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carbazepin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소아 경련 환자에서 carbamazepine과 oxcarbazepine 치료 시 환자 연령과 약물 용량과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The age and dose-related hyponatremia during carbamazepine and oxcarbazepine therapy in epileptic children)

  • 이규하;송준혁;차성호;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09-414
    • /
    • 2008
  • 목 적 : Carbamazepine은 전신 긴장간대 발작과 부분발작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나 부작용으로 항이뇨 작용과 저 나트륨 혈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oxcarbazepine도 carbamazepine의 케톤 유도체로서 저 나트륨 혈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carbamazepine과 oxcarbazepine을 복용한 환자의 연령, 혈중 carbamazepine 농도, oxcarbazepine의 복용량과 저 나트륨 혈증과의 관계, 저 나트륨 혈증 증상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경희대학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서 carbamazepine을 단독 투여한 환자와 oxcarbazepine 단독 투여한 환자와 carbamazepine 또는 oxcarbazepine과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한 환자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arbamazepine을 단독 투여한 군( I군, 67명), oxcarbazepine 단독 투여한 군( II군, 75명), carbamazepine 또는 oxcarbazepine과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 투여한 군( III군, 55명)으로 구분하여서 연령과 항경련제 투여 후의 혈중 나트륨 농도를 비교하고 I군에서는 carbamazepine의 혈중 농도와 혈중 나트륨 농도를, II군에서는 oxcarbazepine의 투여 용량과 혈중 나트륨 농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각 그룹의 저 나트륨 혈증의 의한 증상(두통, 구토, 피로감, 경련, 불안, 섬망, 정신 착란)을 기록하였다. 결 과 : 전체 조사 대상의 항경련제 투여 후 저 나트륨 혈증은 41명(20.8%)에서 발견되었고 각각 I군은 12명(17.9%), II군은 17명(22.6%), III군은 12명(21.8%)에서 저 나트륨 혈증이 나타났다. II군과 III군은 항경련제 투여 전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혈중 나트륨 농도 변화와 환자의 연령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중 carbamazepine 농도 증가와 혈중 나트륨 농도의 변화, oxcarbazepine의 하루 투여량 증가에 따른 혈중 나트륨 농도의 변화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혈중 농도 135 mEq/L 미만의 저 나트륨 혈증을 보인 41명의 환자 중에서 저 나트륨 혈증 증상을 보인 환자는 7명(17.1%) 였고 혈중 나트륨 농도가 120 mEq/ L 이상 125 mEq/L 이하 인 환자는 5명으로 오심과 구토, 피로감, 두통을 호소하였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120 mEq/L 미만의 2명의 환자들은 반복되는 경련, 의식 혼란, 불안감, 망상 증세를 보였다. 결 론 : Carbamazepine의 단독 투여 시 보다 oxcarbazepine이나 다른 항경련제와 병용 투여 시 저 나트륨 혈증의 발생율이 높았다. 연령과 carbamazepine과 oxcarbazepine 투여 후 혈중 나트륨 농도 사이에는 별 상관 관계가 없는 반면 carbamazepine의 혈중 농도 증가와 oxcarbazepine의 투여량 증가 시 혈중 나트륨 농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125 mEq/L 미만인 환자에서 심한 임상 증상을 보였다.

Evaluation of hematologic profile may be needed for patients treated with oxcarbazepine

  • Jung, Gu Hyun;You, Su J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2권8호
    • /
    • pp.312-316
    • /
    • 2019
  • Purpose: The major side effects of treatment with oxcarbazepine (OXC) are skin rash and hyponatremia. Hematologic side effects are reported rare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te and types of the hematologic side effects of OXC.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84 patients diagnosed with epilepsy or movement disorder and on OXC monotherapy,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from July 2001 to July 201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Of the 184 patients, 10 (5.4%) developed leukopenia in addition to pancytopenia and 2 (1.0%) developed pancytopenia. Leukopenia developed in 11 days to 14 years after OXC administration and was more frequent in males than in females (male vs. female, 9 vs. 1; Fisher exact test, P<0.05). Of the eight patients with leukopenia alone, 7 continued OXC treatment; 6 improved without intervention; 1 was lost to follow-up; and 1 received a reduced OXC dose, who improved after intervention. Pancytopenia developed within 2 months of initiation of OXC treatment. Both patients initially continued OXC. One improved within 1 month and continued treatment with OXC, but the other showed progression of the side effect, leading to the discontinuation of OXC and subsequent improvement within 1 mon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s of the patients, OXC dose, and duration of OXC treatment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these side effects of OXC (P>0.05, t-test). Conclusion: OXC-induced leukopenia is not rare and may result in pancytopenia. Patients being treated with OXC should be regularly monitored for abnormal complete blood count profiles.

단일 요법 항경련제가 소아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convulsant Monotherapy on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 신찬옥;이나영;한지윤;유일한;엄태훈;빈중현;김영훈;정승연;이인구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9-271
    • /
    • 2018
  • 목적: 항경련제 사용은 골밀도 감소와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소아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단일 요법으로 치료하는 뇌전증 환자에서 항경련제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부천성모병원에서 뇌전증 치료를 하는 소아 환자 60명에 대해 후향적으로 살펴 보았다. Dual photo absorptiometry로 골밀도를 6개월마다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60명 중 Oxcarbazepine, Valproate, Levetiracetam으로 치료한 환자는 각각 31, 16, 13명이었다. Oxcarbazepine 치료 환자 31명 중 8명(25.8%, P=0.10), Valproate 치료 환자 16명 중 9명(56.3%, P=0.04), Levetiracetam 치료 환자 13명 중 4명(30.8%, P=0.50)에서 골밀도 감소가 관찰되었다. 결론: Valproate 투여 환자들에서 다른 항경련제 치료 환자보다 골밀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항경련제 치료를 하는 소아 뇌전증 환자의 골밀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reparation of Interface-Assembled Carbonyl Reductase and Its Application in the Synthesis of S-Licarbazepine in Toluene/Tris-HCl Buffer Biphasic System

  • Ou, Zhimin;Xu, Jiahui;Du, Lihua;Tang, Lan;Niu, Yangping;Cui, Ji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613-621
    • /
    • 2018
  • In this study, interface-assembled carbonyl reductase (IACR) was prepared and used in the synthesis of S-licarbazepine in a toluene/Tris-HCl biphasic system. The carbonyl reductase (CR) was conjugated with polystyrene to form a surfactant-like structure at the interface of the toluene/Tris-HCl biphasic system. The interface-assembled efficiency of IACR reached 83% when the CR (180 U/mg) and polystyrene concentration were $8{\times}10^2g/ml$ and $3.75{\times}10^3g/ml$, respectively. The conversion reached 95.6% and the enantiometric excess of S-licarbazepine was 98.6% when $3.97{\times}10^6nmol/l$ oxcarbazepine was converted by IACR using 6% ethanol as a co-substrate in toluene/Tris-HCl (12.5:10) at $30^{\circ}C$ and $43{\times}g$ for 6 h. IACR could be reused efficiently five times.

소아 간질 환자에서 oxcarbazepine의 효용성과 안전성 (Efficacy and safety of oxcarbazepine in epileptic children)

  • 신혜경;이윤;이지연;최욱선;은소희;은백린;홍영숙;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62-169
    • /
    • 2008
  • 목 적 : Oxcarbazepine(OXC)은 대표적인 부분간질의 치료제로 2001년 미국 식약청으로 부터 승인을 받았으며 1970년대 말부터 임상 보고가 시작되었고 소아를 대상으로 OXC의 효용성 및 안전성에 대한 다수의 보고가 있다. 국내에는 1999년부터 임상적 적용이 시작되었으나 국내 소아 대상의 연구 보고가 제한적이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6년간 고려대학교 의료원 구로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OXC 투약을 시행하였던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해 효용성과 안전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 OXC 투약 6개월 후 회복군은 77명(53.5%, n=144), 호전군은 48명(33.3%), 유지군은 14명(9.7%), 그리고 악화군은 5명(3.5%)이었고, 치료 12개월 후에는 회복군은 88명(61.1%, n=133), 호전군은 27명(18.8%), 유지군은 8명(5.6%), 그리고 악화군은 8명(5.6%)이었다. 단일요법 군의 회복군은 6개월 치료 후에 63명(66.3%, n=95), 12개월 치료 후에는 86명(90.5%, n=95)였으며 복합요법 군에서 6개월 투약 후에 회복군은 14명(28.6%, n=49), 치료 12개월 후에는 45명(91.8%, n=49)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XC 투약 기간동안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는 73명으로, 그 중 졸림(20.1%), 두통(12.5%), 어지러움(9.7%), 발진(8.3%), 피로함(4.2%) 등이 관찰되었으며 나이, 성별 및 약물 용량과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었다. 혈액 검사상 저나트륨혈증이 관찰된 경우는 총 24명(16.7%)이며 그 외 투약 후 검사 상 이상소견은 유의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투약 이후 빈혈의 빈도가 감소하였는데 혈색소와 체중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OXC 의 효용성은 국외 보고와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위중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다. 소아 간질 환자의 OXC 치료 시 참고가 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삼차신경통 진단 및 치료의 중요 고려사항 (Clinical Considerations of Trigeminal Neuralgia)

  • 전영미;태일호;최종훈;안형준;심우현;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49-453
    • /
    • 2007
  •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하나 이상 분지에서 나타나는 안면 편측 통증 질환으로 짧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다. 삼차 신경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인접 삼차신경이나 삼차신경근 부위를 압박하는 혈관에 의하거나 특발성으로 나타나는 특발성 삼차신경통과 구조적 병소에 의해 나타나는 증후성 삼차신경통으로 분류된다. 증후성 삼차신경통은 수막종, 청신경종, 표피양암종 등이 주된 원인이며, 감각 결함, 운동 결함, 운동실조, 안구진탕 등과 같은 신경계 증상이 동반된다. 삼차 신경통의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와 외과적 치료가 있다. 이 중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은 Carbamazepine이며, 졸음, 현기증, 불안, 오심, 식욕부진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간독성, 골수 기능 억제 등의 위험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 간 및 신장 기능 검사가 필요하다. 이에 삼차신경통의 임상 증례를 통해 증후성 삼차신경통과 특발성 삼차신경통의 예를 들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여러 고려 사항들 중 특히 우리가 소홀히 하거나 간과하기 쉬운 중요 고려사항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Possible Anticancer Activity of Rosuvastatine, Doxazosin, Repaglinide and Oxcarbazepin

  • El Sharkawi, Fathia Zaky;El Shemy, Hany Abdelaziz;Khaled, Hussein Mousta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199-203
    • /
    • 2014
  • Background: Rosuvastatine, doxazosin, repaglinide and oxcarbazepin are therapeutic drugs available in the market for the treatment of different diseases. Potential to display antitumor activities has also been suggested.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ir in vitro effects on some human transformed cell lines. Materials and Methods: Cytotoxicity of the four drugs was tested in MCF-7, HeLa and HepG2 cells by the neutral red assay method and also the effect of rosuvastatine and doxazosin against Ehrlich Ascities Carcinoma Cells (EACC) by trypan blue assay. Results: Rosuvastatine exerted the greatest cytotoxic effect against HepG2 cells with an $IC_{50}$ value of $58.7{\pm}69.3$; in contrast doxazosin showed least activity with $IC_{50}=104.4{\pm}115.7$. Repaglinide inhibited the growth of both HepG2 and HeLa cells with $IC_{50}$ values of $87.6{\pm}117.5$ and $89.3{\pm}119.5$, respectively. Oxcarbazepine showed a potent cytotoxicity against both HeLa ($IC_{50}=19.4{\pm}43.9$) and MCF7 cancer cells (($IC_{50}=22{\pm}35.7$).On the other hand the growth of EACC was completely inhibited by doxazosine (100% inhibition) while rosuvastatine had weak inhibitory activity (11.6%). Conclusions: The four tested drugs may have cytotoxic effects against hepatic, breast and cervical carcinoma cells; also doxazosine may inhibit the growth of endometrial cancer cells. Further investigations in animals are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Beers Criteria 및 STOPP 근거에 의거한 한국 노인 환자의 항콜린성제 약물요법의 적절성 평가 (Drug Use Evaluation of Anticholinergic Drugs Prescribed to Elderly Patients in the Ambulatory Setting Based on Beers and STOPP Criteria)

  • 천영주;임성실
    • 약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328-336
    • /
    • 2014
  • Anticholinergic drugs are included in the efficacy group of various antidepressants, antihistamines, antispasmodics like skeletal muscle relaxants. Elderly patients are often taking anticholinergic drugs due to various diseases such as sleep disorders and dysuria. But the use of anticholinergic drugs is restricted in guidelines such as Beers Criteria or STOPP due to the anticholinergic adverse effects including dry mouth, constipation, difficult urination, delirium, hallucinations and especially cognitive impair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usage of anticholinergic drugs in out-of-hospital prescription of 4,442 elderly patients. Results of the study were obtained that 32% (n=1,421) of overall patients were prescribed with 1~6 products (average 1.37) of anticholinergic drugs. 70.9% of the 1,421 patients (n=1,007) were prescribed with one drug, 22.7% (n=323) were two drugs and 4.9% (n=70) were three drugs. 27.1% of the 1,421 patients (n=430) were 70~74 years old patients who were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with anticholinergic drugs. Amitriptyline, chlorpheniramine, dimenhydrinate and quetiapine were most frequent component of ACB Score 3 drugs and amantadine, baclofen, carbamazepine, cyproheptadine and oxcarbazepine were most frequent of ACB Score 2 drugs. Anticholinergic Drug Scale (ADS) of individual patients presented one point (48.5%, n=689), 2 points (15.4%, n=219), more than 3 points (36.1%, n=513), and up to maximum 12 point (n=1). More than 2 points were more than half (51.5%, n=732). Therefore, additional prospective study in the use and adverse effects of anticholinergic drugs for elderly patients will be required. And national management such as DUR program will be required for elderly drug administration from now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