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RSON CORRELATION

검색결과 7,818건 처리시간 0.037초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중 양손사용 스마트폰 자판 입력과 손 기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Both Hands Keyboard Input and Hand Function Among the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

  • 배성환;강우진;김나영;김지현;조준혁;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21-228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과 눈-손 협응 능력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자판을 사용하여 손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와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 Adolescent를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 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 협응력과 시각-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산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협응력과 시각-운동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Purdue Pegboard Test 중 우세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3, p<.05). 또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K-DTVP-A의 항목 중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Form Constancy(r=-.341, p<.05)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스마트폰 양손 조작을 활용한 손 기능 증진과 시각-운동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실험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조작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길 기대한다.

다중회귀모형과 인공신경망모형을 이용한 금강권역 강수량 장기예측 (Application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s to forecast long-term precipitation in the Geum River basin)

  • 김철겸;이정우;이정은;김현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0호
    • /
    • pp.723-73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금강권역을 대상으로 최대 12개월까지 선행예측이 가능한 월 강수량 예측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예측모형 구축에는 다중회귀분석과 인공신경망의 두 가지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예측인자 후보로 NOAA에서 제공하는 글로벌 기후패턴 39종과 금강권역에 대한 기상인자 8종 등 총 47종의 기후지수를 활용하였다. 예측대상월을 기준으로 과거 40년간의 월 강수량과 기후지수와의 지연상관성 분석을 통해 상관도가 높은 기후지수를 예측인자로 활용하여 다중회귀모형 및 인공신경망 모형을 구축하였다. 1991~2021년에 대해 매월 예측결과의 평균값과 관측값과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다중회귀모형은 PBIAS -3.3~-0.1%, NSE 0.45~0.50, r 0.69~0.70으로 분석되었으며, 인공신경망모형은 PBIAS -5.0~+0.5%, NSE 0.35~0.47, r 0.64~0.70로, 다중회귀모형에 의해 도출된 예측치의 평균값이 인공신경망모형보다 관측치에 좀 더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월의 예측범위 안에 관측치가 포함될 확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다중회귀모형이 57.5~83.6%(평균 72.9%), 인공신경망모형의 경우에는 71.5~88.7%(평균 81.1%)로 인공신경망모형 결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위 예측확률을 비교한 결과는 다중회귀모형의 경우에는 25.9~41.9%(평균 34.6%), 인공신경망모형은 30.3~39.1%(평균 34.7%)로 비슷하며, 두 모형 모두 평균 33.3% 이상으로 월 강수량에 대한 장기예측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두 모형의 예측성 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측범위에 대한 적중률이나 3분위 예측확률로부터 판단할 때 예측성에 대한 월별 편차는 인공신경망모형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계측한 정상 한국 성인에서의 대퇴 경부 전경사, 비구 전경사 및 합산 전경사 (Normal Korean Femoral Neck Anteversion, Acetabular Anteversion and Combined Anteversion Measured with Computed Tomography)

  • 김범수;김성태;위승명;최원락;김동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61-268
    • /
    • 2019
  • 목적: 정상 한국 성인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으로 비구 전경사, 대퇴 경부 전경사 및 합산 전경사의 값을 구한 뒤 정상 범위와 남녀간의 차이, 좌우측의 차이 및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 정상 성인 중 21세에서 49세 범위 내의 남자 118명과 여자 114명의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좌우측의 비구 전경사, 대퇴 경부 전경사를 측정하고, 합산 전경사를 계산하여 각 측정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남녀 간의 차이, 좌우측의 차이가 있는지와 비구 전경사와 대퇴 경부 전경사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비구의 전경사는 남자에서 우측 15.3±6.1도, 좌측 15.3±6.6도,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 우측 5.3±7.6도, 좌측 1.5±9.2도였으며 여자에서 비구 전경사는 우측 16.8±5.4도, 좌측 16.3±5.8도,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 우측 10.3±8.2도, 좌측 7.9±8.2도였다. 남녀 간의 차이분석 시 좌우측 모두 비구 전경사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 경부 전경사는 좌우측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좌측과 우측을 비교하였을 때 비구 전경사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퇴 경부 전경사는 Hernandez 등의 측정법이나 Weiner 등의 측정법 모두 좌우측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남녀 간의 비구 전경사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고 대퇴 경부 전경사는 차이가 있었다. 개인별로는 좌우측 간에 대퇴 경부 전경사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고 비구 전경사는 차이가 없었다. 대퇴 경부 전경사와 비구 전경사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라이시미터 데이터로 학습한 수학적 및 심층 신경망 모델을 통한 온실 토마토 증산량 추정 (Estimation of Greenhouse Tomato Transpiration through Mathematical and Deep Neural Network Models Learned from Lysimeter Data)

  • 메안 P 안데스;노미영;임미영;최경이;정정수;김동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4-395
    • /
    • 2023
  • 증산은 적정 관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수분 스트레스에 취약한 토마토와 같은 작물의 관개 수요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관수량을 결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증산량을 측정하는 것인데, 이는 환경이나 생육 수준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분단위 데이터를 통해 수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토마토의 증발량을 추정하고 적합한 모델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라이시미터 데이터는 1분 간격으로 배지무게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증산량을 직접 측정했다. 피어슨 상관관계는 관찰된 환경 변수가 작물 증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온실온도와 태양복사는 증산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상대습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선형 회귀(MLR), 다항 회귀 모델, 인공 신경망(ANN), Long short-term memory(LSTM), Gated Recurrent Unit(GRU) 모델을 구축하고 정확도를 비교했다. 모든 모델은 테스트 데이터 세트에서 0.770-0.948 범위의 R2 값과 0.495mm/min-1.038mm/min의 RMSE로 증산을 잠재적으로 추정하였다. 딥러닝 모델은 수학적 모델보다 성능이 뛰어났다. GRU는 0.948의 R2 및 0.495mm/min의 RMSE로 테스트 데이터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LSTM과 ANN은 R2 값이 각각 0.946과 0.944, RMSE가 각각 0.504m/min과 0.511로 그 뒤를 이었다. GRU 모델은 단기 예측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LSTM은 장기 예측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대규모 데이터 셋을 사용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FAO56 Penman-Monteith(PM) 방정식과 비교하여 PM은 MLR 및 다항식 모델 2차 및 3차보다 RMSE가 0.598mm/min으로 낮지만 분단위 증산의 변동성을 포착하는 데 있어 모든 모델 중에서 가장 성능이 낮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온실 내 토마토 증산을 단기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GRU 및 LSTM 모델을 권장한다.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케어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Hospice Care to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 박혜자
    • 대한간호
    • /
    • 제28권3호
    • /
    • pp.52-67
    • /
    • 1989
  • True nursing care means total nursing care which includes physical,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The modern nursing care has tendency to focus toward physical care and needs attention toward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The total nursing care is mandatory for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for this purpose, hospice care became emerged. Hospice case originated from the place or shelter for the travellers to Jerusalem in medieval stage. However, the meaning of modem hospice care became changed to total nursing care for dying patients. Modern hospice care has been developed in England, and spreaded to U.S.A. and Canada for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Nowaday, it became a part of nursing care and the concept of hospice care extended to the palliative care of the cancer patients. Recently, it was introduced to Korea and received attention as model of total nursing ca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ssess the efficacy of hospice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a difference in terms of physical, emotional a d spiritual aspect between the group who received hospice care and who didn't receive hospice care.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113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who were hospitalized in the S different hospitals. 67 patients received hospice care in 4 different hospitals, and 46 patients didn't receive hospice care in another 4 different hospital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aire which was made through the descriptive study. The descriptive study was made by individual contact with 102 patients cf advanced cancer for 9 months period. The measurement tool for questionaire was made by author through the descriptive study, and included the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obtained from chung(originated R. Fleck) and 5 emotional stages before dying from Kubler Ross. The content ol questionaire consisted in 67 items which included 11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0 for related condition with cancer, 13 for wishes far physical therapy, 13 for emotional reactions and 20 for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ug. 25 to Oct. 6 by author and 4 other nurse's who received education and training by author for the collection of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 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H.C Group" means the group of patient with cancer who received hospice care. "Non H.C Group" means the group of patient with cancer who did not receive hospice care. 1.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C Group and Non H.C Group in term of the number of physical symptoms, subjective degree of pain sensation and pain control, subjective beliefs in physical cure, emotional reaction, help of present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from other personal, needs of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in future, selection of treatment method by patients and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2. The comparison of H.C Group and Non H.C Group 1) There is no difference in wishes for physical therapy between two groups(p=.522). Among Non H.C Group, a group, who didn't receive traditional therapy and herb medicine was higher than a group who received these in degree of belief that the traditional therapy and herb medicine can cure their disease, and this result was higher in comparison to H.C Group(p=.025, p=.050). 2) Non H.C Group was higher than H.C Group in degree of emotional reaction(p=.050). H.C Group was higher than Non H.C Group in denial and acceptant stage among 5 different emotional stages before dying described by Kubler Ross, especially among the patient who had disease more than 13 months(p=.0069, p=.0198). 3) Non H.C Group was higher than H. C Group in demanding more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to doctor, nurse, family and pastor(p=. 010). 4) Non H.C Group was higher than H.C Group in demanding more emotional and spiritual care to each individual of doctor, nurse and family (p=.0110, p=.0029, P=. 0053). 5) H.C Group was higher th2.n Non H.C Group in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and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of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p=.034, p=.026). 6) In H.C Group and Non H.C Group, the degree of emotional demanding of christi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 christians to doctor, nurse, family and pastor(p=. 000, p=.035). 7) In H.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s following; (1) Between the degree of emotional demandings to doctor, nurse, family & pastor and: the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5512, p=.000). (2) Between the degree of emotional demandings to doctor, nurse. family & pastor and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4795, p=.000). (3)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8986, p=.000). (4) Between the degree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consensus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r=. 2640, p=.015). In H.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s following; (1)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and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r=-.4218, p=.000). (2) Between the degree or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and consensus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4597, p=.000). (3)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s and the degree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4388, p=.000). (4)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consensus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5424, p=.000). 8) In Non H.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following; (1) Between the degree of emotional demandings to doctor, nurse, family & pastor and the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3566, p=.007). (2) Between the degree of emotional demandings to doctor, nurse, family & pastor and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3430, p=.010). (3)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9723, p=.000). In Non H.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s following; (1) Between the degree of emotional demandings to doctor, nurse, family & pastor and the degree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2862, p=.027). (2)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havior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5083, p=.000). (3) Between the degree of intrinsic belief orientation and the degree of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r=-. 5013, p=.000). In conclusion above datas suggest that hospice care provide effective total nursing care for the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and hospice care is mandatory in all medical institutions.

  • PDF

섬진강 하구역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Seomjin River Estuary)

  • 강성효;이정호;박성완;신현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43-255
    • /
    • 2014
  •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 및 환경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4월부터 2013년 2월까지 24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소조시 만조 때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질환경요인으로 염도, 수온, 용존산소, pH 등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지역은 세 해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정점별 환경 특성 차이에 따라 Saline Water Zone(SWZ), Brackish Water Zone(BWZ), Fresh Water Zone(FWZ)으로 정의하였다. SWZ은 대개 30 psu를 상회하였으며, BWZ에서는 염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FWZ에서는 거의 0 psu를 보였다. SWZ에서는 수온의 계절 변동이 가장 적었으며, DO는 가장 낮은 값을, pH는 시공간적 변동이 거의 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FWZ에서는 수온의 계절 변동이 심하였으며, DO는 가장 높은 값을, pH는 시공간적 변동이 가장 심하였다. 표층퇴적상은 SWZ에서는 니질(Mud)함량이 높았으며 BWZ에서는 사질(Sand)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FWZ에서는 사질(Sand)이나 자갈(Gravel)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유기물함량과 황화물량은 SWZ에서 높은 값을, Chl-a 량은 FWZ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조사해역은 염도가 낮으며 유기물 함량, 황화물량이 낮고 조립한 퇴적상을 보이는 Fresh Water Zone과 염도가 높으며, 유기물함량, 황화물량이 높고, 세립한 퇴적상을 보이는 Saline Water Zone으로 조사지역의 환경이 뚜렷이 대비됨을 보여주고 있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의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는 Salline Water Zone에서 가장 높았으며, Brackish Water Zone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였고, Fresh Water Zone에서 매우 낮았다. Brackish Water Zone의 경우 서식밀도의 계절 변동이 매우 심하였는데, 이는 Prionospio cirrifera의 극우점 출현에 의한 것이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 중 매 계절 상위 5.0%의 점유율을 보이는 우점종은 총 6종이었다. 이 중 Lumbrineris longifolia, Prionoispio cirrifera, Tharyx sp.는 매 계절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그 외에 Hediste sp., Praxillella affinis, Tylorrhynchus sp.가 조사 시기에 따라서 우점종으로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 출현 다모류들은 특징적으로 분포하는 해역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Saline Water Zone의 대표적인 종은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Mediomastus sp.이었다. Saline Water Zone에서부터 Brackish Water Zone까지의 해역에 폭넓게 걸쳐 출현하는 종은 Prionospio cirrifera, Aricidea sp., Heteromastus filiformis이었다. 그리고 Brackish Water zone의 내륙쪽 정점 일부와 Fresh Water Zone에서는 특징적으로 Tylorrhynchus sp., Hediste sp.가 우점 출현하였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채집된 저서다모류의 출현종 조성과 정점간 유사도지수에 근거하여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및 비계량적 다차원척도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실시한 결과, 모든 계절에서 Saline Water Zone과 Fresh Water Zone에 위치하는 정점들은 각각 대표적인 하나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반면 Brackish Water Zone의 경우는 계절에 따라 수개의 정점군으로 세분되었다. 저서환경 요인과 저서다모류군집의 생태학적 요인들 간의 Pearson 상관관계분석과 주성분분석(PCA) 결과, 염도, 퇴적상, 유기물함량, DO 등이 저서다모류군집의 제반 생태학적 지수(출현종수, 서식밀도, 주요 종의 출현량, 생태지수)의 공간 분포를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경요인임이 확인되었다.

Tourette씨병의 Serotonin계와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OTONIN SYSTEM AND PSYCHOPATHOLOGY IN TOURETTE'S DISORDER)

  • 조수철;신윤오;서유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77-91
    • /
    • 1996
  • 틱장애 아동들의 생화학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동반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87명의 틱장애 아동과 30명이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7명 중 45명은 Tourette씨병(TS)이었고, 22명은 만성틱장애(chronic motor tic disorder, CMT), 20명은 일과성틱장애(transient tic disorder, TTD)이었다. 공존질병에 따른 분류로는 순수한 틱군(PT)은 43명, 틱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ADHD)가 동반된 군이 28명, 틱과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OCD)가 동반된 군이 16명이었다. 이들 대상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혈장 5- HT(5-hydroxytryptamine)와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장내 5-HT함량과 5-HTAA함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었다(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77, p<0.05). 2) 대상군에서 연령과 5-HT또는 연령과 5-HIAA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3) 대조군에서 연령과 5-HT또는 연령과 5-HIAA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4) 혈장 내의 5-HT함량은 TS, CMT, TTD그리고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F=34.48, df=3.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TS군, 대조군과 CMT군, 대조군과TTD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S군과 CMT군 TS군과 TTD군, 그리고 TTD군과CMT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5) 혈장 내의 5-HIAA함량은 TS군, CMT군, TTD군 그리고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F=26.48, df=3,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TS군, 대조군과 CMT군, 대조군과 TTD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S군과 CMT군 TS군과 TTD군, 그리고 TTD군과 CMT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6) 공존질병의 생화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혈장 내의 5-HT와 5-HIAA함량은 PT군, T+ADHD군, T+OCD군 그리고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5-HT, F=37.59, df=3, 113, p<0.01, 5-HIAA, F=27.37, df=3, 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PT군. 대조군과 T+ADHD군, 대조군과 T+OCD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PT군과 T+ADHD군, PT군과 T+ADHD군, PT군과 T+OCD군, 그리고 T+ADHD군과 T+OCD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serotonin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은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으나, serotonin계의 기능저하가 틱장애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공존질병이 생화학적인 소견에 미치는 영향은 극미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는 틱장애에 대하여 serotonin계의 기능항진을 일으키는 약물 투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며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여야 한다.

  • PDF

복부압박장치를 이용한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호흡에 따른 폐암 용적의 동적변이 양상에 대한 연구 (Study of Dynamic Variation Aspect in Lung Volume due to Respiration in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Using Abdominal Compressor)

  • 박광순;김주호;박효국;백종걸;이상규;윤종원;조정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9-165
    • /
    • 2013
  • 목적: 복부압박장치를 적용한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환자 호흡에 기인하는 내부종양용적의 동적변이 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3년 4월까지 복부압박장치를 이용하여 정위적방사선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 20명(상엽 7명, 중엽 4명, 하엽 9명), 총 6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자세의 변동과 호흡에 의해 움직이는 종양 위치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4차원 cone- beam CT (4D-CBCT)를 사용하여 좌표 이동 값을 얻었다. 각 부위별로 LR (좌우), SI (상하), AP (전후) 방향의 벡터의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 CI), 최대값, 그리고 최소값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자세변동 보정 값과 호흡변동 보정 값 간의 피어슨 곱 상관계수를 통하여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호흡에 의한 종양용적의 각 부위별로 변동은 폐 상엽에서 1.8~2.9 mm, 중엽과 하엽에서 2.3~5.4 mm, 2.2~4.0 mm로 분석되었다(95%CI, P<0.001). 자세변동 보정 값과 호흡변동 보정 값 간의 일치도($R^2$)를 살펴보면 상엽은 LR방향, SI방향, AP 방향에서 각각 0.75, 0.68, 0.63으로 나타났고, 중엽은 각각 0.82, 0.51, 0.92로 나타났으며, 하엽은 각각 0.63, 0.50, 0.34로 나타났다. 결론: 폐암의 정위적방사선 치료 시 복부압박장치의 사용으로 폐에 위치하는 종양은 환자 호흡에 의해 각 부위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치료 자세에 대한 보정뿐만 아니라 호흡에 의한 변동을 보정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각기 다른 동적변이로 인한 오차의 보정 시 4D-CBCT의 사용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뇌졸중 환자의 재활과정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 양상 (A Study of a Pattern of the Stres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through the Rehabilitative Process)

  • 이정민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권1호
    • /
    • pp.82-9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attern of the stres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over time. The ultimate goal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data to help nurses to design the plan of nursing care of the stroke patients both in the hospital and at home. A total of 57 admitted stroke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June, 12 to September, la, 1993. The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phases(within one week after leaving the hospital). The tools for this study, three scales were used ; Stress scal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Constitution classifing scale designed by Kho(1984), and Self-care measuring scale by Kang(1984). Data were analyzed in four steps using statistical analysis. First, demographic data were determin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econd. the pattern of stres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cross three phases was measur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hird, stress of stroke patients classified by constitution, paralyzed area. and attack frequency were measured using ANOVA or t-test, and the pattern of stress by group over time was determined using paired t-test in post hoc test. Four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self-car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The pattern of stress across three phases ; There was a decrease of the stress across three phases. In general. psychological stress as the highest among three phases(F=36.92. P=.00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hysical stress(F=34.55, p=.000), the psychological stress (F=15.49, p=.0005) and the social stress (F=24.71. p=.000) among three phas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tress between the first phase (on admission) and the second phase(before leaving the hospital) and was a decrease of the stress (t =6.36. p=.000). 2. The pattern of stress of stroke patients classified by constitution across three phases ; Stroke patients classified as So-Eum perceived the highest stress among three groups(Tae-Eum, So-Eum. So-Ya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stroke patients among three phases. Hence. stress was not influenced by the constitution of stroke patient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 over time. 3. The pattern of stress of stroke patients classified by the paralyzed area across three phases ; Right paralyzed stroke patients perceived higher stress than left paralyzed stroke patients.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 between two groups except 2nd pha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stress bet ween the right and left paralyzed stroke patients. 4. The pattern of stress of stroke patients classified by the frequency of the relapse of the disease across three phases ; Stress was higher in stroke patients who had the relapse of the disease twice more than the first time.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 between two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 of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 relapse of the disease among three phases. Hence, stress was no influenced by the relapse of the disease.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self-care activities ;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self-care activities each phase(on admission, r= -.1563 ; before leaving the hospital, r= -.4030 ; after leaving the hospital, r= -.5291). Hence, the higher the self-care activities, the lower the stress. This study has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finding was that psychological stres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was the highest among three phases. The second finding was that factors such as the constitution, the paralyzed area, and the relapse of the diseas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stres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cross three phases(on admission, before leaving the hospital, after leaving the hospita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the stress perceived by stroke patients across three phases. The third finding was tha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are ability and stress.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nursing care for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and suggest the need of nursing intervention to promote the self-care ability and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self-esteem of stroke patients.

  • PDF

외과적 손씻기 및 외과용 장갑의 천공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gical Hand Scrub and Surgical Glove Perforation)

  • 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3-667
    • /
    • 1995
  • Post - operative wound infections have been a serious problem in nursing care in the operating room and appear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infection occurring during the performance of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in duration of surgical hand scrub (SHS), to evaluate the method of SHS and to examine the rate of glove perfor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 244 doctors and 169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ve theatre of a hospital in Seoul area. Test samples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is medical facility between April 1, through 15, and July 1, through 5, 1995 by the author and a staff member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study, data on the SHS of doctors and nurses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operation and multiple batches of surgical gloves worn by the operating doctors were collected after each operation. The duration of SHS was measured with a stop watch and the method of SHS was evaluated according to Scoring Hand Scrub Criteria (SHS Criteria) and expressed as SHS score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duration and the SHS scores of doctors and nurse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S duration and the SHS sco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time spent in each SHS was 167 seconds in nurses, and 127 seconds in doctors. The data comparing nurses and doctor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r ation of SH S between these two groups (t=5.58, p=.000). 2) The mean time spent in the first SHS was 145 seconds and that in the End SHS, 135 seconds, a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SHS between doctors and nurses (t=1.44, P=.156). 3) The mean time spent in the SHS by OS (Orthopaedic surgery) doctors was 162 seconds, 150 seconds by NS(Neurologic surgery), 121 seconds by GS(General surgery), 94 seconds by OPH(Opthalmology) and DS(Dental surgery), 82 seconds by URO(Urology), 78 seconds by PS(Plastic surgery) and 40 seconds by ENT(Ear, Nose & Throat) These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SHS among the medical specialities (t=4.8, P=.0001). 4) The average SHS score of the nurses was 15.2, while that of doctors was 13.1.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value was 3.66, p was. 000. This indicates that the nurses actually clean their hands more thoroughly than the doctors do. 5) The average SHS score of NS doctors was 15.5, 15.3 for doctors for OPH,14.3 for OS,12.7 for GS, 12.0 for DS, 11.7 for URO, 10.1 for PS, 7.5 for ENT. Comparison of the average SHS scores from 8 specialtie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the SHS (F=5.08, P=.000) among medical specialties. 6) It appears that the operating personnel scrub the palms and dorsum of their hand relatively well, however, less thorough the nails and fingers. 7) The more the operating personnel spend their time in hand scrubbing, the more correctly they clean their hands(r=.6427, P<.001). 8) The overall frequencies of perforation in all post-operative gloves tested was 38 out of 389 gloves (10.3%). The perforation rate for PS was 13%, 12.1% for GS,8.8% for 05, and 3.3% for 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