu}g/mL$에서 70.1%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세포내에서 ROS에 의해 형광을 띠는 물질로 전환되는 $CM-H_2DCFDA$를 이용하여 ROS의 양을 측정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세포내 ROS의 양이 머위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500{\mu}g/mL$ 농도에서 45% 이상의 우수한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에서 UVB에 의해 생합성이 증가되는 $IL-1{\alpha}$$PGE_2$의 생합성 억제효과는 $100{\mu}g/mL$에서 각각 25.7%, 59.3%를 저해하는 것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머위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가진 화장품에서 우수한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호랑나비 유래 항균 펩타이드 파필리오신 3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timicrobial Peptide Papiliocin 3 Derived from the Swallowtail Butterfly, Papilio xuthus)

  • 신용표;이준하;김인우;서민철;김미애;이화정;백민희;김성현;황재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86-89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호랑나비 유충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선별된 파필리오신 3의 항균 및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RNA 시퀀싱 분석을 통해 호랑나비의 전사체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인실리코(in silico) 분석을 진행하여 전사체 유래 항균 펩타이드를 스크리닝하고 선발하였다. 수행된 항균 활성 및 용혈 활성 테스트에서 파필리오신 3은 그람음성균인 E. coli와 그람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해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낸 반면 마우스 적혈구에 대한 용혈 활성은 전혀 없었다. 다음으로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파필리오신 3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파필리오신 3은 LPS로부터 유도된 Raw264.7 세포들의 산화질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qRT-PCR) 방법과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ELISA)을 통해 파필리오신 3이 Raw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6, IL-1β)의 발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염증반응의 신호전달인자들(MAPKs, NF-κB)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파필리오신 3이 LPS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하여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호랑나비 유전체 분석을 통해 확인된 파필리오신 3이 새로운 항균 및 항염증 치료제로서 개발하는데 가능성 있는 물질로 사료된다.

Tumor Necrosis Factor-α가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α ON THE BONE METABOLISM)

  • 김상섭;이수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187-199
    • /
    • 1999
  • Bone remodeling i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ing processes of osteoblast-mediated bone formation and osteoclast-mediated bone resorption. Bone metabolism is tightly regulated at the local level by networks of hormones, cytokines, and other factors. In pathological conditions of bone remodeling, including osteoporosis and periodontal diseas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local mediators are responsible for enhancement of osteoclast resorption and inhibition of repair at the sites of bone resorption. TNF-${\alpha}$ is a pleiotropic hormone with actions on the differentiation, growth,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normal and malignant cells from numerous tissues. TNF-${\alpha}$ has been proposed as a local mediator of the control of bone turnover in situations of chronic inflammation, and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local source of TNF-${\alpha}$ is the monocyte in the adjacent bone marrow or the local circulation. TNF-${\alpha}$ is a potent inducer of bone resorption. TNF-${\alpha}$ is known to induce the activation of apoptotic signaling pathway, which leads to the apoptosis of bone cells. We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murine osteoblastic MC3T3E1 cells with TNF-${\alpha}$ decreases proliferation as well as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in a dose depenent manner. In addition, TNF-${\alpha}$ increases osteoclast-like cell formation in $1{\alpha}$, 25(OH)2D3 or PGE2-treated bone marrow cell culture. When cells were cultured in TNF-${\alpha}$ free ${\alpha}$-MEM, this inhibitory effect of ALP activity was reversible up to 10 ng/ml TNF-${\alpha}$, in contrast, at the 20 ng/ml TNF-${\alpha}$, irreversible. In this concentration, TNF-${\alpha}$ may induce apoptosis in MC3T3E1 cells. In this study, TNF-${\alpha}$ induces apoptosis resulting in chromosomal DNA fragmentation, preceded by JNK/SAPKs and caspase-3 activation. Our present results show that JNK/SAPKs and caspase-3 are activated by TNF-${\alpha}$, suggesting that the JNK/SAPKs and caspase-3 participate in the bone resorption, associated with apoptosis.

  • PDF

괄루경엽의 BV2 미세아교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 성분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Trichosanthes kirilowii in BV2 Microglial Cells)

  • 리소군;김관우;고원민;김동철;윤치수;유향전;김종수;장규관;강대길;이호섭;오현철;김윤철
    • 생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11
    • /
    • 2016
  • The aerial part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Cucurbitaceae), has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medicines for the treatment of heatstroke. We isolated and identified three flavones, luteolin-7-O-${\beta}$-D-glucopyranoside(1), luteolin-4'-O-${\beta}$-D-glucopyranoside(2), luteolin(3) from its methanolic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luteolin attenuates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inflammation in BV2 microglial cells. Luteolin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NO) and prostaglandin $E_2(PGE_2)$ in BV2 microglia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cytotoxic effect. Luteolin dose-dependently suppres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and cyclooxygenase-2(COX-2). In addition, luteolin also showed significant induction of heme oxygenase(HO)-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aerial part of T. kirilowii and luteolin may be good candidates to regulat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오메가-3 지방산에 의한 COX-2/MMPs/VEGF 억제에 따른 대장암세포의 종양 형성 및 침윤 억제 (ω3-Polyunsaturated Fatty Acids-induced Inhibition of Tumorigenicity and Invasion by Suppression of COX-2/MMPs/VEGF through NF-kB in Colon Cancer Cells)

  • 신소연;김용조;한승현;프라산타;허준영;전영주;박승길;권기량;박종일;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20-1030
    • /
    • 2017
  • 대장암은 미국 등 서양 국가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2번째로 많이 발병이 되는 암으로 알려져 있다. 역학조사에 의하면 오메가-3를 많이 섭취한 인종에서 대장암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최근 오메가-3는 수종의 암에 대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에서 DHA의 항침윤, 항혈관 신생 및 항종양 형성능 억제의 기전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HA는 인체 대장암 세포주 HT29 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AA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FACS 분석에서 DHA 처리했을 때 Sub G1 phase의 세포가 DHA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하였다. DHA 처리 후 cleaved PARP가 증가하고, uncelaved caspase-3가 감소 하였다. HT29 세포의 침윤능은 DHA 처리에 의해 억제 되었다. DHA 처리 후 MMP-9 및 MMP-2 mRNA양이 감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promoter의 reporter 활성도 억제하였으며 VEGF promoter 활성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NF-kB promoter 활성 및 핵으로의 이동도 DHA에 의해 억제 되었다. In vivo 동물실험에서 생쥐 대장암 세포주인 MCA38에 대한 Fat-1 transgenic mice에서의 종양 형성능은 현저히 억제 되었다. 면역형광염색법을 이용한 Fat-1 transgenic mice의 종양 조직에서의 TUNEL 양성세포는 wild type mice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CD31의 형광강도는 감소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메가-3는 대장암 세포에서 NF-kB 억제에 따른 COX-2, MMP-2 및 MMP-9 등 matrix matalloproteinase의 억제를 통한 침윤능의 억제, VEGF 억제를 통한 혈관신생의 억제등 복합적 기전에 의해 항암작용을 나타내리라 생각되며, 따라서 오메가-3는 대장암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