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92 Databas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한글 필기체 영상 데이터베이스 PE92의 소개 (An Overview of Hangul Handwritten Image Database PE92)

  • 김대환;방승양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2년도 제4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67-575
    • /
    • 1992
  • 한글 문자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앞서 생각해야 할 것이 인식실험에 사용될 문자 데이타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 개발자들에게 문자인식 실험에 필요한 충분한 데이타를 제공하며 필기체 문자 데이타를 표준화하여 문자인식 시스템 상호간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한글 필기체 문자 데이터베이스 PE92를 개발하였다. 여기서는 PE92 데이타베이스의 소개로서 먼저 PE92를 수집하는데 있어 고려사항들, 즉 필기자, 수집문자의 수, 수집용지의 규격, 데이타베이스의 저장, 데이타의 압축에 대하여 알아본다. 다음 PE92 데이타베이스의 규격을 알아본다.

  • PDF

GoogLenet 기반의 딥 러닝을 이용한 향상된 한글 필기체 인식 (Improved Handwritten Hangeul Recognition using Deep Learning based on GoogLenet)

  • 김현우;정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95-502
    • /
    • 2018
  • 딥 러닝 기술의 등장으로 여러 나라의 필기체 인식은 높은 정확도 (중국어 필기체 인식은 97.2%, 일본어 필기체 인식은 99.53%)를 보인다. 하지만 한글 필기체는 한글의 특성으로 유사글자가 많은데 비해 문자의 데이터 수는 적어 글자 인식에 어려움이 있다. 하이브리드 러닝을 통한 한글 필기체 인식에서는 lenet을 기반으로 하여 낮은 레이어를 가진 모델을 사용하여 한글 필기체 데이터베이스 PE92에서 96.34%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러닝에서 사용하였던 데이터 확장 기법(data augmentation)이나 multitasking을 사용하지 않고도 GoogLenet 네트워크를 기본으로 한글 필기체 데이터에 적합한 더 깊고 더 넓은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네트워크를 도입하여 PE92 데이터베이스에서 98.64%의 정확도를 얻었다.

전표 금액란에 나타나는 필기 한글의 신경망-기반 인식 (Neural Network-based Recognition of Handwritten Hangul Characters in Form's Monetary Fields)

  • 이진선;오일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5-30
    • /
    • 2000
  • 한글은 부류수의 방대성과 글자간의 유사성으로 인해 인식이 어려운 문자 집합으로 간주되고 있다. 기존 연구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350 글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일반성을 제공하는 대신 낮은 성능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반해, 우편 영상이나 전표 영상 등의 특정 필드에 나타나는 한글만을 대상으로 하는 접근 방법이 보다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금액란에 나타나는 필기 한글을 인식하는 연구를 기술한다. 인식을 위해 모듈러 신경망 인식기를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특징을 사용하였다. 표준 한글 데이터베이스 PE92에 대해 실험한 결과 정인식률 97.56%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