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K MANAGEMENT STRATEGIES

검색결과 1,059건 처리시간 0.031초

Defining Risk Education in Climate Change Issues and Exploring its Status Quo in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 Yohan Hwang;Young-Shin Park;Hyunju Lee;Hyunok Lee;Kongju M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04-420
    • /
    • 2024
  • Many risk-related issues within the realm of science education have been addressed through science-technology-related socioscientific issues (SSI) education.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 topics categorized as SSI are interconnected with risk-related issues. These topics emphasize numerous points of convergence with the goals of SSI education, particularly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risks, including risk assessment, risk management, and risk decision-making. Such understanding can aid in grasping the complexity of SSI based on risk-related issues and facilitate informed decision-making by structuring debates. Although there has been discourse on the need for education aimed at future survival and reflection on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of education in risk-prone societies, concepts or strategies related to actual risk responses are rarely addressed in science education and schools. Education tailored to risk-prone societies is not yet well established. This study explored the incorporation of climate change risk education into science education. A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risk education was developed, encompassing seven elements, with corresponding definitions and examples. The researchers applied this framework to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climate change risk education is integrated into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Korea. Additionally, SSI lesson scenarios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analyzed using this risk education framework to determine the types and extent of risk education incorporated.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teaching climate change risk education to equip students for rational decision-making.

Is There such a Thing as Post-Viral Depression?: Implications for Precision Medicine

  • Eun-Sook Park;Chan Young Shin;Se Jin Jeon;Byung-Joo Ha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6호
    • /
    • pp.659-684
    • /
    • 2024
  • Viral infection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triggers for depressive disorders, particularly following the SARS-CoV-2 pandemic and the rise of long COVID. Viruses such as Herpes Simplex Virus (HSV), Epstein-Barr Virus (EBV), Cytomegalovirus (CMV),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are linked to depression through complex neurobiological mechanisms. These include immune system dysregulation, chronic inflammation, and neurotransmitter imbalances that affect brain function and mood regulation. Viral activation of the immune system leads to the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resulting in neuroinflammation and associated depressive symptoms. Furthermore, specific viruses can disrupt neurotransmitter systems, including serotonin, dopamine, and glutamate, all of which are essential for mood stabilization. The unique interactions of different viruses with these systems underscore the need for virus-specific therapeutic approaches. Current broad-spectrum treatments often overlook the precise neurobiological pathways involved in post-viral depression, reducing their efficacy. This review emphasizes the need to understand these virus-specific interactions to create tailored interventions that directly address the neurobiological effects induced by each type of virus. These interventions may include immunomodulatory treatments that target persistent inflammation, antiviral therapies to reduce the viral load, or neuroprotective strategies that restore neurotransmitter balance. Precision medicine offers promising avenu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virus-induced depression, providing patient-specific approaches that address the specific biological mechanisms involved. B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these targeted treatments, this review aims to pave the way for a new era in psychiatric care that fully addresses the root causes of depression induced by viral infections.

AI기반 프로그램을 이용한 백령도 점박이물범(Phoca largha)의 사진개체 식별과 휴식지 선호도 연구 (Application of an AI-based Program for Photo-identification of Spotted Seals Phoca largha, and Analysis of Site Preference on Baengnyeongdo Island)

  • 어남규;김소라;박겸준;이상헌;김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5호
    • /
    • pp.607-611
    • /
    • 2024
  • In this study, the AI-based photo-identification program IBEIS was used to efficiently analyze the photo-identification of spotted seals Phoca largha, around Baengnyeongdo Island, Korea. A total of 3,640 photographs collected during field surveys from 2016 to 2021 were analyzed,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1,234 seals. The spotted seal population around Baengnyeongdo Island was estimated to be at least 1,200 individuals. The photo-identification method relies on the unique black spot patterns on the left cheek of the seals, which remain consistent over time. This method allows for long-term ecological studies and tracking of individual seals. In addition, site preferences of the spotted seals were analyzed, revealing that more than 70% of individuals were re-identified at the site where they were first observed and indicating site prefer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actors may influence habitat preferences. Future studies, including collaborative effor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and China, will provide more comprehensive insights into the habitat usage patterns of the species. This study offers a foundation for estimating the population size of spotted seals and key data for habita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ies by using AI-based photo identification methods.

Retrospective Analysis of Postmortem Findings in Oriental Stork (Ciconia boyciana) from Korea (2019-2023)

  • Byungkwan Oh;Myeon-Sik Yang;Dong-Soo Ha;Su-Kyung Kim;Hyun Jong Park;Bumseok Kim;Chae Woong Lim;Sang-Ik Oh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23-329
    • /
    • 2024
  • The Oriental stork (Ciconia boyciana), an endangered species, faces significant threats despite extensive conservation efforts aimed at their reintroduction and long-term survival in South Korea. Understanding the primary causes of mortality and identifying predominant pathological lesions are crucial for enhancing these effor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unexplained mortality in Oriental storks between 2019 and 2023 through comprehensive postmortem examinations. Twelve storks, including both wild and captive birds, classified as "unknown" deaths, were exa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asitic infections, particularly in wild storks, were frequently observed (41.7%). Additionally,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due to the ingestion of foreign materials was identified in a wild stork, highlight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pollution. Despite the prevalence of inflammatory lesions in liver (58.3%), no cases of hepatitis were confirmed, except for one case of liver rupture in a wild stork. Notably, three nestling death cases from a single litter of captive storks suggested potential parental infanticide or lack of parental care. The overall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parasitic infections and environmental risks to improve the survival of wild Oriental storks, and emphasize the need for effective management in breeding facilities. Continuous monitoring and pathological evaluations for mortality cases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disease trends and developing adaptive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this endangered speci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according to comorbidity burden: a cross-sectional study

  • Yejung Choi;Kyong Park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8-430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orbidities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using the 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s (EQ-5D) index.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553 participants aged ≥ 65 years from the 2008-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et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24-hour recall interviews by trained researchers, and demographic and lifestyle information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HRQoL was measured using a modified EQ-5D scale.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analyzed the associations between EQ-5D scores, nutrients and comorbidity,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variables. Results: Most participants reported 'no problems' in the EQ-5D scores, although approximately 17% to 47% of participants reported 'some problems' or 'extreme problems,' depending on the dimension. As comorbidities increased, significant declines were observed across all dimensions, particularly in mobility, usual activities,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Nutrient intak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ith three or more comorbidities consumed less carbohydrates, but more fat. Conclusion: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among older adults with T2DM, a higher number of comorbidities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HRQoL. Additionally, there are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patterns among those with more comorbidities, specifically decreased carbohydrate intake and increased fat intake.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comprehensive and tailored management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diabetes and the co-occurring health conditions. By addressing the complex healthcare needs of individuals with multiple comorbiditie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ir HRQoL and overall well-being.

Assessment and Support Measures of Academic Journals in the National Open Access Platform AccessON

  • Hyekyong Hwang;Eun Jee Lee;Wan Jong Kim;Jin Ho Par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75-88
    • /
    • 2024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maturity of Korean open access (OA) journals using the OA infrastructure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and develop necessary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The assessment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12 items, and 24 sub-items. The importance of the three dimensions (A: OA policy establishment and disclosure, B: OA sustainability, and C: Journal openness quality) was differentiated b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the maturity stages were divided into five levels (Entry, Growth1, Growth2, Maturity1, and Maturity2). The assessment was carried out twice for 100 academic journ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rtion of journals at or above the Growth1 level increased by 11% to reach 83% during the second assessment phase, which could be owing to the learnings of the first assessment. Following expert consultations on the assessment results, three support measures were identified to activate OA. The first includes OA promotion and education activities, which involve creating standard regulations and guidelines, and advancing educational activities for societies that are either preparing for or currently implementing OA. The second involves providing support for technical aspects, such as identifiers, XMLization, and copyright management, through peer review and OA publishing platforms. The third includes collaborative activities to enhance journal evaluations and the recognition criteria for researchers' achievements in OA journals, and fostering cooperation with national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ions for financial support.

생산 및 제조 단계의 검사 데이터를 이용한 유도탄 탐색기의 고장 분류 연구 (Study on Failure Classification of Missile Seekers Using Inspection Data from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Phases)

  • 정예은;김기현;김성목;이연호;김지원;용화영;정재우;박정원;김용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0-39
    • /
    • 2024
  • This study introduces a novel approach for identifying potential failure risks in missile manufacturing by leveraging Quality Inspection Management (QIM) data to address the challenges presented by a dataset comprising 666 variables and data imbalances. The utilization of the SMOTE for data augmentation and Lasso Regression for dimensionality reduction,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a Random Forest model, results in a 99.40% accuracy rate in classifying missiles with a high likelihood of failure. Such measures enable the preemptive identification of missiles at a heightened risk of failure, thereby mitigating the risk of field failures and enhancing missile life. The integration of Lasso Regression and Random Forest is employed to pinpoint critical variables and test items that significantly impact failure,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variables related to performance and connection resistance. Moreover, the research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broadening the scope of data-driven decision-making within quality control systems, including the refinement of maintenance strategies and the adjustment of control limits for essential test items.

식중독 세균과 주요 축산식품 및 가공품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Risk Ranking Determination of Comb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 홍수현;박나윤;조혜진;노은영;고영미;나유진;박근철;최범근;민경진;이종경;문진산;윤기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축산식품과 식중독 세균 조합의 위험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 축산식품 관련 식중독사고 보고서(2008-2012년 자료), 축산식품 전문가의 견해, 반 정량적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문헌자료를 분석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8년-2012년 기간 동안 국내 축산식품에서 식중독 발생 빈도가 높았던 주요 원인균은 Salmonella, Pathogenic E. coli, C. jejuni 순으로 나타났으며 Salmonella 식중독의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식중독 세균/축산식품조합에 대해 축산식품 전문가들은 가장 우선적 위해 관리가 필요한 Top 5순위 중 첫 번째로 Campylobacter/계육을 제시하였고 그 다음으로 Salmonella/식용란 및 알가공품, Enterobacter sakazakii/조제분유, Pathogenic E. coli/분쇄가공육, Pathogenic E. coli/식육을 선정하였으며 Salmonella 는 식육보다는 식용란 및 알 가공품에서 우선적 위해관리가 필요함이 제시되었다. 또한 분쇄가공육, 소시지 및 햄류에 대해서는 Cl.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 aureus 의 3가지 병원성 미생물들의 위해관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국외에서 개발된 반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 도구인 Risk Ranger 를 이용하여 국내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및 전문가 의견 설문조사 등과 비교 분석한 결과, Risk Ranger 는 식품과 미생물 조합의 위험 순위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Risk Ranger 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입력변수에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최종결과를 신뢰하기에 한계를 보였다. 특히 국내에서는 축산식품 원재료에 대해 식중독 세균의 정량적 오염수준 및 공정에 따라 오염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Risk Ranger 결과, 위해순위가 0으로 나타난 경우를 분석해 보면 모니터링 자료가 없거나, 섭취 전의 조리를 통해 99% 가열이 가능한 경우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축산식품관련 식중독 발생 통계자료, 전문가의견, Risk Ranger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중독 세균/축산식품 조합에 대한 위해평가 및 관리 우선대상을 순위별로 그룹화하였다. 식중독 사고 발생 및 위해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위험그룹 I에는 Salmonella spp./식용란 및 알 가공품, Campylobacter spp./계육, Pathogenic E. coli/식육 및 분쇄가공육이 선정되었으므로 차후 이들 제품에 대한 정량적 위해평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축산식품 및 그 가공품에 대한 정량적 미생물 위해평가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선 관리 대상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alysi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Korea's Cyber Security Systems Regulations and Policies

  • Park, Dong-Kyun;Cho, Sung-Je;Soung, Jea-Hyen
    • 시큐리티연구
    • /
    • 제18호
    • /
    • pp.169-190
    • /
    • 2009
  • 21세기 첨단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테러집단들이 앞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은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사이버테러이다. 현실에서는 상상만으로 가능한 일이 사이버 공간에서는 실제로 가능한 경우가 많다. 손쉬운 예로 병원에 입원 중인 요인들의 전산기록 중 혈액형 한 글자만을 임의로 변경하여도 주요 인물에게 타격을 주어 상대편의 체제전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러분자들이 사이버테러를 선호하는 이유는 다른 물리적인 테러수단 보다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폭탄설치나 인질납치 보다 사이버 테러리스트들은 인터넷으로 언제 어디서나 공격 대상에 침투할 수 있다. 1999년 4월 26일 발생했던 CIH 대란은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만의 대학생이 뚜렷한 목적 없이 만들었던 몇 줄짜리 바이러스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기하급수적으로 퍼져 국내에서만 30만대의 PC를 손상시켰고, 수리비와 데이터 복구에 소요된 비용만 20억원 이상이 소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세계적으로 피해액은 무려 2억 5000만 달러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사이버테러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사이트의 상당수가 보안조치에 허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지어는 수백만명 이상의 회원이 가입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회사마저도 보안조치에는 소홀한 경우가 많다. 사이버테러에 대한 전국가적인 대비가 필요한 때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이버 안전체계의 실태를 법률과 제도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 아울러 개선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연구결과를 압축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사이버위기를 국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와 구체적 방법 절차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테러 등 각종 위기상황 발생시 국가안보와 국익에 중대할 위험과 막대한 손해를 끼칠 우려가 높다. 따라서 사이버공격을 사전에 탐지하여 위기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며 위기발생시 국가의 역량을 결집하여 정부와 민간이 참여한 종합적인 국가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법률 제정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차원의 사이버 안전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국가사회 전반의 국가 사이버 안전의 기준과 새로운 모범을 제시하는 한편, 각 부처 및 국가사회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국가 사이버 안전관리 정책을 집행할 수 있는 국가 사이버 안전관리 조직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법률 및 추진체계 등을 통합 정비하여 정보보호 법률 제도 운영의 일관성을 확보함으로써 각종 정보보호 위협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정부는 국가 사이버 안전관리에 관한 주요 정책의 심의 및 기획 조정, 통합된 국가 사이버 위기관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현행 '국가사이버안전센터'의 기능을 확대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국가 사이버 위기와 관련된 정보의 종합적 수집, 분석, 처리의 종합적 기능을 수행하고 각 정보 및 공공 기관을 통할하며 민간부문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자율적 정보보호 수준제고를 위해 행정기관 공공기관의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제도를 확대하고 행정기관의 정보보호제품 도입 간소화 및 사용 촉진을 위해 행정정보보호용 시스템 선정 및 이용 규정을 신설 주요정보기반으로 지정된 정보기반 운영자, 정보공유 분석센터 등의 침해정보 공유 활성화 규정을 신설 및 정비함으로써 사이버침해로부터 국가 사회 주요시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정부와 민간부분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사이버공격을 사전에 탐지하여 사이버위기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며 위기 발생 시 국가의 역량을 결집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PDF

제주 수변공간 조명계획을 위한 공원조명 실측과 해석 (Parks' Lighting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Lighting Plan around Waterfront in Jeju)

  • 김일환;오성보;고봉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16-122
    • /
    • 2017
  • 도시의 환경조명은 야간의 도시를 빛으로 장식하고 미화해서 아름답게 하며, 시민의 안전과 치안을 향상시켜 도시의 품위를 높여 주고 있다. 공원의 조명계획을 수립할 때 공원의 기능이나 성격을 충분히 고려해서 가장 좋은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조명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시의 야간활동 증대와 경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요즘 도심하천과 해안 수변공간에 대한 경관조명은 기능적인 측면과 더불어 주체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논문은 수변에 접해 있는 홍콩의 흥험 산책로를 통해 침사추이 산책로 까지 중요 지점에서 조명을 실측 하였고, 일본의 후쿠오카 나카가와 공원을 중심으로 중요 지점으로 파악되는 장소에서 조명 측정을 하였다. 그리고 제주시 함덕해수욕장 진입로 주변과 상가와 인접한 도로를 중심으로 실측하여 조명환경 특성을 비교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홍콩의 경우는 8개 평가항목에서 우수하였고, 후쿠오카의 경우 5개 항목에서 양호함을 보여 보통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제주시의 경우는 다수의 항목에서 보통과 미흡으로 평가되어 전체적으로 열악한 실정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하여 지역 주민의 야간 활동을 고양시키고 방문자들에게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제주시 수변공간의 안정적인 조명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