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2P Sites

검색결과 2,044건 처리시간 0.045초

독도의 하계 해조 군집 (Summer Marine Algal Communities at Dokdo, Korea)

  • 최창근;권천중;김미경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037-1043
    • /
    • 2014
  • We extensively observed macroalgal assemblages of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summer benthic marine algae at Dokdo in the East sea of Korea. A total of 102 species (12 Chlorophyta, 36 Phaeophyta, and 54 Rhodophyta) were identified in quadrats and were analysed qualitatively to define the variation patterns. Biomass in dry weight according to various depths ranged between 146.0 to 764.2 g m-2 at study sites. Mean biomass at the investigated sites was greater in the 10m depth range than in the 5 and 15m depths at Dongdo. The flora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functional groups: coarsely branched form (51.0%), filamentous form (17.7%), thick leather form (15.7%), sheet form (5.9%), jointed calcareous form (4.9%) and crustose form (4.9%). The R/P, C/P and (R+C)/P value were 1.67, 0.50 and 2.17, respectively. The number of marine algae species and the biomass in Dokdo area were marked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suggests possible future changes in the algal vegetation, considering coastal marine environment of this area.

In vitro에서 1-β-D-arabinofuranosyl-cytosine의 염색체 파열 유도 (1-β-D-Arabinofuranosyl-cytosine Induces Chromosomal Breaks in vitro)

  • 전인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186-1193
    • /
    • 2003
  • 목 적 : 염색체 취약부위는 세포를 특정의 화학물질에 노출시키거나 특수한 배양조건에서 배양 할 때 쉽게 파열되는 염색체상의 특정구역이다. 취약부위는 유전성질환 및 악성종양과 관련이 있으며, 현재에는 분자생물학적 실험기법의 개발로 분자수준에서 이해가 되고 있다. 새로운 취약부위 및 취약부위의 발현을 높이거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실험실적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암제로 사용되는 Ara-C를 이용하여 염색체파열을 조사하여 보았다. 한편 염색체 취약부위가 종양형성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Ara-C에 의해 발열되는 취약부위와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 및 종양에서 일정하게 염색체변이가 관찰되는 특정의 염색체 부위와의 상관관계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정상 성인 남녀 각각 3명의 말초혈액 내 T-림프구를 세포배양 후 Ara-C를 첨가하고 다시 caffeine을 처리한 뒤 종전에 시행했던 방법과 동일하게 검체 처리하여 염색체파열 부위를 관찰하였다. 염색체 취약부위는 염색체상의 일정부위에서 100개의 염색체파열 당 2회 이상의 염색체파열이 6명 중 4명 이상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1) T-림프구를 엽산이 부족한 MEN-FA 배지에서 배양 시 Ara-C는 100개의 분열세포 당 252.1개의 염색체파열을 유도하였으며, Ara-C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25.2개가 관찰되어 Ara-C를 처리한 경우에 염색체파열이 의미 있게 많았다(P<0.05). 2) Ara-C에 의한 염색체파열은 엽산이 부족한 MEM-FA 배지에서 엽산이 충분한 RPMI 1640 배지에서 보다 많이 되었다(P<0.05). 한편, 2.0 mM 농도의 caffeine은 엽산만 부족한 배양 배지에서는 염색체파열을 상승시키지 못했으나, Ara-C와 병행사용 시 상승시켰다. 3) Ara-C에 의해 가장 많이 파열된 부위는 3p14.2.이었으며, 발현된 취약부위는 20부위였다. 4) 발현된 취약부위 중 7 부위는 JUN, SKI, REL, N-MYC, FHIT, MET, ETS-1, FOS의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와 일치하였으며, 15부위는 급성림프구성백혈병, 급성골수성백혈병, 만성림프구성백혈병, 골수이형성성증, 악성흑색종, 신경모세포종, 소세포성폐암, 난소암, 유전성 신장암, 혼합성 지방육종시 염색체상에 이상이 있는 부위와 일치하였다. 결 론 : S기 특이성 항암제인 Ara-C는 정상성인의 T-림프구를 엽산이 부족한 MEM-FA배지에서 배양시 염색체 파열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유도하였다. 한편으로 Ara-C 특이성 염색체 취약부위는 암유전자가 위치하는 부위 및 특정 종양에서 관찰되는 특이한 염색체변이가 있는 부위와 상당 예에서 일치하여 아직 알려지지 않은 암유전자를 찾거나 분석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염색체변화와 종양형성과정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남극 킹조지섬 세종기지 주변지역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 최익원;박양주;서동철;강세원;전원태;강위금;성환후;허태영;허종수;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09-716
    • /
    • 2011
  • 남극의 토양환경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서 킹조지섬 바튼반도의 세종곶 (세종기지)을 기점으로 하여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3개 지점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남극 세종기지 주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은 전 지점에서 sand가 약 90%이상으로서 silt와 clay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토성은 모두 사토 (10개 지점)와 양질사토 (3개 지점)로 분류되었으며, 전반적인 토양의 입자별 분포특성은 $2,000-500{\mu}m$ 범위의 굵은 입자는 Group 1 > Group 2 > Group 3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499-355{\mu}m$ 에서는 지역에 따른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355{\mu}m$ 이하의 미세입자는 Group 3 > Group 2 > Group 1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각각의 지점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pH는 4.5-6.7 범위로 약산성 토양이었고, EC는 $0.06-0.16dS\;m^{-1}$ 범위로 낮았다. T-N, OM 및 T-C의 함량은 #6, #8, #12 및 #13 지점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고, T-P 와 $P_2O_5$의 함량은 #9 와 #12의 지점이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남극 킹조지섬에 위치한 세종기지 주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각각의 지점별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단편적인 조사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나, 남극반도 및 그 주변 섬들의 토양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증촌 도랑의 생태환경 조사와 평가 (Preliminary Ecological Environmental Assessments of a Brooklet in Jeungchon)

  • 한정호;안광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41-857
    • /
    • 2012
  • Preliminary ecological environmental assessments including physico-chemical constituents, water quality, fish fauna analysis, physical habitat health, and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were conducted as a primary step for Jeungchon micro-habitat ecosystem restoration in 2012. Water chemistry analysis of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chlorophyll-a and etc.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 < 0.05) among 6 sites between the headwaters and downstream. Multi-metric model analysis of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QHEI) showed that brooklets were at "good condition" as a mean QHEI of 158.7(n = 6) and the longitudinal differences of the model values between the sites were minor(QHEI range: 153 - 165). Total fish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12 and 481, respectively, and 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49.5%) and Zacco koreanus(36.8%). Tolerance guild analysi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S_S$) had a negative linear function[$S_S=86.35-0.31(D_H)$; $R^2$ = 0.892, p < 0.01] with a distance from the headwaters, while the proportion of tolerant species($T_S$) had a positive linear function($R^2$ = 0.950, F = 90.28, p < 0.001) with the distance. Trophic feeding guild analysi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insectivore species($I_n$) had a negative linear function($R^2$ = 0.934, p < 0.01) with a distance from the headwaters, while the proportion of omnivore species($O_m$) had a positive linear function($R^2$ = 0.958, p < 0.001) with the distanc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IBI) model, based on fish assemblages, showed a "fair condition" as a mean IBI of 23(n = 6), and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s of ecological health between the headwaters(S1 = 30; "good condition") and the downstreams(S6 = 14; "poor condition"). Overall, the prelimin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suggest that water quality, physical habitat conditions(QHEI model), and ecological health(IBI model) were maintained well, even if the state was not an excellent conditions.

Subgingival pathogens i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affected by type 2 diabetes mellitu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 Montevecchi, Marco;Valeriani, Leoluca;Gatto, Maria Rosaria;D'Alessandro, Giovanni;Piana, Gabriela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6호
    • /
    • pp.409-421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revalence and bacterial load of 6 main periodontal pathogens between pairs of periodontal patien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genotype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Twenty patients affected by chronic periodontitis and type 2 diabetes were retrospectively selected and matched to 20 patients without diabetes on the basis of the degree and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Microbiological data of subgingival biofilms were analysed and compared for the examined pathogens: A. actinomycetemcomitans, P. gingivalis, Prevotella intermedia, Treponema denticola, Fusobacterium nucleatum, and Tannerella forsythia. Results: The pairs were balanced in terms of demographic and clinical parameters, except for bleeding on probing and suppuration. In the microbiological test sites (4 for each patient), the mean probing pocket depth was 6.34±1.63 mm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6.41±1.78 mm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irs in the prevalence of P. gingivalis or the distribution of its genotypes was recorded. Patients with diabete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amount of total bacterial load, P. gingivalis, T. denticola, T. forsythia, and F. nucleatum (P<0.05). Moreover, patients with diabetes had a higher number of sites with a greater cell count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When compared to the total bacterial load, only T. forsythia maintained its relative load in patients with diabetes (P=0.001). Conclusions: This retrospective matched stud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microbiological differences exist among periodontal patients with and without diabetes mellitus.

충남지역(忠南地域) 논토양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수준(殘留水準) (Residue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n Paddy Field Soils in the Chungnam Area)

  • 최종우;이규승;이중길;노길봉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21
    • /
    • 1987
  • 1986.3.20∼4.6 사이에 충남(忠南)의 대덕(大德), 공주(公州), 금산(錦山), 논산(論山) 및 연기군(燕岐郡) 등 5개 지역(地域)에서 총(總) 108점(點)의 논토양을 채취하여 19종(種),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을 대상으로 잔류수준(殘留水準)을 조사(調査)하였으며,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모두 12종(種)의 농약성분을 검출(檢出)하였으며, 검출빈도는 P.P'-DDE (67.6%), ${\gamma}-BHC$(54.8%), ${\gamma}-chlordane$(50.9%), 그리고 ${\alpha}-BHC$(47.1%)의 순(順)이었고, 평균잔류량(平均殘留量)은 ${\alpha}-BHC$, ${\gamma}-chlordane$, P.P'-DDD와 P.P'-DDE가 0.001ppm 수준이었다. 2. 검출시료의 평균잔류수준은 ${\beta}$-BHC가 0.001ppm, ${\alpha}-BHC$, ${\gamma}-chlordane$, P.P'-DDT, O.P'-DDT 및 P.P'-DDD가 모두 0.002ppm 수준이었다. 3. 이상(以上)의 결과에서 볼 때, ${\beta}-BHC$, ${\gamma}-chlordane$ 및 DDT의 대사산물(代謝産物)의 잔류성(性)이 비교적 길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全般的)인 잔류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評價)할 수 있다.

  • PDF

Rescuing p53 from mdm2 by a pre-structured motif in intrinsically unfolded SUMO specific protease 4

  • Kim, Do-Hyoung;Lee, Chewook;Kim, Bom;Lee, Si-Hyung;Han, Kyou-Hoon
    • BMB Reports
    • /
    • 제50권10호
    • /
    • pp.485-486
    • /
    • 2017
  • Many intrinsically unstructured/unfolded proteins (IUPs) contain transient local secondary structures even though they are "unstructured" in a tertiary sense. These local secondary structures are named "pre-structured motifs (PreSMos)" and in fact are the specificity determinants for IUP-target binding, i.e., the active sites in IUPs. Using high-resolution NMR we have delineated a PreSMo active site in the intrinsically unfolded mid-domain (residues 201-300) of SUMO-specific protease 4 (SUSP4). This 29-residue motif which we termed a p53 rescue motif can protect p53 from mdm2 quenching by binding to the p53-helix binding pocket in mdm2(3-109). Our work demonstrates that the PreSMo approach is quite effective in providing a structural rationale for interactions of p53-mdm2-SUSP4 and opens a novel avenue for designing mdm2-inhibiting anticancer compounds.

Distribution of Inorganic Phosphorus Fractions in Sediments of the South Han River over a Rainy Season

  • Vo, Nguyen Xuan Que;Ji, Yoonhwan;Doan, Tuan Van;Kang, Hojeo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9-240
    • /
    • 2014
  • Rain events are extremely important for phosphorus (P) dynamics in rivers since large portions of annual river P loads can be transported in particulate forms during only a few major events. Despite their importance, a precise estimation of P contribution in river sediments after rainy seasons has rarely been reported. This study estimated the longitudinal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s of different inorganic P fractions in bed sediments of the South Han River over a rainy season, through using the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Non-apatite P was the dominant form, representing more than 60% of total inorganic P (TIP) content in sediments. Although no significant variation of TIP contents was observed, the proportion of bioavailable P in TIP pools decreased after the rainy season. The concentrations of individual inorganic P fractions ($NH_4Cl-P$, $NH_4F-P$, NaOH-P, and $H_2SO_4-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sites and after the rainy season (p < 0.05, two-way ANOVA). $NH_4F-P$ and NaOH-P concentrations in sediments increased in a downstream direction. After the rainy season, $NH_4Cl-P$ concentrations in sediments decreased whereas $NH_4F-P$ and $H_2SO_4-P$ concentrations increased. The redistribution of individual P fractions in sediments observed after rainy seasons were possibly due to the changing contribution of various sources of runoff and the variation in flow related particle size. Current estimation of P in bed sediments of the South Han River suggests a lower potential of internal P loading from sediments after the rainy season.

지형특성에 따른 전북지역 논토양 화학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Field Soils as Influenced by Regional Topography in Jeonbuk Province)

  • 안병구;이진호;김갑철;김형국;정성수;전혜원;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93-398
    • /
    • 2012
  • 지형 특성에 따른 논토양 화학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전북지역 논 300개 지점에서 토양 물리화학성 및 중금속함량을 조사하였다. 논토양 분포 지형은 곡간 및 선상지 43.0%, 하해혼성평탄지 39.3%, 하성평탄지 15.0%, 홍적대지 2.7% 순이었다. 토양성분별 적정비율은 pH 65.3%, CEC 48.3%, 유효인산 22.3%이었고, 부족비율은 유기물 63.3%, 치환성 $K^+$ 61.3%, $Ca^{2+}$ 51.0%, $Mg^{2+}$ 59.3%, 유효규산 75.7%이었다. 곡간 및 선상지의 논토양 유형은 미숙답과 사질답이 각각 34.4과 33.6%이었고, 하성평탄지는 사질답 57.8%, 하해혼성평탄지는 보통답 47.4%, 홍적대지는 미숙답이 75.7%이었다. 곡간 및 선상지형의 토성은 양토가 53.5%를 차지하고, 하성평 탄지는 사양토 37.8%, 하해혼성평탄지에서는 미사질양토가 55.1%를 차지하고 있었다. 지형에 따라 pH와 유기물함량은 차이가 없었고, 유효인산은 홍적대지에서 224 mg $kg^{-1}$로 적정범위를 초과하였고, 치환성양이온은 곡간 및 선상지에서 $Ca^{2+}$을 제외하고 모두 적정범위에 분포하였다. 유효규산은 112~127 mg $kg^{-1}$ 수준으로 모든 지형에서 적정수준에 미치 지 못하였다. 토양 pH는 유효규산, 치환성 $Ca^{2+}$, $Mg^{2+}$, $Na^+$, CEC, 치환성 $K^+$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 토양유기물 함량은 CEC, 유효인산, 치환성 $Ca^{2+}$, 유효규산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 논토양의 Cd, Cr, Cu, Ni, Pb, Zn은 토양오염우려기준의 약 10%, As는 약 20~30%수준으로 분포하고 있어 전북지역 논토양은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풋고추 수경재배에서 발생하는 tobamovirus의 특성 (Tobamoviruses of Green Peppers Growing on Hydroponic Systems)

  • 최국선;김재현;김정수;김현란
    • 식물병연구
    • /
    • 제10권3호
    • /
    • pp.194-197
    • /
    • 2004
  • 풋고추 수경재배에서 tobamovirus 병의 발병률은 생육 후기 단계에서 100%였다 바이러스 종류별 감염 빈도는 PMMOY 34%, TMGMY 41.5% 및 이들 2종의 바이러스 복합감염이 24.5%로 나타났다. 다클론 항체로 제작된 DAS-ELISA에서 각각의 항체에 대하여 특이적인 반응을 보였다. 수경재배하는 풋고추에서 77개의 tobamovirus를 순수분리하여 tobamovirus의 pathotype을 구분한 결과, $P_{0}$은 61% 및 $P_{1,2}$는 39% 빈도로 분리되었다. 모든 TMGMV 분리주는 pathotype $P_{0}$에 속하였다. PMMOY에서 구분된 pathotype $P_{0}$$P_{1,2}$의 외피단백질유전자에 상응하는 cDNA를 합성하여 제한효소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P_{1,2}$는 TaqI 위치가 두 곳에 존재하였으나 $P_{0}$은 단지 한 곳에만 존재하였다.존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