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L기반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4초

인터넷 윤리교육을 위한 SNS 기반의 블렌디드 러닝 시스템 구현과 효과 분석 (An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SNS based Blended Learning System for Internet Ethics Education)

  • 이준희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1-7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learning model for internet ethics education, following the learning principle and procedure of PBL(Problem-Based Learning) which is one of the constructivism teaching-learning theories(, and to apply it). In this learning model, online learning and face-to-face classes were systematically combined for achieving the teaching-learning goals and the main module for online learning run on Moodle, an open source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It is possible for learner to participate actively in creation of micro-contents and reorganize contents using various SNS(Social Network Service). The learner can achieve the learner-oriented learning and select micro-contents in order to reorganize the personalized learning contents to take advantage of SNS among learners. To examin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learning model,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to the subjects of two classes in the second-grade of university located in OO city. 60 students(treatment group=30, control group=30)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 statistically verified that the proposed learning method is more effective in cultivating consciousness of internet ethics than the face-to-face PBL learning method. The results of this paper also showed that a lecture using blended learning is efficient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and that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 higher effectiveness of learning would be expected) by forming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using SNS.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wed that a lecture using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ness in achieving learning performance and that learners responded positively, which are indicating that the higher effectiveness of learning would be expected by forming connectedness among learners using SNS.

몽골 대학에서 BPBL을 위한 관리 교과목 문제 개발 연구 (A Study on Problem Development of Management subject for BPBL in a Mongolian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83-688
    • /
    • 2018
  • 21세기에 교사는 물리적 수업 외에 가상 수업에서 최상의 학습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새로운 기술에도 환영해야 한다. 구글 크레스룸은 브랜디드 학습과 전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브랜디드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문제 설계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BPBL의 기본적인 특징은 학습자들이 흥미를 갖게 하는 실생활의 문제들을 포즈를 취하고 해결함으로써 학습이 가장 효과적으로 시작되고 촉진된다는 것이다. 비구조된 PBL(문제중심 학습 )문제는 충분한 도메인 지식을 획득하는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적절한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그들 자신의 학습을 적절하게 지도할 수 있다. 좋은 문제를 설계하는 절차는 교육적 콘텐츠의 선택, 학습자의 특성 파악, 문제 발견, 역할과 상황설정, 문제 기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절차를 사용하여, 관리 과목의 내용을 포괄하는 5가지 통합 문제를 설계하였다. 몽골대학의 BPBL에 기반하여 계획된 관리 과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시점을 두었다.

산업체 PBL기반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모형 연구: 경북지역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 Problem Based Professional Practice Model: Based on Gyeongbuk K University Case Study)

  • 이석문;조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3-100
    • /
    • 2020
  • 현장실습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향상을 위해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의 비중을 낮추고 장기현장실습(12주이상)을 높이는 노력이 대학 현장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단기 및 중기현장실습의 전공과 연계된 체계적이고 특화된 현장실습 교육커리큘럼 부재와 대학의 현장실습 참여도가 증가할수록 기업들은 현장실습 참여를 선호하지 않고 학생들은 전공수업 부담으로 장기현장실습 참여를 주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문제를 현장실습 참여학생들이 현장실습 기간 동안 직접 해결하되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관련분야 전공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를 경북지역 K대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한다. 참여기업과 win-win 현장실습 문화 구축을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가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Pedagogy of E-Learning in Engineering Classes Using Multimedia Contents: Case of K University)

  • 황석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4-23
    • /
    • 2010
  • 이러닝뿐만 아니라 모든 테크놀로지 활용은 교육목표의 달성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때에 중요한 것은 기술적 접근보다 교수학습적 접근이다. 공과대학에서 이러닝이 더욱 확대, 보급되는 현 시점에서 공대 이러닝의 활용 유형을 파악하고 교수학습 방법과 연관된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공대 이러닝 콘텐츠와 운영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과 연계하여 이러닝 교수학습 전략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 공대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네 과목을 대상으로 활용 유형과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콘텐츠는 학습전에 개발되는 정형적 콘텐츠이며 운영은 학생 개인의 자율학습에 사용하는 콘텐츠 활용형으로 나타났다. 강의와 실습 외에 프로젝트가 학습활동의 하나로 사용되었지만 LMS와 웹 환경 등은 단순 기능의 활용에 국한되었다. 결론에서는 면대면 수업을 보강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통합 활용형의 사용을 제안하면서 문제해결 유형 위주의 이러닝 활성화를 위한 조건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마음공부 PBL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n Problem-Based Model for Mind Study)

  • 백현기;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249-260
    • /
    • 2011
  • 본 연구는 마음공부 학습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다양한 고찰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문제중심학습 모형에서 얻은 통찰을 가지고 마음공부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관련 문헌들로부터 공통적으로 중시되는 단계들을 중심으로 하여 1) 본문 정하기, 2) 학습 목표세우기, 3) 문제 개발하기, 4) 학습자료 준비하기, 5) 평가 도구 개발하기 6) 교수-학습 계획 설계하기의 절차를 추출하였으며, 각 단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주요활동들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들을 '마음'을 주제로 한 문제중심학습의 예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문제중심학습의 일련의 과정을 잘 수행하여 본래 문제중심학습의 의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활동 및 교사 발문의 예사를 통해 제시하였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과 AI 기반 문제중심학습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심재영;최새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15-28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mong middle-school student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 first-year middle-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me selection activities in a free semester program as part of their home economics studies. The data for the study consisted of nine class observation logs, four group activity outputs, 30 class results, an onlin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students. A program called "R.U.OK" was developed by setting problematic situ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linked to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HEE) curriculum.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survey on the students' class satisfaction content elements, with AI-based learning activities and PBL and interest, displayed high points, with an average of 4.0 or higher. Our qualitative analysis produced four significant results. First, students' concerns about school violence had increased and they showed a change in attitude, having more empathy with friends and more interest in their surroundings. Second, digital and AI literacy had improved, and students' interest in digital media learning had increased. Third, there had been an improvement in problem-solving ability in terms of being able to think more critically and independently. Fourth,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there had been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ion and an improved capacity for teamwork.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실행 및 효과 (Performing and Effects Team-Based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of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2호
    • /
    • pp.217-233
    • /
    • 2017
  • This study expects that Team Based Project Learning can act positive role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from previous studies. So designing and executing Team 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I can provide some suggestions to the teaching method for teacher training education. In this study, Team Based Project Learning focuses on the use of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Also from organizing the team to evaluation, I conduct team activity systematically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has improved and I could identify the positive response about the value of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effect of Team Based Project Learning in mathematics learning.

의료/의학의 인문학적 통찰

  • 최종덕
    • 의학교육논단
    • /
    • 제8권1호
    • /
    • pp.13-22
    • /
    • 2006
  • 인문학은 인간에 대한 깊은 성찰과 세계에 대한 폭넓은 조망에서 잉태한다. 이런 인문학 교육은 인문대학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의료교육 현장에 접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문학 역시 현실을 도외시한 언어유희가 아니라 현실속의 사회 문화적 통로를 접근하는 방식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인문학적 성찰은 전문가만의 소유물이 아니다. 특히 의료인문학적 성찰은 죽은 몸이 아니라 살아 있는 몸을 다루는 임상행위의 전제이다. 이렇게 살아 있는 생명의 몸을 다루는 의학 부문에서 과학적 설명의 적용범위와 그 실현가능성은 아직 충족되고 있지 않다. 이는 과학탐구 대상으로서의 톰과 증상과 치료의 대상으로서의 구체적인 의학적 몸 사이의 간극이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인문학적으로는 설명 장르의 몸에서 제외된 이해 장르의 몸이 다시 조명되어야 한다. 정확히 말하면 설명 장르와 이해 장르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문학적 반성이란 추상적 이론으로 그쳐서는 안 되며, 의학과 의료 현실에 어떻게 실천적으로 적용가능한지를 질문하는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적용사례로서 증거중심의학(EBM)과 문제기반학습(PBL)를 다루었다.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and e-Portfolio for Educating Pre-service Teachers)

  • 김홍래;김혜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3-234
    • /
    • 2008
  • 우수한 초등교사의 양성은 우수한 예비교사 교육을 통하여 성취될 수 있다. 양질의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실현 가능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개인적 요구를 반영하고, 대학 강의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컴퓨터 교과교육에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를 통합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N = 105)은 6회에 걸쳐 문제중심학습을 수행하고, 동시에 그 학습과정을 블로그를 이용하여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며, 학습 과정과 결과에 관한 경험 및 반성을 반성저널에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의 반성저널은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은 웹기반 문제중심학습과 e-포트폴리오의 적용을 통하여 컴퓨터교과교육에 대한 이해의 증진, 잠재적으로 ICT 활용 능력의 향상, ICT를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전략의 습득, 그리고 수행평가로써의 e-포트폴리오 경험을 통해 미래의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The Effects of Project-Based Learning o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LIS Education: a Cast Study)

  • 김현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95-116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의 적용이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평가 과목의 수강생 26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설문과 사후설문을 실시하여 그 변화를 측정하였고,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세부하위요인들인 리더의 양상, 의견 교환, 의견 평가, 그리고 의견 통합에 대하여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과, 학습의 실제성 중 자원의 실제성이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