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IM

검색결과 7,121건 처리시간 0.034초

중환자실 VRE 균집락과 획득발생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Colonization and Acquisition with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Intensive Care Units)

  • 한수하;박호란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2-530
    • /
    • 2008
  • Purpose: In this study active surveillance culture for ICU patients, in whom the risk of VRE infection was high were conducted, and through this the VRE colonization ra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nization were examined and risk factors involved in VRE colonization and acquisition were analyzed. Method: This research was performed with 635 patients admitted to ICU between July 1 and December 31, 2006. Results: On admission to ICU, the VRE colonization rate was 2.36%, 93% identified from active surveillance culture. The VRE coloniz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patients with cancer (OR=9.43; 95% CI=1.38${\sim}$62.50; P=.022), liver cirrhosis (OR=55.5; 95% CI=7.29${\sim}$500; P=.005),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s (OR=200; 95% CI=22.73${\sim}$1000; P=.000), high APACHE II score (OR=1.107; 95% CI=1.010${\sim}$1.213; P=.029), or antibiotics within the last 3 months (OR=15.87; 95% CI=2.27${\sim}$111.11; P=.005). The VRE acquisition rate was 5.2%.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ose who were using a ventilator (OR=26.31; 95% CI=5.13${\sim}$142.86; P=.000), three or more kinds of antibiotics during admission (OR=58.82; 95% CI=16.13${\sim}$200; P=.000), or high APACHE II score (OR=1.16; 95% CI=1.08${\sim}$ 1.24; P=.00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ctive surveillance culture can detect VRE colonization on admission to ICU and those who have acquired VRE in ICU. The analyzed VRE colonization and risk factors of VRE acquisition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guidelines for preventing VRE infection in ICU.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의 이화학적 특성 및 ${\beta}-galactosidase$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강미선;이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1호
    • /
    • pp.54-59
    • /
    • 1996
  •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 중에서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ATCC33694) 그리고 Bacillus substilis(ATCC 6633) 등 5종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한 3주(No. 49, No. 61, No. 75)를 최종 선발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 되었다. 이들 3 균주를 starter로 사용하여 요구르트 등 여러 발효식품에 응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이들 균주로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 요구르트의 ${\beta}-galactosidase$ 활성도를 균주 첨가 후 24시간 부터 7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48시간 후에 효소활성은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2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요구르트 고유의 pH값보다 낮은 산성조건에서 ${\beta}-galactosidase$ 활성도와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pH 3.5에서 2시간 후에는 3균주 모두 50% 정도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pH 2.5와 pH 1.5에서 ${\beta}-galactosidase$ 활성은 거의 없었다. 유산균의 생존율은 pH 3.5에서 2시간 후 거의 변화가 없었고, pH 2.5에서는 각각 $0.12%{\sim}0.75%$ 그리고 pH 1.5에서는 생존율이 거의 없었다. 한편, 제조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요구르트 고유의 pH 값은 4.08 부터 4.30사이이었으며, 적정산도는 $1.05{\sim}l.25%$ 점도는 $1,818{\sim}2,124\;cps$, 생균수는 $7.3{\times}10^8{\sim}3.0{\times}10^9\;cfu/m{\ell}$였다. 유산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내에 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완충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1.0N HCl로 요구르트 $100\;m{\ell}$를 고유의 pH값에서 2단위 낮은 pH값까지 적정한 결과 소모된 HCl량은 $11.98{\sim}13.02\;m{\ell}$이었고 1.0 N NaOH로 4단위 높은 pH값까지 적정하는데 소모된 NaOH량은 $10.82{\sim}12.86\;m{\ell}$로 시판 요구르트 보다 높은 완충능을 보여 주었다.

  • PDF

산성조건하에서 시판요구르트의 유산균 생존률과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 (Survival Rat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Change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in Commercial Yogurts Under the Acidic Conditions)

  • 신용서;성현주;김동한;이갑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3호
    • /
    • pp.143-147
    • /
    • 1994
  • 국내에서 시판되는 요구르트(plain)의 이화학적 특성 및 산성조건하에서의 유산균의 생존률과 ${\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pH는 $3.71{\sim}4.08$범위, 적정산도는 $0.990{\sim}1.045%$, 점도는 $256{\sim}3,164\;cps$ 범위였으며, 유산균수는 $10^{8-9}\;cfu/ml$로 규정보다 높았다. 완충능은 요구르트(50 ml)의 고유 pH값에서 -2의 pH값까지 적정하는 데 소비된 1.0 M-HCl의 량으로 $3.58{\sim}4.33\;ml$였다. 산성조건하에서 유산균의 생존율은 pH 3.5에서는 2시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pH 2.5, 1.5에서는 각각 $3.5{\times}10^{-2}{\sim}3.6{\times}10^{-1}%,\;8.3{\times}10^{-5}{\sim}4.2{\times}10^{-3}%$ 범위였다. ${\beta}-galactosidase$활성은 120분 후에 pH 3.5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pH 2.5, 1.5에서 ${\beta}-galactosidase$의 잔존활성은 각각 $9.4{\sim}36.2%.\;4.2{\sim}19.0%$ 범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요구르트를 섭취하였을 때 유산균은 위산에 노출되어 극히 그 일부만이 장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beta}-galactosidase$는 유산균의 세포벽이나 세포막 및 요구르트에 포함된 무지고형분의 보호를 받아 그 활성을 어느정도 유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Bifidobacterium breve의 성장 특성과 생존력에 미치는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of Bifidobacterium breve)

  • 박희경;허태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51-457
    • /
    • 1996
  • Bifidobacterium breve의 최적 배양 조건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배양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pH와 L-cysteine HCI의 첨가효과를 조사하였다. 최대 균체수를 얻기위한 pH 조건은 pH $6.0{\sim}6.5$가 최적 배양 조검임을 알 수 있었다. 저장시의 최적 배양 조건은 $5.5{\sim}6.0$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pH $5.5{\sim}6.0$에서 배양한 균주를 $4^{\circ}C$에서 저장시 25일 이후에 $2.4{\times}10^6/ml$$1.4{\times}10^6/ml$$10^6/ml$ 이상을 유지하여 저장시 안정성이 우수한 반면 pH 7.0에서 배양한 균주는 $2.4{\times}10^6/ml$로 저장시 생존력이 상당히 낮았으며 pH 5.5와 6.0에서 배양한 균주의 ${\beta}$-galactosidase 활력은 25일 저장 이후에도 $78{\sim}85%$를 유지한 반면 pH 7.0에서 배양한 균주의 ${\beta}$-galactosidase 활력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L-cysteine HCI 첨가 효과는 0.05% 이상 첨가시 증식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였으며 과산화수소에 대한 내성은 $0.05{\sim}0.10%$ L-cysteine HCI을 첨가한 배이에서 증식한 B. breve가 우수하였다. Osmoprotectant를 첨가하여 배양시 증식과 동결건조시 균주의 안정성에 대한 효과를 조사해 본 결과 2mM betaine이나 2mM trehalose를 첨가시 증식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osmoprotectant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또 한 동결건조에서도 betaine이나 trehalose를 첨가하여 배양된 B. breve는 거의 손상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진균류의 원형질막 단백질 변화에 미치는 식품보존제의 영향 (Effects of Antiseptics on the Protein Change of Plasma Membrane in various Fungal Cells)

  • 이학미;이종삼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51-561
    • /
    • 1998
  • S.B, P.S, C.P를 각각 처리한 배지에 배양된 진균류(Aspergillus phoenicis, Rhizopus acidus, Candida albicans)에서 원형질막을 분리하였다. 원형질막 단백질의 함량과 특성을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A. phoenicis의 생장은 S.B 처리구에서 평균 64.0%가 감소하였다. R. acidus의 생장은 P.S 처리구에서 평균 69.0%가 감소하였다. 또한 C. albicans의 생장도 S.B 처리구에서 평균 59.5%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여러 진균세포 원형질막에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S.B 처리구에서 평균 41.0%, 41.7%, 59.5%가 각각 억제되었다. A. phoenicis의 원형질막 단백질의 변화 양상은 처리구에서는 배양 1일째, 2일째는 대조구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배양 1일째 $116\;KD{\sim}97\;KD$ 밴드는 거의 사라졌고 $45\;KD{\sim}29\;KD$ 밴드는 희미하게 관찰되었다. R. acidus는 S.B 처리구에서 배양 중간기부터 $116\;KD{\sim}97\;KD$ 밴드가 소실되었으며, P.S 처리구와 C.P 처리구는 배양초에 소실되기 시작하여 배양 36시간에는 완전히 소실되었다. C. albicans에서는 $116\;KD{\sim}97\;KD$ 밴드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배양초에 소실되기 시작하였고 $66\;KD{\sim}45\;KD$밴드는 배양 96시간에 희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C.P 처리구에서는 배양 96시간에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 생물막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 및 부착특성 (Treatment and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Biofilm of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 in Wastewater)

  • 이순영;강기철;원찬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1-277
    • /
    • 2008
  • 난분해성물질 함유폐수에 대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저비용-저에너지 고효율적인 새로운 수 처리 방식인 대기노출형 백색부후균 생물막 공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난분해성물질을 함유한 오 폐수 처리에 가장 효율적인 백색부후균 종을 선정하기 위해 백색부후균 3종 및 활성슬러지에 대한 처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선정된 백색부후균 P. chrysosporium PSBL-1에 대해서 HBC링 여재에 대한 부착 및 탈착특성을 조사하였다. 백색부후균 3종(P. chrysosporium PSBL-1, P. chrysosporium KCTC 6147, Trametes sp. KFCC 10941)의 pH에 따른 처리특성을 조사한 결과 NBDCOD 제거율은 P. chrysosporium PSBL-1과 P. chrysosporium 6147가 pH 3.5$\sim$5.5에서 각각 51$\sim$59.8%, 57.5$\sim$60.3%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TN 제거율은 pH 4.5$\sim$11.5에서 각각 39.3$\sim$85.3%, 3.4$\sim$7.6%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유기물 및 질소 동시제거 특성을 고려하여 백색부후균 P. chrysosporium PSBL-1을 선정하였다. 백색부후균 P. chrysosporium PSBL-1은 부유상태의 초기농도 4,600 mg/L에서 HBC링 여재 부착시작 5분후 pH 4, 7, 10에서 각각 4,538 mg/L, 4,546 mg/L, 4,531 mg/L, 10분 후 4,575 mg/L, 4,573 mg/L, 4,568 mg/L로 5분 이후에는 미생물 부착이 거의 되지 않았다. HBC링 여재에 부착된 P. chrysosporium PSBL-1을 10일 동안 1일 간격으로 탈착량을 조사한 결과 탈착량은 거의 미미하였다.

석탄광산 작업장의 비점오염부하 유출특성 (NPS Pollution Loads from Coal Mining in Korea)

  • 신민환;최용훈;김기철;서지연;임경재;최중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79-784
    • /
    • 2008
  •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토지피복 중분류별 비점오염부하원단위를 산정하기 위한 사업 중 나지로 분류되는 채광지역의 비점오염부하를 측정하였다. 비점오염부하는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의 도계 작업장(석탄)과 태백시 장성동의 태백 저탄소 등 2곳의 채광지역에서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2회의 강우유출사상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2회 강우사상 동안 총강수량은 도계 작업장에서 149 mm이었으며 태백 저탄소에서 201 mm이었다. 유출량은 수위계와 유량계로 5분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수질시료는 자동채수기로 2시간 간격으로 채취하였다. 수질시료는 환경부의 공정시험법에 따라 SS, BOD, CODcr, T-N, T-P, 그리고 TOC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부의 시료에 대해서는 Zn, Cb, Cu, 그리고 Pb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도계 작업장의 유량가중평균농도는 갱내수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계작업장의 일평균유량가중평균농도는 SS $86.3{\sim}94.9\;mg/{\ell}$, BOD $3.8{\sim}7.6\;mg/{\ell}$, COD $26.9{\sim}51.6\;mg/{\ell}$, T-N $1.5{\sim}2.1\;mg/{\ell}$, T-P $0.2\;mg/{\ell}$ 그리고 TOC $1.8{\sim}2.3\;mg/{\ell}$로 나타났다. 태백 저탄소의 일평균유량가중평균농도는 SS $16.5{\sim}66.6\;mg/{\ell}$, BOD $7.4{\sim}9.8\;mg/{\ell}$, COD $41.1{\sim}66.7\;mg/{\ell}$, T-N $0.7{\sim}1.1\;mg/{\ell}$, T-P $0.2\;mg/{\ell}$ 그리고 TOC $1.7{\sim}2.6\;mg/{\ell}$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농도는 모든 시료에서 환경부의 배출허용기준농도보다 낮게 나타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도계 작업장의 일오염부하는 SS $1,368.8{\sim}1,984.1\;kg/day$, BOD $56.6{\sim}128.9\;kg/day$, COD $385.7{\sim}933.7\;kg/day$, T-N $23.4{\sim}44.5\;kg/day$, T-P $2.1{\sim}4.8\;kg/day$ 그리고 TOC $24.3{\sim}39.3\;kg/day$이었다. 태백 저탄소의 일오염부하는 SS $8.2{\sim}162.1\;kg/day$, BOD $2.6{\sim}15.3\;kg/day$, COD $13.8{\sim}83.6\;kg/day$, T-N $0.2{\sim}3.1\;kg/day$, T-P $0.1{\sim}0.6\;kg/day$ 그리고 TOC $0.7{\sim}4.4\;kg/day$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회의 강우유출사상에 대하여 측정한 자료이므로 연평균농도나 연평균오염부하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석탄광산지역의 비점오염부하를 이해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적인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석탄광산지역의 비점오염원단위의 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김치의 재료별 첨가량에 따른 SAM 함량의 변화 (Change of S-Adenosyl-L-Methionine(SAM) Content in Material by Addition of the Kimchi)

  • 이명기;이현정;박완수;구경형;김영진;서주원
    • 식품기술
    • /
    • 제21권2호
    • /
    • pp.55-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발효기간 중 SAM 생성량 증진김치의 최적조건을 개발하기 위해 배추김치의 재료별 및 제조법에 따른 발효기간 중의 SAM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발효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pH $4.2{\sim}4.3$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산도는 pH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면서 발효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AM 함량은 가장 기본적인 재료로만 제조한 표준(A)김치는 가장 낮게 나타났고, SAM이 검출되는 원 부재료에 SAM 함량이 많은 김치가 SAM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모든 김치군 중 I김치가 가장 높은 SAM 함량을 나타냈으며, 김치별 SAM 함량이 가장 높은 발효시점은 A, K김치는 pH $4.6{\sim}4.9$, 산도 $0.38{\sim}0.57$0.57, D, H김치는 pH 6.3, 산도 $0.24{\sim}0.27$, E, G김치는 pH $6.1{\sim}6.6$, 산도 $0.05{\sim}0.14$0.14, B, C, F, I, J김치는 pH $4.3{\sim}5.3$, 산도 $0.45{\sim}1.02$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김치는 적숙기시점이 되었을 때 B, E, G, H김치는 초기발효 때부터 SAM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AM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주재료인 채소류와 젓갈의 함량비를 적절히 제조하여 최적의 SAM 생산능력의 발효시점과 김치맛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능적으로 적합하고 SAM 생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되는 최적의 조건에 대한 실험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Holocene Environmental Change and Human Impact in Hoya Rincon de Parangueo, Guanajuato, Mexico

  • Park, Jung-J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5호
    • /
    • pp.245-254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paleoenvironmental study on Hoya Rincon do Parangueo, a maar lake in Valle de Santiago in Central Mexican Bajio. Maar lake sediments have been widely used for high-resolution reconstruction of paleoenvironment. Many different paleoenvironmental proxy data such as stable isotopes, pollen, sediment chemistry, and dung fungus spore were produced in this study. The pine-oak ratio, stable isotopes, and sediment chemistry help to reveal paleoenviromental changes throughout the whole period covered by sediment materials from this study site. The evidence I found indicates that during ca. 9,500 $\sim$ ca. 8,300 cal yr B.P. there was dry climate; during ca. 8,300 $\sim$ ca. 6,300 cal yr B.P. it was wetter; during ca. 6,300 $\sim$ ca. 4,000 cal yr B.P. drier and cooler; during ca. 4,000 $\sim$ ca. 1,100 cal yr B.P. milder and wetter. The presence of Chupicuaro culture between ca. 2,500 $\sim$ 1,100 cal yr B.P. is implied by the high frequencies of Amaranthaceae and Zea mars. It seems that man left this lake around 1,100 cal yr B.P. due to a dry climate after 1,300 cal yr B.P. Spanish arrival around 400 cal yr B.P. is implied by the fact that fe3 mars reappears and Sporormiella spp. become significant around 120 cm, whereas Poaceae drops sharply.

이온 강도(强度)가 다른 용액내(溶液內)에서 이탄표면(泥炭表面)의 하전특성(荷電特性) (Distribution of the Surface Charges of the Peats in Different Ionic Strengths)

  • 장상문;최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1호
    • /
    • pp.1-8
    • /
    • 1987
  • 전해질(電解質) 용액내(溶液內)에서 이탄표면(泥炭表面)의 하전량변화(荷電量變化)와 이탄유기물(泥炭有機物)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관하여 조사(調査)하였다. 두이탄(泥炭)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은 영양산(産) 이탄(泥炭)이 43.3%, 평택산(産) 이탄(泥炭)이 53.7%이였으며 점토(粘土) 광물(鑛物)은 대부분(大部分)의 석영(石英)과 미량(微量)의 illite 장석류(長石類), kaolinite, hydated-halloysite가 각각(各各) 혼재(混在)되어 있었다. 시료중(試料中)의 총산기(總酸基)의 량(量)은 평택산(産) 이탄(泥炭)이 1,257me/g로서, 영양산(産) 이탄(泥炭)보다 약간 많았으며, 유기물(有機物)의 pKa값은 영양산(産) 이탄(泥炭)이 13.1, 평택산(産) 이탄(泥炭)이 12.65이었다. 산(酸), 알칼리 적정곡선(滴定曲線)은 영양산(産) 이탄(泥炭)은 pH 3.9와 4.4에서, 평택산(産) 이탄(泥炭)은 pH 3.8과 4.0에서 교차 되었다. 음양(陰陽) ion 흡착량(吸着量)의 경우 영양산(産) 이탄(泥炭)에서는 $pH\;4.55{\sim}5.20(NaCl),\;pH\;3.95{\sim}5.70(CaCl_2)$에서, 평택산(産) 이탄(泥炭)의 경우에는 $pH\;4.15{\sim}5.40(NaCl),\;pH\;3.80{\sim}4.15(CaCl_2)$에서 각각(各各) 총하전량(總荷電量)이 양(陽)에서 음(陰)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본이탄(本泥炭)의 ZPC(Zero point of charge)는 pH 4.0 부근에서 형성(形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