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Fne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광역 과학 지도 생성 연구 (Making a Science Map of Korea)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3-383
    • /
    • 2007
  • 전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광역 과학 지도는 학문 분야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광역 과학 지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개관한 후 새로운 방법으로 국내의 학술 활동을 반영하는 광역 과학 지도를 생성하였다. 광역 과학 지도에 대한 연구는 ISI사(현재 Thomson Scientific)의 Garfield와 Small에 의해서 촉발되었고 최근에는 스페인 그라나다 대학의 SCImago 연구팀과 미국 인디애나 대학의 Borner 교수팀이 활발히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이 만들어 발표하고 있는 지도를 과학 지도 또는 사이언토그램이라고 부르며, 이에 관련된 활동을 과학지도학(scientography)이라고 하였다. 기존의 광역 과학 지도는 대부분 학술 논문 사이의 인용 분석에 근거하여 제작되었으나, 국내 학술 논문에 대한 인용 데이터베이스는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의 광역 과학 지도를 만들기 위해서 학술진흥재단에 신청된 과제 제안서의 텍스트를 활용하였다. 학문 분야 사이의 연결 정보를 네트워크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패스파인더 네트워크(PFNet) 알고리즘으로 광역 과학 지도를 생성한 후, 이의 대안으로 개발된 클러스터링 기반 네트워크(CBNet) 알고리즘으로 다시 지도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두 지도에 나타난 상반된 관점을 통합하도록 CBNet 지도를 수정하여 국내 광역 과학 지도를 제시하였다.

도서 대출데이터를 활용한 남녀 노령자의 독서 주제 분석 (Analysis of Reading Domian of Men and Women Elderly Using Book Lending Data)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3-41
    • /
    • 2019
  • 본 연구는 도서의 대출정보를 활용해 가중네트워크(PFNET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수 계층으로서 남녀 노령자에 의해 자주 읽히는 도서의 주제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독서 양태가 일반 성인 남녀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노령자와 일반 성인 남녀로 구성된 4개 집단을 대상으로 도서관 빅데이터의 인기 대출도서를 기반으로 동시대출도서 행렬을 산출하고 이를 활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PNNC(Parallel Nearest Neighbor Clustering) 알고리즘으로 대출도서 군집을 형성한 후 대출도서에 계산된 중심성지수를 기반으로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해 집단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자기계발, 재태크, 육아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대출하는 일반 성인 남녀에 비해 노령자 계층은 한국현대소설에 집중된 독서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인기 저자의 저작에 집중된 도서 대출 경향을 보였다. 한편 여성 노령자가 일본소설, 영미소설을 포함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분야를 대출하는 반면 남성 노령자는 극단적으로 한국대하소설에 집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관분석에서도 남성 노령자는 성인 남성과 r=-0.222의 약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다른 모든 집단과도 음의 방향성을 보여 대출 도서의 중심성이 반대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 연구에 대한 계량정보적 분석 -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 (Informetric Analysis of Regional Studies: Focused on Incheon Area)

  • 조재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23-341
    • /
    • 2021
  • 대규모 항만과 공항, 다도해, 도시재생 등의 이슈를 가진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인문, 역사, 항공/항만, 지역개발분야 등에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 지역을 둘러싼 연구의 규모와 주제 범위, 연구자 분포를 계량정보적 방법을 사용해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재된 500여건의 인천 관련 연구 논문에서 저자를 추출하여, 공저 관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핵심 연구 주체와 기관 간 협력 행태를 파악하고 키워드간의 관계에 대한 가중 네트워크(PFNET)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지적 구조를 이해하였다. 분석 결과, 인하대학교와 인천대학교가 높은 전역중심성을, 인천발전연구원이 높은 지역중심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구조는 11개의 주제 군집으로 구성되었으며, 인천의 인문사회이슈, 항만, 항공 분야가 대표적인 연구 주제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암 생존자 지식구조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of Cancer Survivors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 권선영;배가령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0-5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cancer survivors. Methods: For data, 1099 articles were collected, with 365 keywords as a Noun phrase extracted from the articles and standardized for analyzing. Co-occurrence matrix were generated via a cosine similarity measure, and then the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using PFNet and NodeXL were applied to visualize intellectual interchanges among keyword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cluster analysis of author keywords from cancer survivors articles, keywords such as 'quality of life', 'breast neoplasms', 'cancer survivors', 'neoplasms', 'exercise' had a high degree centrality. The 9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concerning cancer survivors were 'cancer-related symptoms and nursing', 'cancer treatment-related issues', 'late effects', 'psychosocial issues', 'healthy living managements', 'social supports', 'palliative care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participan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knowledge structure of cancer survivors was identified. The 9 topics identified in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researc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 cancer survivor research areas. The Network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identifying the knowledge structure and identifying general views and current cancer survivor research trends.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직업건강간호학회지 논문의 지식구조 분석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through Network Analysis)

  • 권선영;박은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6-85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from 1991 to 2014. Methods: 400 articles between 1991 and 2014 were collected. 1,369 keywords as noun phrases were extracted from articles and standardized for analysis. Co-occurrence matrix was generated via a cosine similarity measure, then the network was analyzed and visualized using PFNet. Also NodeXL was applied to visualize intellectual interchanges among keyword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cluster analysis of author keywords from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articles, 7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of the journal were 'Workers & Work-related Health Problem', 'Recognition & Preventive Health Behaviors', 'Health Promotion & Quality of Life',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Management', 'Clinical Nursing Environment', 'Caregivers and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Stress & Performance'. Newly emerging topics for 4-year period units were observed as research trend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was identified. The network analysi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identifying the knowledge structure as well as finding general view and current research trend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seek the research direction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가상현실 기반 업무공간 융복합 분야 연구 동향 분석 : 패스파인더 네트워크와 병렬 최근접 이웃 클러스터링 방법론 활용 (Investigation of Trend in Virtual Reality-based Workplace Convergence Research: Using Pathfinder Network and Parallel Neighbor Clustering Methodology)

  • 하재빈;강주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2호
    • /
    • pp.19-43
    • /
    • 2022
  • Purpos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companies are building virtual workplace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to identify the trend of convergence and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work space, and suggest future promising fields based on this. Design/methodology/approach For this purpose, 12,250 bibliographic data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Virtual Reality (VR) and Workplace were collected from Scopus from 1982 to 2021. The bibliographic data of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Pathfinder Network, Parallel Neighbor Clustering, Nearest Neighbor Centrality, and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by period was identified, an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work were performed for virtual reality-based workplace research. Finding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ain keyword knowledge structure flow of virtual reality-based workplace convergence research can be identif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can be identified to provide a major measure for designing directions in subsequent studies.

The Evaluation of Web Contents by User 'Likes' Count: An Usefulness of hT-index for Topic Preference Measurement

  • 송예슬;박지홍;심지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4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index for evaluating preferences of Web contents by examining the h-index and its variants. It focuses on how successfully each index represents relative user preference towards topical subject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 popular IT blog (engadget.com), subject values of the h-index and its variants were calculated using 53 subject categories, article counts and the 'Likes' counts aggregated in each category. These values were compared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the indices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analysis. A PFNet (Pathfinder Network) of subjects weighted by $h_T$ values was drawn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ur criteria suggested for the evaluation of Web contents, we concluded that the $h_T$-index is a relatively appropriate tool for the Web contents preference evaluation. The $h_T$-index was applied to visually represent the relative weight (topic preference by user 'Likes' count) for each subject category of the real online contents after suggesting the relative appropriateness of the $h_T$-index. Applying scientometric indicators to Web information could provide new insights into, and potential methods for, Web contents evaluation.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focus of users' attention would help online informants to plan more effective content strategies. The study tries to expand the application area of the h-type indices to non-academic online environments. The research procedure enables examin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dex and highlights considerations for applying the indicators to Web contents.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omestic Open Access Area)

  • 신주은;김성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7-1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을 위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KCI와 RISS를 통해 수집한 국내 오픈액세스 관련 연구물 124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제목과 초록에서 총 1,157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선정된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여 3개 영역과 20개 세부 군집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패스파인더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였으며, 가중 네트워크를 위한 중심성 분석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5개의 군집을 도출하고, 다차원 축적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키워드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앞으로 국내 오픈액세스 연구의 방향성을 예측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상 후 성장 지식구조 연구 (Knowledge Structure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 Network Analysis)

  • 신주연;권선영;배가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61-69
    • /
    • 2022
  • 외상 후 성장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지식구조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996년에서 2018년 사이에 출판된 국외논문 중 외상 후 성장 키워드를 사용한 논문을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하여 1,780편의 논문에 1,659개의 키워드가 6,343회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종 분석을 위한 총 322개의 키워드를 선택하였다. 가장 많이 등장한 키워드는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암', '트라우마' 순이었다. 총 322개의 노드 중 175개의 노드로 정리하여 '암, 만성/중증 질환 및 장애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 관련 심리적 변수 및 심리 치료', '죽음의 맥락에서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성장의 인지 메커니즘' 및 '대리 외상 후 성장'의 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량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지식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개요를 제공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신문사에 따른 내용 및 논조 차이점 분석 (A Study on Differences of Contents and Tones of Arguments among Newspapers Using Text Mining Analysis)

  • 감미아;송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53-77
    • /
    • 2012
  • 본 연구는 경향신문, 한겨레, 동아일보 세 개의 신문기사가 가지고 있는 내용 및 논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신문기사의 키워드 단순빈도 분석과 Clustering, Classification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경제, 문화 국제, 사회, 정치 및 사설 분야에서의 신문사 간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신문기사의 문단을 분석단위로 하여 각 신문사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키워드 네트워크로 키워드들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여 신문사별 특성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신문기사의 수집은 신문기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KINDS에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해당 주제로 주제어 검색을 하여 총 3,026개의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신문기사들은 불용어 제거와 형태소 분석을 위해 Java로 구현된 Lucene Korean 모듈을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를 하였다. 신문기사의 내용 및 논조를 파악하기 위해 경향신문, 한겨레, 동아일보가 정해진 기간 내에 일어난 특정 사건에 대해 언급하는 단어의 빈도 상위 10위를 제시하여 분석하였고, 키워드들 간 코사인 유사도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지도를 만들었으며 단어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Clustering 결과를 분석하였다. 신문사들마다의 논조를 확인하기 위해 Supervised Learning 기법을 활용하여 각각의 논조에 대해 분류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분류 성능 평가를 위해 정확률과 재현률, F-value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 전반, 경제 전반, 정치분야의 통합진보당 이슈에 대한 신문기사들에 전반적인 내용과 논조에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회분야의 4대강 사업에 대한 긍정-부정 논조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되어왔던 한글 신문기사의 코딩 및 담화분석 방법에서 벗어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다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음에 의미가 있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분류 성능을 보다 높인다면, 사람들이 뉴스를 접할 때 그 뉴스의 특정 논조 성향에 대해 우선적으로 파악하여 객관성을 유지한 채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뢰성 있는 툴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