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velocity

검색결과 1,908건 처리시간 0.03초

죽산보의 어도에서 트랩 샘플링 기법을 이용한 하절기, 일주기별 어류 이동성 평가 (Summer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Using Fish Trap Sampling Technique in the Juksan Weir)

  • 한정호;고대근;임병진;박종환;안광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879-891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asonal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in the Juksan Weir which was constructed in 2010 at the down-stream of Yeongsan-River watershed. For this study, we monitored day-and-night movement(24 Hr cycle) and seasonal fish migration(June ~ August) patterns in 2011 along with species compositions and abundances depending on the locations of the traps within the fishway.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4 and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was 1,263 with only the size-fractions(as total length) of the fish < 20 cm during the study. Seasonal analysis of fish movement in the fish way showed that highest frequency in the movement occurred in June - July,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a spawning peak season. The most dominant species using the fishway wa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and this species turned out to be 26.9% of the total in the use rate of fishway. Daily monitoring of fish movements showed that most frequent movements occurred between 18:00 PM and 21:00 PM when the fish have a feeding time generally. The migratory fish were not found in the fishway during the study. Mean current velocity during the study $0.42{\pm}0.02ms^{-1}$(n = 42),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p > 0.05) among the daily and monthly velocities in the fishway. The use rate of fish passage, in terms of fish species, was 48%, compared with total sampling of fish species(29 species) at the down-river regions during the same period, indicating a low use rate. Further continuous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the impacts of the weir construction in the river.

인체 지방조직에서 유래한 줄기세포의 신경세포 분화능 및 신경재생 유도효과 (The Effects of Adipose Derived Stem Cells on Neurogenic Differentiation and Induction of Nerve Regeneration)

  • 전영준;이종원;최윤석;김영진;김성은;이종인;한기택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2호
    • /
    • pp.205-212
    • /
    • 2006
  • Using adipose derived stem cells(ASCs), neurogenic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n a mono layered culture medium containing neuronal induction agents. Cells differentiated to the neuronal cells were observed with a inverted microscope and immunofluorecent study. We made a 15 mm long defect in the sciatic nerve of 14 rats and connected a silicone tube to the defect. Then, we mixed neuronal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ASCs with collagen gel and grafted them to a group of rats(experimental group) and grafted only collagen gel into another group(control group). In 4 and 8 weeks after the graft, histological observa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umber and diameter of myelinated ax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improved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neovascularity also increased. Moreover, reaction with S100 and p75 was observed in regenerated nerv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uggesting that the grafted cells were differentiated into supportive cells such as Schwann's cell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d that ASCs can multiply and differentiate into neuronal cells. If they are grafted into nerve defects, the grafted cells are differ entiated into supportive cells such as Schwann's cells and thus contribute to nerve regeneration. Accordingly, the use of adipose tissue obtained easily without the limitation of donor site can be greatly helpful in treating peripheral nerve defects.

횡등방성 매질의 음원추적기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ource Locating Technique for Transversely Isotropic Media)

  • 최승범;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1호
    • /
    • pp.56-6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횡등방성 매질에 적용 가능한 음원추적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분할근사법을 바탕으로 매질의 속도 이방성을 고려하였으며 이 방법은 단순한 계산을 통하여 음원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AE 측정 결과로부터 P파 도달시간을 결정할 때 Two-step AIC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이 실험결과와 분할된 요소를 비교하여 최소 오차 요소를 음원의 위치로 결정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인공 횡등방성 시험편을 제작하고 연필심 압절을 음원으로 하는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필심 압절 위치와 음원추적 결과 간의 거리를 절대오차로 정의할 때, 1.60 mm ~ 14.46 mm의 오차범위와 8.57 mm의 평균오차가 측정되었고 이는 시험편과 AE 센서의 크기를 고려할 때 수용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검출한계 수준에 따른 음원추적 결과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수준의 오차가 측정되어 본 기법은 실험 시 배경잡음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측정된 절대오차를 각 축방향 오차로 분해하여 AE 센서 부착위치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센서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면 더 정밀한 음원추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에서 실험적으로 유발한 척수손상에 대한 전침과 감압술의 병용 효과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Electroacupuncture and Surgical Decompression on Experimental Spinal Cord Injury in Dogs)

  • 김순영;김민수;서강문;남치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7-301
    • /
    • 2005
  • 개에 실험적으로 후구마비를 유발한 후 감압술과 전침술을 병행 처치하였을 때 그 임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3.15.0kg, 12년령의 신경계 질환이 없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10두의 수캐를 각 5두씩 감압술 및 전침술 병용군 (A군)과 감압술 단독군 (B군)으로 편성하여 각 군의 실험견에 약 $40\%$의 척수압박을 하여 심부통각 지각이 있는 후구마비를 유발하였다. 후구마비 유발 48시간 후, 두 군 모두에 편측추궁절제술을 실시하고 압박물을 제거하였고, 감압술 및 전침술 병용군은 감압 이틀 후부터 회복시점까지 2일에 1회씩 전침 치료를 하였다. 실험기간 중, 매일 Talrov's grading system 변법을 사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하였다. 실험전과 치료종료 시점의 체성감각유발전위(SEPs)를 측정하여 측정된 유발전위를 신경전도 속도로 환산하여 신경기능을 확인하였다. 감압술 및 전침술 병용군에서는 술후 보행능력 회복까지 $10.0\pm2.7$일이 걸렸으며, 완전회복까지는 $17.2\pm3.9$일이 소요되어 보행능력 회복에서 완전회복까지 $7.2\pm1.8$일의 재활기간이 필요하다. 한편 감압술 단독 적용군은 술 후 보행능력 회복까지 $13.4\pm3.7$일이 걸렸으며, 완전회복까지는 $34.2\pm14.5$일이 소요되어 보행능력 회복에서 완전회복까지 $20.8\pm11.8$일의 재활기간이 필요했다. 완전회복 후의 SEPs의 전도속도는 실험전의 정상범위로 회복된 양상을 보였다. 감압술 적용 후, 보행능력 획득까지의 기간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가 없었으나, 완전회복 및 재활기간에 있어서는 감앗술과 전침 병용군이 더 짧은 치료기간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개에서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후구마비가 있는 경우, 감압술과 전침 치료를 병행하면 기능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건으로 판단된다.

파종 심도가 콩의 하배축 생장과 Hook 열림 및 Sucrose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epth on Hypocotyl Growth, Hook Opening, and Sucrose Metabolism in Soybean)

  • 윤승길;이상각;이상은;박소현;허광운;임선;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9-436
    • /
    • 2003
  • 파종심도차이에 의한 콩의 하배축 생장동안 hook 열림 정도와 sucrose 대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황금콩을 2.5, 5.0, 7.5 및 10.0 cm의 깊이로 파종하였다. hook 열림 정도는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늦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열림각도는 하배축생장과 1% 수준에서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파종심도는 하배축 생장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하배축생장이 촉진된다는 것을 의미하였 다. 더 나아가 하배축에서의 fructose와 glucose 함량이 자엽보다 다량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배축에서 fructose와 glucose는 지상부 출현 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출현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용 당의 함량은 파종심도가 얄은 2.5 cm와 5.0 cm로 파종한 콩 종자에서는 출현 후 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파종심도가 깊은 종자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파종심도가 갚은 종자에서 하배축의 과도한 생장동안 세포벽 등의 생성을 위해 당이 모두 소진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현상은 hook 열림이 출현 후 광 signal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었다. 깊은 파종심도에서 hook 열림의 지연은 하배축 생장이 암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이었다. 이는 정단부 hook 열림 현상이 광과 관계한 sucrose 분해대사와 함께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청양-홍성간 도로에서의 초기강우에 의한 유출부하량 평가 및 기여율 산정 (Evaluation of Runoff Loads and Computing of Contribute ratio by First Flush Stormwater from Cheongyang-Hongseong Road)

  • 이춘원;강선홍;최이송;안태웅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07-417
    • /
    • 2011
  • Nowadays, the high land use, mainly used for urbanization, is affecting runoff loads of non-point pollutants to increase. According to this fact, increasing runoff loads seems like to appear that it contributes to high ratio of pollution loads in the whole the pollution loads and that this non-point source is the main cause of water becoming worse quality. Especially, concentrated pollutants on the impermeable roads run off to the public water bodies. Also the coefficient of runoff from roads is high with a fast velocity of runoff, which ends up with consequence that a lot of pollutants runoff happens when it is raining.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project to evaluate the quantity of pollutant loads. In this study, I computed the pollutant loadings depending on time and rainfall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unoff while first flush storm water and evaluated the runoff time while first flush storm water and rainfall based on the change in curves on the graph. I also computed contribution ratio to identify its impact on water quality of stream. I realized that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first flush storm water effluents is very important for the management of road's non-point source pollutants because runoff load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are over the 80% of whole loads of stream. Also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runoff loads of first flush storm water for SS, run off time was shown under the 30 minute and rainfall was shown under the 5mm which is less than 20% of whole rainfall. These are under 5mm which is regarded amount of first flush storm water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it is judged to be because run off by rainfall is very fast on impermeable roads. Also, run off time and rainfall of BOD is higher than SS. Therefore I realized that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should be managed and done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material. Finally, the contribution ratio of pollutants loads by rainfall-runoff was shown SS 12.7%, BOD 12.7%, COD 15.9%, T-N 4.9%, T-P 8.9%, however, the pollutants loads flowing into the steam was shown 4.4%. This represents that the concentration of non-point pollutants is relatively higher and we should find the methodical management and should be concerned about non-point source for improvement on water quality of streams.

의복형태에 따른 성인여성의 발한반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weating Responses of Adult Female according to Garment types)

  • 염희겅;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5-416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total body weight loss and local sweat rate and to find out any possible method that can estimate total body weight loss judging from local sweat rate. Twelve adult females were kept at 44 $\pm1^{\circ}C$, 50 ${\pm}5\%$ R.H. (1) 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total body weight loss, local sweat rate, rectal temperature, skin temperature, blood pressure and pulse, (2) micro climate inside garment and (3) subjective sensation were examined. Two types of garment such as long-sleeves with long pants (Type I) and half·sleeves with short pants (Type II) were used to observe the effect of garment types on sweating response. Both clothing weight was equal (132$\pm$3 g/$m^{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the different types, total body weight loss was more interrelated with the sweat rate on forehead than any other parts of the body. Except the forehead, different parts of body with different types of garment influenced on body weight loss quite differently. 2. Total body weight loss was more interrelated with the weight gain of garment than the local sweat rate. 3. Under the environment of 44$\pm1^{\circ}C,\;50{\pm}5\%$R.H., body weight loss during 1 hour of subject clothed and silted was 275.2 g/hr and weight loss per body surface area was 178.9 g/$m^{2}/hr$ Garment types have no influences on total body weight loss. 4. Local sweat rate (mg/7.07 $cm^{2}/hr$) was 208.0,191.0, 133.0, 115.0,81 0, 75.1 and 66.3 on scruff, breast, forehead, forearm, thigh, upper arm, leg respectively No evidence has been found that garment types influenced on local sweat rate (p<0.1). 5. No interrelationships between rectal temperature and total body weight loss, local skin temperature and total body weight loss, and local skin temperature and local sweat rate were found. From this study, some possible method that we can estimate total body' weight loss judging from weight loss of garment.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clothing design fact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abric and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humidity and wind velocity should be concerned in weight loss of garment, it should be studied further whether the total body weight loss can be estimated properly from the weight loss of garment.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different parts of body with different types of garment can influence on body weight loss quite differently. Therefore, in order to get more precise results, more studies under the diversity of garment types should be done in the near future.

  • PDF

HMUS와 SBR 반응조를 이용한 축분처리에 관한 연구 (Pig slurry treatment by the pilot scale hybrid multi-stage unit system (HMUS) followed by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 이영신;한기봉
    • 유기물자원화
    • /
    • 제21권2호
    • /
    • pp.63-70
    • /
    • 2013
  • 현장 실규모의 다단공정으로 ATAD, EGSB 및 SBR을 조합한 HMUS 공정을 이용하여 돼지 축분 처리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실험결과 고농도 유기물, 질소와 인의 제거에 효과적이었다. 각 오염항목의 시스템 공정별 처리효율이 ATAD 공정에서는 CODcr이 43.3%로 제일 높게 나타났다. 다음 단계인 응집침전 공정에서는 TS의 제거효율이 9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전조건 중 OLR은 3-6Kg $COD/m^3{\cdot}day$ 및 선속도는 1.5-4 m/h의 범위일 때 평균 CODcr 제거 효율은 HRT 3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입수의 성상이 영향을 미치는 고온호기성 산화반응은 TS가 50,000 mg/L 이상 되어야 고온발열효과를 얻어 병원균을 사멸할 수 있는 온도를 얻었다. EGSB 공정을 거치는 동안 유기물제거량 당 발생된 가스발생량은 $2.3{\sim}8.5m^3/kgTS{\cdot}d$ (평균 $5.2m^3/kgTS{\cdot}d$)로 나타났다. 후처리단계인 간헐포기공정에서 전체운전기간 중 평균제거효율은 CODcr 71.7%, TS 64.1%, TN 45.9%, 및 TP 50.4% 로 나타났다.

경남 함안군 백악기 이암의 동결-융해에 따른 물성변화 및 미세균열 발현특성 (Variations of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retaceous Mudstone in Haman, Gyeongnam due to Freeze-Thaw Weathering)

  • 엄정기;신미경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2호
    • /
    • pp.146-157
    • /
    • 2009
  • 이 연구는 경상남도 함안군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암에 대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수행하고 동결-융해 반복 횟수의 증가에 따른 암석의 물리 역학적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동결-융해의 한 사이클은 24시간이며 진공 챔버에서 2시간 동안 포화시킨 시료를 $-16{\pm}1^{\circ}C$로 8시간 동결하고 상온에서 14시간 동안 융해하였다. 총 55 사이클의 동결-융해 시험 중에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한 결과 비중, P파 속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흡수율, 공극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시험 전 풍화를 많이 받은 암석일수록 동결-융해에 따른 물성의 변화가 크며 풍화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슬랩 시편에서 취득한 미세균열 트레이스의 크기 및 면적밀도는 30사이클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30사이클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P파 속도의 특성과도 부합하며 암석 내부에 미세균열이 급격히 발현 확장하고 특히 층리면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암석 풍화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미세균열의 밀집도와 크기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박스 프랙탈 차원($D_B$)은 미세균열 트레이스의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며 중 장기적인 풍화 예측을 위한 새로운 풍화지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폐광 부지의 재해 및 오염대 조사관련 물리탐사자료의 고찰 (Case Studies of Geophysical Mapping of Hazard and Contaminated Zones in Abandoned Mine Lands)

  • 심민섭;주현태;김관수;김지수
    • 지질공학
    • /
    • 제24권4호
    • /
    • pp.525-534
    • /
    • 2014
  • 폐광 부지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환경 문제는 산성으로 오염된 지표수와 지하수, 적재된 폐광석 및 광미, 채굴 활동으로 야기된 지반침하 현상을 들 수 있다. 이 논문은 광해 유형에 따라 재해 및 오염영역을 효율적으로 탐지했던 지구물리탐사방법들을 고찰하는데 있다. 시험 자료로서 토양오염, 산성광산배수, 지반침하, 인공차수막 파손 및 광미/폐광석 적치장을 각각 대표하는 네 개의 폐광 부지를 선택하였다. 자료 검증을 위해 물리탐사자료는 자료의 유형에 따라 시추자료(코어 샘플, 물리검층, 토모그래피 등)와 물 자료(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중금속원소 등)와 비교하였다. 토양오염 탐지에 있어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특히 구리, 납, 아연의 중금속 농도가 높은 지역과 부합된다. 산성광산배수의 유동 경로는 자연전위 곡선에서 음의 전위 이상대, 전기비저항자료에서의 저비저항 이상대, 지하레이더 자료에서의 얕은 투과깊이 영역으로 탐지되었다. 채굴적은 전기비저항 단면에서의 저비저항 이상대, 탄성파토모그래피에서 낮은 속도 영역, 물리검층곡선의 복합해석으로 특징되며, 정확한 위치는 코어자료와 시추공영상자료에서 잘 확인되었다. 침출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인공차수막의 파손 구간은 전기비저항 자료에서의 국부적인 이상대로 정확히 탐지되며 매립된 폐석더미는 고비저항 이상대와 저속도 이상대로 특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