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tetracycli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125초

코퍼 하이드록사이드를 이용한 토마토 풋마름병 방제 (Control of Bacterial Wilt of Tomato using Copper Hydroxide)

  • 한유경;한경숙;이성찬;김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8-302
    • /
    • 2011
  • 국내에서 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은 토마토 재배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R.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5종 항생제를 이용하여 균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와 포장에서의 토마토 풋마름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R. solanacearum에 대한 생장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streptomycin 수화제, oxytetracyclin streptomycin sulfate 수화제, oxolinic acid 수화제는 병원균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포장에서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한 결과, copper hydroxide 수화제가 62.5%의 가장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Copper hydroxide 수화제는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등록된 약제로서 관행 재배뿐만 아니라 토마토 친환경 재배시에도 풋마름병 방제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Magnolol 및 Honokiol의 항생제와의 병용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Magnolol and Honokiol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 정경수;이수나;김영호;배기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1
    • /
    • 2000
  • Antibacterial activities of magnolol (MGL) and honokiol (HKL) in combination with four representative antibiotics-amoxicillin (AMPC), oxytetracyclin (OTC), gentamicin (GM) and chloramphenicol (CAP)-were evaluated against four bacterial strains. When tested by disk-plate method, five out of eight combinations such as HKL-AMPC, HKL-CAP, MGL- AMPC, MGL-OTC, and MGL-CAP showed additive to synergistic interaction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um Salmonella typhimureum. Of these, MGL-AMPC combination turned out to be antagonistic against Sarcina lutea and Bacillus thurungiensis. Against these two grain-positive bacteria, only HKL-GM combination showed additivity to synergism. All the other combinations showed no interactions. Despite these results, however, no synergism was observed in checkerboard titration assay.

  • PDF

콩 불마름병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Bactericides for Controlling Soybean Bacterial Pustule)

  • 홍성준;김용기;지형진;이봉춘;윤영남;박성태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66-273
    • /
    • 2010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에 의해 발병되는 콩 불마름병은 콩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중요한 세균성 병해 중 하나이다. 게다가 병원균은 강한 병원성을 가지고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불마름병방제를 위한 약제나 저항성 품종이 개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불마름병을 화학적 방법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콩 불마름병 병원균의 효과적인 생육억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살세균제들(8개의 항생제, 2개의 구리화합물, 1개의 quinoline, 18개의 농약)을 이용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 생장억제 효과조사 결과,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ate 처리에서 병원균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또한 oxolinic acid도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하지만 vancomycin, polymyxin B sulfate and copper compounds 등은 불마름병 병원균의 생육억제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18종의 농용약제 중에는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18.8 + 1.5%)WP, oxytetracycline(17%)WP, oxolinic acid(20%) 등이 실내에서 병원균의 생육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5종의 농용약제에 대하여 포장에서 방제효과 시험을 실시한 결과, streptomycin sulfate + oxytetracycline (18.8 + 1.5%) WP와 oxytetracycline(17%) WP가 자연 감염된 태광콩 포장에서 7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콩불마름병균에 대한 강한 억제효과를 가지는 이 약제들은 콩 불마름병의 화학적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축산환경개선제의 표기사항 및 항생제 내성 현황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Anitibiotic Resistant Condition and Label-Stated of Domestically Distributed Livestock-Environment Improving Agents)

  • 최정은;이은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58-265
    • /
    • 2009
  • 축산환경개선용 미생물 제품 중 시장점유율을 기준으로 상위제품 A, B,하위 제품 E, F와 현재 개발완료 되어진 C, D를 선정하여 생균수 측정과, 사료첨가용으로 사용이 금지된 항생제에 대한 내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생균수 측정 결과 상위 점유율의 A, B사 제품은 표기상의 생균수와 일치하였으나, 하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E제품의 경우 함유균주나 효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않고 있을뿐더러 F사의 제품은 균수가 적게 측정되어 실제 표기사항과 일치하지 않았다. 항생제 내성실험결과 점유율에 따른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B사를 제외한 제품의 대부분에서 내성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Lincosimides 계열의 Lincomycicne과 Clindamycin의 경우 B사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이 존재하였다. Penicillins 계열의 Amoxicillin, Ampicillin, Penicillin 및 Macrolide 계열의 Erythromycin 항생제는 B사와 E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Quinoline계열 Norploxacin 또한 B사와 E사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을 보였으며 Neomycin의 항생제 또한 유사한 내성분포 결과를 나타내었다. Neomycin과 같은 Aminiglycosides계열의 Gentamycin, Streptomycin은 B사제품을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내성-균으로 사용 금지된 Tetracycline계열의 Oxytetracyclin은 12가지 항생제중 가장 높은 비율의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B, E사를 제외한 제품에서 내성균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사용 금지된 항생제 품목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제품에서 때 성균이 존재하였으며, 이에 따라 환경개선제 특성의 정확한 표기와 체계적인 유통 체계와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Endocrine Disruption Induced by Some Sulfa Drugs and Tetracyclines on Oryzias latipes

  • Kang Hee-Joo;Choi Kyung-Ho;Kim Min-Young;Kim Pan-Gy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4
    • /
    • 2006
  •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in recent years about the occurrence, fate and toxicity of pharmaceutical products in aquatic environment. Although these compounds have been detected in a wide variety of environmental samples including sewage effluent, surface waters, ground water and drinking water, their concentrations generally range from the low ppt to ppb levels. It is therefore often thought to be unlikely that pharmaceuticals will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the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ndocrine disruption effects of the several pharmaceutical residues in water using adult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The common antibiotics were used sulfa durgs (sulfamethoxazole and sulfamethazine) and tetracycline drugs (oxytetracycline and tetracycline). Positive control that was induced Vtg (vitellogenin) in male fish was used $17\beta$-estradiol. Vtg was qualified and quantified through Western blotting and ELISA. After SDS gel electrophoresis, the dominant protein band was identified to molecular weight approximately 205 kDa in whole body samples of vitellogenic female. In female medaka exposed to $17\beta$estradi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rotein induction. In contrast, three to five day exposure of male fish to $17\beta$-estradiol resulted in more than 60.0% increase of total protein compared to that of control males (p<0.01). In case of antibiotics, female fish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male fish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Vtg induction in male fish was observed with all the test chemicals. On concentrations greater than 0.1 ppm of sulfamethoxazole, 1 ppm of sulfamethazine, 1 ppm of oxytetracycline and 20 ppm of tetracycline, Vtg induction was increased in a dose response manner. This study is one of the early reports suggesting potential endocrine disruption mechanism of antibiotic pharmaceutical products in aquatic ecosystem. Although the effect concentrat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high as unrealistically as in environments, it is endocrine disruption that we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consequences of pharmaceutical contamination at water environment, and warrants due attention in future researches.

간헐적 교정력에 의한 백서 구치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NGES OF RAT MOLAR PERIODONTIUM INCIDENT TO INTERMITTENT FORCE)

  • 김선해;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7-73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ssue response of the rat molar periodontium incident to intermittent orthodontic force. The author intended to observe the healing process of injured periodontium and the response of injured tissue to the resumed force. Oxytetracyclin 50mg/Kg was given to each rat intraperitonially. 5 days later, maxillary 1st molars were moved mesially from the incisors with closed coil spring of 100gram. 7 days later, the appliances were removed and 20mg/Kg of calcein were given intraperitonially to each rat. At the same time, maxillary left 1st molars of 15 rats were moved by the same method, but force was lowered to 20 gram. After 1 day, maxillary left 1st molars of another 15 rats were moved by the same method and 50mg/Kg of oxytetracycline was given intraperitonially. After 4 days, another 15 rats were treated as above. After 7 days, another 15 rats were treated as above. 1,4,7,10 and 14 days after change of force, 3 rats were sacrificed in each group respectively. 2 rats were decalcified, embedded in paraffin, and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stain and with Masson's trichrome stain. Another rat was embedded in polyester resin and undecalcified specimen were made. Microradiograms were taken with the undecalcified sections. Observations were made with light and fluorescence microscop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Connective tissue cells and vessels were infiltrated into the hyalinized tissue from the bony cleft and along the border of the hyalinized tissue with bone and root surface. At the same time, elimination of hyalinized tissue, bone and root resorption occurred. 2. Bone and root were resorbed directly and indirectly. 3. Hyalinized tissue was removed within 5 days after force removal. 4. Hyalinized zone was less extensive and easily removed as the rest period prolonged. 5. Hyalinized tissue developed more rapidly and extensively and lasted over 10 days as the force resumed on the already formed hyalinized tissue.

  • PDF

Experimental development of caprine enterotoxaemia with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D whole culture in natural host and its treatments

  • Islam, Kbms;Rahman, Md Sidiqur;Ershaduzzaman, Md.;Taimur, Mjfa;Song, Hee-J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31
    • /
    • 2007
  • The effects of intraduodenal administration of Clostridium perfringens type D whole culture in goats were evaluated to develop a reliable experimental model of enterotoxemia in this species and the eventual evaluation of treatment with different drug preparations was also carried out. A total of 28 conventionally reared healthy unvaccinated black bangle goat kids of 6-12 months of age were dosed intraduodenally with whole cultures of C peliringens type D. Four kids were used as controls and received sterile, nontoxic culture medium intraduodenally. All animals received starch solution into the abomasum. The clinical signs developed within 12 hours of post inoculation that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naturally occurring cases. Among the clinical signs, diarrhea was most common (96.43%) followed by dyspnea (53.57%) and central nervous system (CNS) signs (25.0%). The most striking postmortem findings consisted of necrotizing pseudomembranous colitis (100.0%), lung edema (69.23%) and fluid filled intestines (61.53%). The protocol thus provided a reasonable model of naturally occurring enterotoxemia in goats, producing a range of clinical signs and postmortem changes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natural disease. Beside this, treatment trial with different drug preparations showed penicillin combined with antitoxin was most effective (100.0%), followed by combination of oxytetracyclin with antitoxin, and combined preparation of antitoxin and sulfur drugs both showed 75% recovery rate. On the other hand, treatment with antitoxin, penicillin and oxytetracycline singly could protect goat enterotoxaemia only 25.0%, 50.0% and 50.0%, respectively. Thus in the present study, it eas observed that antisera in combination of antibiotics gave better recovery rate than the antitoxin or antibiotics alone.

Oxytetracycline 수한주입에 의한 대추나무 비짜루병 방제 (Control of Witches'-broom Disease of Jujube with Oxytetracycline Injection)

  • 나용준;;문동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7-110
    • /
    • 1976
  • oxytetracycline HCI의 대추나무 비짜루병 방제효과를 구명할 목적으로 병든 대추나무(15-20년생, 흉고직경 20cm 내외)에 oxytetracycline HCI의 1,000 p.p.m. 수용액을 1회에 500ml씩 시기별로 각각 1회(4월), 2회(4월, 7월), 30(4월, 6월, 8월) 그리고 대추 수확후 1회구(10월)로 나누어 수간에 주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간주입당년에 있어서는 시기별 주입회수에 관계없이 1회 이상의 수간주입으로 비짜루병징이 완전히 억제되고, 정상엽이 자라나면서 개화결실하였다. 2. 2회이상 주입한 나무와 10월에 1회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 가을까지도 병징억제효과가 지속되었으나 4월에 1회 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에 부분적으로 경미한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3. oxytetracycline HCI에 의한 병징억제효과는 수간주입부위의 윗쪽에서만 나타났으며, 그 이하부위와 약액이 주입되지 않은 측지에서는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4. oxytetracycline HCI의 5.000 p.p.m. 수용액을 주당 30ml씩 주입하였을 때는 전혀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 PDF

최근 문제시 되는 수박 과일썩음병에 대한 방제효과 분석 (Analysis of Control Efficacy of Bacterial Fruit Blotch Caused by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 in Recent Issues)

  • 백창기;이성찬;박미정;한경숙;김홍기;이윤수;박종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46
    • /
    • 2016
  • Acidovorax avenae subsp. citrulli에 의해 발생하는 수박 과일썩음병은 수박재배지역에 문제병해이다.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를 위해 시판되는 살세균제로 방제효과 조사하였다. 고체배지를 이용한 생장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옥솔린산 수화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등에서 과일썩음병균 생장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총 4종의 살세균제를 사용하여 종자침지, 유묘기에 발생한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종자침지에서는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가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유묘기에 발생한 수박 과일썩음병 방제에는 아시벤졸라-에스-메틸+만코제브 수화제가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온탕침지 처리법으로도 병든 수박종자에 발생하는 수박 과일썩음병 감염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데, 그 처리조건은 $50{\sim}55^{\circ}C$에서 20~30분간 처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수박재배농가와 육묘재배인이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수박 과일썩음병의 효율적인 방제법이 확립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韓國) 토착대두(土着大豆) 근류균(根瘤菌)의 균주(菌株) 인식(認識)을 위한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검정법(檢定法)의 응용(應用) (Applica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Test for the Recognition of Korean Native Rhizobium japonicum Strain)

  • 임선욱;김민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9-244
    • /
    • 1989
  • 본(本) 시험(試驗)은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에 존재(存在)하는 토착대두근류균 (土着大豆根瘤菌) 분포(分布)의 다양성(多樣性)을 밝힘과 아울러 이곳에서 분리(分離)한 분리균(分離菌)들의 몇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내성(耐性)의 일반적(一般的)인 특성(特性), 그리고 근류균(根瘤菌) 균주(菌株) 인식(認識)을 위한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시험(試驗)의 적합성(適合性) 등(等)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의 여러 대두품종(大豆品種)의 근류(根瘤)에서 분리(分離)한 27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을 중심(中心)으로 streptomycin sulphate, ampicillin, kanamycin sulphate, oxytetracycline등(等)의 4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내성(耐性)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結果) 27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은 4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해 21가지의 상이(相異)한 내성유형(耐性類型)을 보임으로써 서울농대(農大) 시험포장(試驗圃場)에 비교적(比較的) 다양(多樣)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들이 분포(分布)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27개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은 streptomycin sulphate와 oxytetracycline, ampicillin에 대하여 약 $1{\mu}g/ml$의 낮은 농도(濃度)에서부터 $200{\mu}g/ml$의 높은 농도(濃度)에 이르는 넓은 농도(濃度) 범위(範圍)에 걸쳐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보였다. 그리고 몇가지 분리균(分離菌)은 ampicillin에 대하여 $400{\mu}g/ml$의 보다 높은 농도(濃度)에서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보인 반면(反面), kanamycin sulphate의 경우(境遇) $12.5{\mu}g/ml$이하(以下)의 낮은 농도(濃度)에서 모든 분리균(分離菌)들이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나타냄으로써 이는 다른 항생제(抗生劑)들에 비해 생육저해력(生育沮害力)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전에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學的) 시험(試驗)에 의해 서로 다른 균주(菌株)로 밝혀진 두가지 분리균(分離菌)이 4가지 항생제(抗生劑)에 대해 각각 같은 정도(程度)의 생육저해(生育沮害)를 보임으로써 항생제(抗生劑) 내성시험(耐性試驗)은 정확(正確)한 균주(菌株) 인식(認識)에는 완전(完全)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