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idation Rate

검색결과 1,542건 처리시간 0.032초

도자기 보존을 위한 복원제의 특성 연구 - 색도(色度)·기공률(氣孔率)·침전률(沈澱率)·황변도(黃變度)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Mixed Materials and Epoxy Materials for Restoration of Ceramics - chromaticity·porosity·sedimentary rate -)

  • 이해순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6권
    • /
    • pp.55-66
    • /
    • 2005
  • 도자기 복원재로서 사용되는 에폭시수지 3종( Epo-Tek 301, Araldite 103, Araldite 106 )과 안료 3종(분채, 파스텔, 콘테)을 실험재료로 선택하고, 이 재료들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시편들에서 색도변화율과 기공률, 그리고 침전률을 관찰하였다. 또한 저점도의 맑고 투명한 특징을 가진 Epo-tek 301에 4종의 백색안료와 6종의 충진제를 혼합한 시편들을 만들고 200시간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에폭시 수지의 산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파스텔은 Epo-tek 301과 혼합하면 화학적 변화가 심하였다. 분채와 콘테는 안료 발색력이 높았지만 다른 첨가물이 혼합되면 콘테의 발색력이 낮아졌다. Epo-tek 301은 소량의 첨가물에서는 몰림 현상이 나타났고 다량의 첨가물에는 포화상태가 되면서 끓어 넘쳤으며, AW 106은 점도가 높기 때문에 소량안료에는 발색이 잘 안되었지만 첨가물이 많을 때 오히려 발색이 잘되었다. AY 103은 첨가물의 양에 상관없이 규칙적이면서도 급격하지 않은 색도 변화를 나타내었다. 기공률은 [파스텔> 분채≒ 콘테], [Epo-tek 301< AY 103< AW 106]순서로, 침전률은 [분채> 콘테> 파스텔], [Epo-tek 301> AY 103> AW 106]순서로 나타났다. 황변도 측정에서 티타늄, 파스텔, 실리콘디옥사이드와 카올린은 황변이 잘되었고 분채, 콘테, 규조토와 수산화칼슘은 황변에 강했다.

점토 광물질의 급여가 비거세 우육의 저온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lay Mineral on Meat Quality of Hanwoo (Korean Cattle) Bull Beef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성기;김용선;양성운;주명규;박연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3-259
    • /
    • 2004
  • 점토 광물질을 비거세 한우에 1.25%첨가 급여시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무첨가구)와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CT-1.25%)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대조구와 달리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의 PH는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고 안정적이었다. CIE a*값, chroma값 및 R630-R580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특히 대조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Metmyoglobin(%)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으로써 대조구의 menyoglobin 형성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1.25%점토 광물질 급여구에 비해 갈색 축적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지질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RS는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을 보였다. 보수력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보수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CT-1.25%)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육색, 지질 산화 및 보수력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귀의 첨가 식이가 흰쥐의 지방대사와 알콜대사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diet on lipid metabolism,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s administered with chronic ethanol)

  • 차연수;최동성;오석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29-33
    • /
    • 1999
  • 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첨가 식이가 만성적인 알콜 투여시 흰쥐의 지방대사, 알콜대사 및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Sprague-Dawley 수컷 쥐를 대조군(증류수 투여), 에탄올 투여군, 당귀 첨가 식이군, 에탄올 투여 와 당귀 첨가 식이군의 4그룹으로 나누어 30일간 에탄올 및 증류수는 경구 투여하였고, 당귀는 AIN-76 식이에 첨가하여 섭취하도록 하였다. 그룹간 혈중 알콜대사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1째 날에 13% 알콜을 모든 군의 쥐에 경구 투여한 후 혈중 알콜농도 변화를 5시간 동안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귀 첨가 식이군의 혈중 알콜농도가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알콜투여 후 2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 만성적인 알콜섭취와 동시 당귀 첨가 식이군의 알콜 투여 직후의 혈중 알콜 산화 속도는 정상식이군 혹은 당귀 첨가 식이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빠르게 진행되었다. 또한 30일 후에는 각 그룹의 쥐를 희생시켜 혈중 및 간장 중의 지방성분 및 혈중의 간장 관련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귀 첨가 식이는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비첨가 식이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2) 당귀 첨가 식이는 알콜투여로 증가된 간장 중의 중성지방 및 총지방 함량과 혈중 ${\gamma}-GTP$의 수준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당귀 첨가식이가 만성적인 알콜 섭취로 야기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개선 효과가 있음을 제안할 수 있겠다.

  • PDF

밀배아 지방질의 산화 안정성과 카로티노이드 및 토코페롤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of Wheat germ Lipid and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arotenoid and Tocopherol during Oxidation)

  • 김혜경;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8-482
    • /
    • 1995
  • 밀배아를 저장온도 $30^{\circ}C$에서 산화반응을 시키면서 밀배아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의 함량변화를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카로티노이드와 토코페롤의 산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밀배아 지방질 구성성분의 변화를 보면 초기에는 triglyceride 함량이 66%, 유리지방산 함량이 7%였는데 30일 저장 후에는 각각 49%, 24%로 변하였다. 유리지방산의 조성은 초기에 lauric acid(29%), palmitic acid(21%), linoleic acid(20%)이던 것이 30일 후에는 linoleic acid가 30%로 크게 증가하였다. 밀배아 중에 있는 카로티노이드로는 베타-, 알파-카로틴, lutein, taraxanthin 등이 있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저장 전에는 밀배아 1g당 각각 306, 59, 383, 356ng이던 것이 20일 저장 후에는 36, 4, 203, 149 ng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베타-카로틴의 산화가 심하여 22.5ng/day의 최대 산화속도를 나타냈다. 밀배아 중의 토코페롤 동족체로는 알파-, 베타-, 감마-토코페롤 등이 있었는데 이들의 함량은 밀배아 1g당 각각 $55,\;48,\;38\;{\mu}g$이었고, 특히 가장 산화가 심하였던 알파-토코페롤의 최대 산화속도는 $1.26\;{\mu}g/day$를 나타내었다.

  • PDF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EM)로 사양한 EM Pork의 육질 개선 효과 (Quality Improvemen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Pork Produced by Using EM)

  • 한승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34-737
    • /
    • 2005
  • 본 연구는 EM을 음수 및 사료내에 첨가하여 사양한 돼지의 육질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돈육과 EM Pork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돼지 50두를 공시하여 일반성분, 육질 개선 및 육질 보존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결과, 일반 돈육은 평균적으로 $83{\pm}4mg/100\;g$ 이었는데 EM Pork는 $71{\pm}3\;mg/100\;g$을 나타내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5). 또한 TBA가는 저장기간 14일에 일반 돈육이 $0.184{\pm}0.003$ MDA mg/kg을 나타냈는데 EM Pork는 $0.165{\pm}0.004$ MDA mg/kg으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VBN치는 일반 돈육을 5일간 냉동 저장한 것이 $3.72{\pm}0.05\;mg\%$이었고 EM Pork는 $3.2{\pm}0.05\;mg\%$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일반 돈육을 5일간 냉장 저장한 것은 $4.9{\pm}0.1\;mg\%$를 나타냈으나 EM Pork는 $3.19{\pm}0.04mg\%$를 나타내 일반 돈육보다 $35\%$ 정도 VBN치가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Vitamin E와 Selenium의 급여가 비거세우육의 진열저장중 육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and Selenium Supplementation on Meat Color Stability of Hanwoo(Korean Native Cattle) Bull Beef during Retail Display)

  • 김용선;양성운;김주용;박연수;황환섭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8-114
    • /
    • 2002
  • Vitamin E와 selenium의 급여가 거세한우육의 진열저장중 (5$^{\circ}C$, 1,200 lux) 육색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Vit E 27 IU/head/day, Se 0.09 mg/head/day), Vitamin E 급여구(2,500 IU/head/day), Selenium 급여구(20 mg/head/day), Vitamin E와 Selenium 복합 급여구 (Vit E 2,500 IU/head/day, Se 20 mg/head/day)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CIE a*값, chroma값, oxymyoglobin함량(%) 및 R630-R580간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특히 대조구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현저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Metmyoglobin(%)의 함량은 저장 전(0일)에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0.05) 저장기간이 경과 함으로써 대조구의 metmyoglobin 형성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다른 처리구에 비해 변색이 가속화됨을 알 수 있었다. 지질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RS는 Se구와 Vit E+Se구가 대조구와 Vit E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저장 전에는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3일 저장시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elenium 급여구들(Se구, Vit E+Se 구)의 경우 대조구와 vitamin E급여구에 비해 지질산화에 대해 안정성을 가졌으며, 육색이나 육색소에 있어서는 Vit E구, Se구, Vit E+Se구가 대조구보다 저장안정성을 보였으나 이 3가지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미산 분해 반응에서 수소 생산성 증대를 위한 Pd/Pd3Fe 합금 촉매: 범밀도 함수 이론 연구 (Pd/Pd3Fe Alloy Catalyst for Enhancing Hydrogen Production Rate from Formic Acid Decomposition: Density Functional Theory Study)

  • 조진원;한종희;윤성필;남석우;함형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270-27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양자 역학 계산 이론 중 하나인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를 사용하여 $Pd/Pd_3Fe$ 촉매 표면에서 개미산(HCOOH) 분해 반응으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반응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단일 원자 촉매 중에서 개미산 분해 반응에 가장 높은 수소 생산성을 기록하는 원자는 Pd 촉매이지만, 부 반응으로 생산되는 CO가 Pd에 독성을 띄우기 때문에 Pd 촉매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Pd를 기반으로 Pd와 Fe를 3:1로 합금하여 $Pd_3Fe$가 코어(core) 형태로 존재하고 Pd가 표면에 위치한 core-shell $Pd/Pd_3Fe$ 촉매를 설계하여 개미산 분해 반응에 의한 수소 생산 속도를 계산하였다. 순수 Pd촉매 보다 $Pd/Pd_3Fe$ 촉매의 수소 생산 반응의 활성 에너지가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Pd와 Fe가 합금화 되면서 $Pd_3Fe$의 격자 상수가 $2.76{\AA}$로 줄어 들어 HCOO의 흡착에너지를 0.03 eV 감소시켰고, Fe에서 표면 Pd로 전자가 이동하면서 표면 전자 구조가 변화하여 HCOO의 흡착에너지를 0.29 eV 낮추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개미산으로부터 수소 생산이 더 용이한 새로운 촉매 설계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Alcohol Oxidase와 Alcohol Dehydrogenase를 이용한 기상에서의 Ethanol의 산화반응 (Oxidation of Ethanol in the Gas Phase with Alcohol Oxid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 박현규;장호남김동옥
    • KSBB Journal
    • /
    • 제9권3호
    • /
    • pp.239-245
    • /
    • 1994
  • Alcohol oxidase와 alcohol dehydrogenase를 DEAE-Cellulose와 ePG에 고정화시켜 에탄올을 산 화시키는 반응을 기상에서 수행하였다. 이 기상반응 의 반응활성은 반응온도와 효소의 hydration 정도에 큰 영향을 받았다. 온도에 의한 효소활성의 변화는 액상에셔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즉 기상 반응에서도 $35^{\circ}C$에서 $40^{\circ}C$ 사이에서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였다. 효소의 hydration 정도는 효소의 활성 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인자였는데 water activity가 0.8 정도까지는 water activIty가 증가함 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상 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쇼소의 얀정 성도 water activity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water actIvity가 0.5 정도까지는 water activity가 증가함에 따라 안정성이 비교적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water activity에서는 효소의 안정성이 water activity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어느 정도 엘정하게 유지되었다. 담체의 흡착성능이 기상반응에 마치는 영향을 알아보가 위하여 셔로 흡 착성능이 다른 DEAE-Cellulose와 CPG에 고정화 된 효소를 사용하여 반응을 비교해 본 결과 담체의 흡착성능은 반응에 별 영향을 주지 못했다. Alcoh이 O oxidase의 기상반응 속도상수(Km=0.24mM)는 액상에서의 값(Km=11.22mM)과 order of magni tude가 약 2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기질 인 에탄올의 기 액 평형상태에셔의 각상간의 농도의 order of magnitude 차와 비슷하였다. 같은 산화효 소류이나 조효소를 펠요로 하고 반응속도식이 많이 다른 alcohol dehydrogenase 효소에도, 기상반응 속도상수와 사용기질의 기 액평형 데이타와의 이와 같은 연관성이 성립하였다. 이같은 연관성이 산화환 원효소류가 아닌 다른 효소류에도 적용될지의 여부는 앞으로의 연구로 밝혀야 할 것이다.

  • PDF

노지와 비가림 하우스 재배에 따른 블루베리 'Northland' 품종의 생육및 과실 특성 분석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Northland' Cultivar as Influenced by Open Field and Rain Shelter House Cultivation)

  • 김진국;조정건;김홍림;류명상;김정배;황해성;황용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7-393
    • /
    • 2011
  • 노지 포장과 비가림 하우스 시설내의 지상및지중부 온도와 광합성 유효광량자속 밀도(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 조건이 블루베리 'Northland' 품종의 수체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과실 생장은 비가림 하우스 재배에서 촉진되어 조기수확 및 수확기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상 및 지중부 온도, PPFD가 블루베리 과실의 과립중과 과실크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완숙기 과실에서 노지 포장에서 높았고, 산함량은 비가림 하우스의 과실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온도와 PPFD가 과실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완숙 과실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비가림 하우스의 과실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기능성 성분인 총페놀 함량과 항산화활성도는 과실 발육기간 동안은 노지 재배 과실에서 높았으나, 완숙 과실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양한 양극산화막 처리방법이 임플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OXIDIZED SURFACES OF IMPLANT ON OSSEOINTEGRATION; RESONANCE FREQUENCY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STUDY IN MINI-PIGS)

  • 권경환;민승기;성대혁;최재영;최성림;차수련;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383-393
    • /
    • 2007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odized surface of osseointegration implants by using of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A total of 96 screw-shaped implants were devided into 4 groups. Seventy-two implants were prepared by electrochemical oxidation with 3 different ways; Group 1 (n=24)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Group 2 (n=24)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calcium glycerophosphate and calcium acetate, and Group 3 (n=24) were prepared at galvanostatic mode in 0.25M sulfuric acid and phosphoric acid followed by Calcium metaphosphate(CMP) coating. Control group (n=24) were the RBM surfaced implants. Th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les of 12 mini pigs. Bone tissue responses were evaluat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RFA)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that were undertaken at 2, 4 and 6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following result were obtained. 1. Twenty-two of 96 implants (4 in control group, 5 in group 1, 7 in group 2, and 6 in group 3) were failed due to faliure of osseoitegration. The failure rate of osseointegration was 22.9%. 2. The mean values of RFA in control, group 2 and groups 3 showed the similar valu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3. Histomorphometric evalua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bone-to-implant contact ratio in group 2 at 3 and 4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han other group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t 6weeks after implant pla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