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flow capacity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7초

오염부하 물질수지 분석을 통한 합류식 하수관거 적정 차집용량 결정(II) - 차집용량과 월류오염부하 삭감목표 설정 - (Determination of Interception Flow by Pollution Load Budget Analysis in Combined Sewer Watershed (II) - Establishment of Intercepting Capacity and Reduction Goal of Overflow Pollution Load -)

  • 이두진;신응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57-56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criteria of intercepting capacity and a reduction goal of overflow pollution load in combined sewer system. In the current criteria of intercepting capacity in the domestic sewage facility standard, it is known that three times of peak sewage (Q) in dry period or runoff flow by 2mm/hr is not appropriate since the intercepted flow is estimated by runoff and show different result even in the same watershed. Though a reduction goal of overflow pollution load can be determined from 1) same level of storm-water runoff pollution load in separated storm sewer, 2) less than 5% sewage load in dry weather period, by the domestic sewage facility standard, the simulated results from storm-water model show large differences between two criteria. While it is predicted that sewage pollution load standard three time larger than separated storm sewer standard in high population density and urbanized area, it is shown that separate storm sewer standard larger than sewage pollution load standard in middle population density and developing area. Accordingly, it is proposed that more reasonable intercepting flow and reduction goal of overflows pollution load should be established to minimize discharging pollution load in combined sewer systems. For the purpose, a resonable standard has to be amended by pollution load bala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watershed for generation, collection, treatment, and discharging flow.

불완전 분류식 하수처리구역의 강우에 의한 하수도시설의 침입수/유입수 영향 분석 (Effect of infiltration/inflow by rainfall for sewerage facilities in the area with partially separate sewer system)

  • 신정섭;한상원;육준수;이춘구;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7-1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werage facilities through I/I analysis by rainfall by selecting areas where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is remained due to the non-maintenance drainage equipment when the sewerage system was reconstructed as a separate sewer system. Research has shown that wet weather flow(WWF) increased from 106.2% to 154.8% compared to dry weather flow(DWF) in intercepting sewers, and that the WWF increased from 122.4% to 257.6% in comparison to DWF in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As a result, owing to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of partially separate sewer system with untreated tributary of sewage treatment plant, rainfall-derived infiltration/inflow(RDII) has been analyzed 2.7 times higher than the areas without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Meanwhile, infiltration quantity of this study area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tudy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infiltration quantity through sewer pipe maintenance nearby river. Drainage equipment maintenance should be performed not to operate storm overflow diverging chamber in order to handle the appropriate sewage treatment plant capacity for rainfall because it is also expected that RDII due to rain will occur after maintenanc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RDII(allowance of rainfall-derived infiltration/inflow) and to be reflected it on sewage treatment plant capacity because aRDII can occur even after maintenance to the complete separate sewer system.

횡월류 위어 유입각 변화에 따른 유량계수 추정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s with Variations of Side Weir Angle)

  • 피완섭;장형준;전계원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1-89
    • /
    • 2023
  •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전 지구적 온난화 및 도시화로 인해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이 늘어나고 있다. 도시화 및 난개발로 인한 불투수 면적의 증가 같은 문제로 홍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행하천 구간에 설치되는 횡월류 위어 유입각의 변화에 따라 3차원 CFD 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흐름 특성과 월류량을 분석하여 횡월류 위어 유입각에 대한 수공구조물의 월류능력 평가 및 유량계수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횡월류 위어 유입각이 작을수록 횡월류부 통과 후 주수로 흐름의 수위가 감소하고 유속이 증가하였으며, 유입각이 증가할수록 수위가 상승하였고, 유속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횡월류 위어 유입각이 40° 이상인 경우 직하류 유속이 상류 유속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ual Leaky Bucket 에 의해 규제되는 트래픽의 오버플로 확률분석과 대역폭 할당방법 (Overflow Probability Analysis and Bandwidth Allocation for Traffic Regulated by Dual Leaky Bucket)

  • 윤영하;이창훈;홍정식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04-410
    • /
    • 1999
  • A scheme of more exact overflow probability analysis is proposed for traffic regulated by dual leaky bucket. To each regulated traffic stream is allocated bandwidth and buffer independent of other traffic stream and overflow occurs when total bandwidth or buffer allocated to each traffic exceed link capacity or physical buffer size. Ratio of buffer and bandwidth allocated to each traffic stream is assumed to be constant, and this ratio is larger than the ratio of physical buffer and bandwidth due to buffer sharing effect.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this sharing effec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verflow probability and effective bandwidth.

  • PDF

측수로형 여수로의 홍수배제능력증대를 위한 월류부 개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nstruction Models of Side-channel Spillway for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 박세훈;문영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9-18
    • /
    • 2007
  • 대부분의 중규모 이하 댐은 홍수에 취약한 필댐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나 시설물의 중요도 및 예산형편 등을 이유로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현실적인 대책으로 여수로 월류부만을 부분 개축할 경우 방류능력을 어느 정도 증대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월류부 개축모형은 래버린스 웨어(labyrinth weir)와 가동 웨어를 선정하였고, 소규모 댐을 임의 선정하여 수리모형실험과 Flow-3D를 이용한 3차원수치해석을 통해 월류수심별 방류량을 산정하였다. 개축모형별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별 확률홍수량과 가능최대홍수량(PMF)을 산정하였고, 저수지홍수추적을 실시하여 개축 전 후의 최고수위를 비교하였다.

A Study on times to the First Overflow in M/G/1/K/N Queueing Systems

  • Lee, Kyu-Noh;Kim, Hong-Gie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6권3호
    • /
    • pp.871-880
    • /
    • 1999
  • The main purpose of queueing theory is to find the optimal solution for maintaining systems such as service facilities. Analyzing the overfolw process provides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solution in queueing systems with finite capacity. In this thesis we approximate the expected time until the first overflow in M/G/1/K/N queueing systems. Results will be applied to approximate the expected time until the first reduction of source population syste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pproximation is applicable to real situations.

  • PDF

강변저류지 월류부에서 월류제 또는 수문 형식에 따른 홍수저감효과에 관한 개략적 연구 (An approximate study on flood reduction effect depending upon weir or gate type of lateral overflow structure of washland)

  • 안태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73-583
    • /
    • 2013
  • 기후변화에 의한 홍수 특성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규모 댐 건설의 추진이 환경성, 경제성 등과 같은 문제로 난해해 짐에 따라 강변저류지 또는 유수지 시설이 유역내 홍수 분담 측면에서 포함되기 시작하였다. 강변저류지는 주하도에 인접되고 제방으로 둘러쌓인 공간으로 홍수기에 월류구조물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범람시키는 지역이다. 강변저류지 직하류에서의 홍수저감효과는 설계홍수수문곡선의 형상,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 등에 추가하여 월류부 구조물의 형식, 길이 및 월류턱 표고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표본지구인 청미천에서 주어진 수문곡선에 관하여 월류제 형식과 수문 형식에 따른 홍수저감효과를 비교코자 하였다. 월류부에서 수문형식이 월류제 형식보다 홍수저감효과가 더 크지만 수문형식에 의한 홍수저감율은 공학적 견지에서 보면 의미있는 수치가 아니기 때문에 수문형식을 선정할 때는 초기사업비, 운영 관리 비용 등을 신중히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한 체 기반의 개선된 가역 비밀이미지 공유 기법 (An Improved Reversible Secret Image Sharing Scheme based on GF(28))

  • 김동현;김정준;유기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59-370
    • /
    • 2013
  • 2010년, Lin과 Chan은 가역 비밀이미지 공유(reversible secret image sharing) 기법을 최초로 제안했다. 이 기법의 장점은 쉐도우 이미지(shadow images)의 왜곡 비율(distortion ratio)이 작고, 비밀이미지의 삽입량(embedding capacity)이 기존의 기법들에 비해 높으며, 가역(reversible)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들의 기법은 몇 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나머지 연산(modular operation)에 사용하는 소수 m에 의하여 전체 참가자들의 수가 제한된다. 둘째, 비밀 공유 과정 내 양자화 값(quantized value)과 다항식의 결과 값의 덧셈 연산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다항식 최고차항의 계수가 0이 되어 t-1명의 참가자로도 비밀데이터 접근이 가능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Lin과 Chan이 제안한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쉐도우 이미지의 왜곡 비율이 작고 비밀 이미지의 삽입량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GF($2^8$)상에서의 다항식 연산을 통해 전체 참가자 수의 제한과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하고, 다항식 최고차항의 계수 중 MSB 4-비트를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계수가 0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실험결과에서는 Lin과 Chan의 기법에서 PSNR과 삽입량이 서로 반비례하지만 제안한 기법의 경우 삽입량이 증가하더라도 PSNR은 45dB 이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차분 영상 히스토그램 수정 기반의 가역 데이터 은닉 기법 (Reversible Data Hiding Based on the Histogram Modification of Difference Image)

  • 유향미;이상광;서재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2호
    • /
    • pp.32-40
    • /
    • 2011
  • 가역 데이터 은닉 기법은 영상에 데이터를 삽입 후, 영상에서 삽입된 데이터를 추출한 후에 원본 영상의 복원이 완벽하게 가능한 기법을 말하며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이러한 복원 가능한 데이터 은닉 기법 중 기존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기법들은 히스토그램 수정 때문에 언더플로우와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킴으로써 데이터가 숨겨진 영상의 화질이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언더플로우와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로케이션 맵정보를 영상에 추가로 삽입하여 해결하는 새로운 가역 데이터 은닉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삽입되는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멀티 레벨 데이터 은닉 기법을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PSNR, 데이터 삽입량, 추가적인 데이터의 크기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조위의 영향을 고려한 도심지 배수유역에서의 범람모의 (Inundation simulation in a urban drainage basin considering tidal stage effect)

  • 김대근;최경순;고영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1-717
    • /
    • 2009
  • In this study, SWMM model is used to reproduce the main storm sewer system located in the Nae-Hang drainage basin of the Mokpo city and keep track of flood discharge. Given the outlet of the reaches border the coastline, this paper has taken the dual-drainage approach to perform inundation simulation, considering both the overflows and inflows at the manholes of the sewer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 impacts of tidal stage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in this study: First, when planning lowland sewer system alongside the coastline or the riverside, the tidal stage or flood stage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es. Second, an analysis that fails to consider overflow and inundation at the manholes may overestimate inundation depth of the flooded area. In other words, in order to estimate flood discharge and flood stage in a lowland storm sewer system,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conveyance capacity of storm sewer system and simulate overflow and inundation at the manholes at the sam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