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 90 years

검색결과 681건 처리시간 0.025초

경사도에 따른 CN보정에 의한 L-THIA 직접유출 모의 영향 평가 (The Effect of Slope-based Curve Number Adjustment on Direct Runoff Estimation by L-THIA)

  • 김종건;임경재;박윤식;허성구;박준호;안재훈;김기성;최중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97-905
    • /
    • 2007
  • Approximately 70% of Korea is composed of forest areas. Especially 48% of agricultural field is practiced at highland areas over 400 m in elevation in Kangwon province. Over 90% of highland agricultural farming is located at Kangwon province. Runoff characteristics at the mountainous area such as Kangwon province are largely affected by steep slopes, thus runoff estimation considering field slopes needs to be utilized for accurate estimation of direct runoff. Although many methods for runoff estimation are available, the Soil Conservation Service (SCS), now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Service (NRCS), Curve Number (CN)-based method is used in this study. The CN values were obtained from many plot-years dataset obtained from mid-west areas of the United States, where most of the areas have less than 5% in slopes. Thus, the CN method is not suitable for accurate runoff estimation where significant areas are over 5% in slopes. Therefore, the CN values were adjusted based on the average slopes (25.8% at Doam-dam watershed) depending on the 5-day Antecedent Moisture Condition (AMC). In this study, the CN-based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L-THIA) direct runoff estimation model used and the Web-based Hydrograph Analysis Tool (WHAT) was used for direct runoff separation from the stream flow data. The $R^2$ value was 0.65 and the Nash-Sutcliffe coefficient value was 0.60 when no slope adjustment was made in CN method. However, the $R^2$ value was 0.69 and the Nash-Sutcliffe value was 0.69 with slope adjustment. As shown in this stud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e slope adjustment in the CN direct runoff estimation should be made for accurate direct runoff prediction using the CN-based L-THIA model when applied to steep mountainous areas.

한국의 고농도 PM10 연무 사례일 발생에 대한 대기 블로킹의 영향과 장거리 수송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Impacts of the Northeast Pacific Atmospheric Blocking and Contribution of Regional Transport to High-PM10 Haze Days in Korea)

  • 정재은;조재희;김학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7-90
    • /
    • 2022
  • 최근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위적 배출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봄철에 한국에서는 잦은 연무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북동 태평양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기 블로킹은 지구 규모 대기 변동과 동아시아 지역의 서풍 기류를 정체시키기도 한다. 2019년 3월 동아시아 지역의 온난하고 정체적인 종관 기상 특성이 알래스카 대기 블로킹이 발생한 6-7일 후에 일어나고 있었다. 특히, 2019년 3월 18-24일에 발생한 알래스카 대기 블로킹은 3월 25-28일 동안 한국에서 일평균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10) 질량농도가 50 ㎍ m-3을 넘는 고농도 PM10 연무 사례가 발생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WRF-Chem 모델을 활용하여 한국의 고농도 PM10 연무 사례에 대한 인위적 배출의 장거리 수송 기여도는 30-40%를 나타내고 있었다. PM10 에어로졸 구성 성분인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 블랙 카본, 유기 탄소, 기타 무기물의 장거리 수송 기여도는 각각 10-15, 20-25, 5-10, 5-10, 5-10, 15-20%를 나타내었다. 질소 산화물이 온난하고 정체적인 대기에서 암모늄과의 광화학 반응으로 형성된 질산암모늄은 한국의 고농도 PM10 연무 사례에 대한 장거리 수송 기여도가 PM10 에어로졸 중 가장 큰 비중을 나타내고 있었다.

울산 지역에서 대기중 벤젠으로 인한 암 사망 손실비용 추정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for Cancer Damage Cost Due to Risk from Benzene in Ulsan Metropolitan City)

  • 이용진;김예신;신동천;신영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1호
    • /
    • pp.49-82
    • /
    • 2004
  • 울산 지역에서 대기중 벤젠으로 인한 발암 인체영향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위해서, 건강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대상 지역의 이론적 암 사망자수를 추정하고, 대상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가상 가치평가법을 통한 위해도 감소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여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을 유도하여 이론적 암 사망자수에 대한 사망 손실비용을 유도하였다. 대상 지역의 대기중 벤젠의 평균 농도는 $7.88{\mu}g/m^3$(min: 1.16~max: $23.32 {\mu}g/m^3$)로 조사되었다. US EPA IRIS의 벤젠 단위 위해도 $2.2{\times}10^{-6}{\sim}7.8{\times}10^{-6}$을 사용하고, 30세 이상의 노출인구수 51만 6,641명에 대한 연간 인구 집단 위해도를 추정한 결과 10년간 발생 가능한 발암 사망자수는 2.90명(5 percentile: 0.32명~95 percentile: 9.11명)으로 조사되었다.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을 추정하기 위하여, 공단 지역의 지불의사금액 모형을 추정한 결과, 응답자의 암 치료경험 유 무와 기대 여명, 가족수, 교육수준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조사되었고, 연간 1만 명당 5명의 위해도 감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월 1만 4,852원(95% C.I: 1만 3,135원~1만 6,794)으로 산출되었으며, 위해도 감소치를 고려한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은 약 3억 6,000만 원(95% C.I: 3억 2,000만 원~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대기중 벤젠의 발암 영향으로 인한 건강 손실비용은 발암 위해성 평가로 추정된 이론적 사망자수에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을 곱하여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현 수준의 벤젠의 발암 영향이 10년간 지속될 경우 약 10억 원(5 percentile: 1억 원~95 percentile: 33억 원)의 건강 손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대기중 벤젠의 노출로 인한 위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벤젠 단독물질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10년간 약 10억 원에 대응하는 감소 대책에 투자하여야 한다. 그러나 벤젠 한 물질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은 현실적이지 못하므로, 이 연구를 모델로 하여 차후 벤젠을 포함한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통합 적용이 필요하고 손실비용을 재추정해야 할 것이다.

  • PDF

초기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Nascent Entrepreneurs Motivation and Preparation on the Business Continuity: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tart-up Satisfaction)

  • 한향원;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77-98
    • /
    • 2020
  • 공공금융기관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신용보증기금과 산업은행에서 정책금융 등의 많은 창업지원 자금을 통해 약 35조원을 지원하였으며 최근 3년간(2015년~2018년) 창업기업에 약 100조원 이상을 지원하였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국가 조성을 위해 2020년도 부처별 창업지원사업을 조사한 결과, 16개 부처(90개 사업)에서 모두 1조 4,517억원이 지원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원예산 중 스타트업 지원 비중은 85%에 달한 반면 스케일업(성장·성숙기)지원은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내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업 후 3년간 생존율은 39.1%로 10곳 중 4곳 정도만 살아남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5년간 살아남을 확률은 27.5% 10곳 중 3곳 정도만 살아남는다. 반면 해외 창업기업들은 5년간 창업기업 생존율은 우리나라의 2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기창업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창업만족도의 매개역할에 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전국 초기창업자들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1일부터 5월15일까지 하였고 총 245부 중 22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설문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창업동기를 구성하는 모든 요인이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채택되었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준비의 하위 요인 중 아이템준비가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부 채택되었다. 둘째, 초기창업자의 창업만족도가 사업계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채택되었다. 셋째, 창업동기의 자아실현 동기가 사업계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부 채택되었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준비의 아이템 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일부 채택되었다. 넷째, 초기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사업계속의도간에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남으로써 채택되었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준비와 사업계속의도간에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남으로써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초기창업자들의 창업만족도를 높이고 계속 가능한 창업수행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부(一部) 대도시(大都市) 지역(地域) 치과기공사(齒科機工士)의 직업(職業) 및 직업장(職業場) 만족도(滿足度)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A Study of Satisfaction About Dental technician's Post and Laboratory in Great Cities)

  • 이태정;이명곤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1-51
    • /
    • 1985
  • This study has been to survey the present situation of satisfaction to the occupation and dental laboratory by means of selscting 200 dental technicians who are woked in Pusan, Deagu, Kwangju, Deajun.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the summe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dental technician's satisfaction of the occpation was revealed as moderate(Mn, 2.83), the dental technician's satisfaction of the laboratory was revealas moderate(Mn, 2.80).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occpation was the outlook(Mn, 3.23), and the lowest degree item was the advancement and the rise to a high position(Mn, 2.22).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dental material(Mn, 3.07), and the lowest degree item was the equipment of dust collection(Mn, 2.49) 2. By age,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occpation was 30 to 43 group(Mn, 3.28), 50 and over group was the lowest degree item(Mn, 2.89).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40 to 50 group(Mn, 3.10), the lowest degree item was 35 to 39 group(Mn, 2.88). 3. By school career, the satisfaction of occpation and dental laboratory were higher in the graduated college group than the graduated highschool group. 4. By personal health state, the highest degree item of the satisfaction of occpation was the health group(Mn, 3.25). The highest degree item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the unhealthy group(Mn, 3.07). 5. By religion, the satisfaction if iccupation of laboratory ws higher in the religious group than the non-religious group. 6. By job career, the highest degree item of occupation satisfaction was 15 to 20 years group(Mn, 3.27), the lowest degree item was 20 and over group(Mn, 3.02).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15 to 20 years group(Mn, 3.05), The lowest degree item was 7 to 10 years group (Mn, 2.90). 7. By job position,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satisfaction of occupation was the chief of laboratory group(Mn, 3.33), the head of laboratory group was the lowest degree item(Mn, 3.07). The hight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the head of laboratory group(Mn, 3.10), the lowest degree item was the chief of laboratory group(Mn, 2.88). 8. By the place of employment, the degree of occpational satisfaction by items was found that the highest degree in the group engagel in general hospital(Mm, 3.43), the group engaged in dental clinic and hospital(Mn. 3.24), and the dental laboratory group(Mn. 3.14) in order.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 was significant emough(P<0.05).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dental laboratory group(Mn. 2.70).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 was significant emough(P<0.01). 9. By monthly salary,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occupation was ₩500,000 to 600,000 group(Mn. 3.32), the lowest degree item was ₩600,000 and over group(Mn, 3.07).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laboratory satisfaction was ₩100,000 to 200,000 group(Mn, 3.03), the lowest degree group was ₩300,000 to 400,000 group(Mn, 2.95). 10. As compared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was much satisfied group(Mn, 3.65), the lowest degree item was non-satisfied group(Mn, 2.68).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 was significant enough(P<0.05). The highest degree item out of the satisfaction of laboratory was non-satisfied group(Mn, 30.9), the lowest degree item was satisfied group(Mn, 2.84).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 was significant enough(P<0.01).

  • PDF

신장(身長) 및 체중(體重)의 실측치(實測値)와 상용치간(常用値間)의 오차(誤差)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因子) (Study of Factors Affecting to Discrepancy between Self-Reported and Body Weight and Height)

  • 한구웅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6권1호
    • /
    • pp.59-65
    • /
    • 1983
  • 구미공단내의 체용신체검사자 및 근로자 정기건강진단시 남자 1,060명과 여자 818명을 대상으로 피검자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신장 및 체중과 실측체중 및 실측신장과의 오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연령, 실측신장, 실측체중, 비체중, 교육수준, 취업상태 및 혼인상태로 구분하여 cross-tubulation, 회귀분석에 의한 상관계수 및 분산분석에 의한 검정을 하여 분석하였다. 신장은 남녀 공히 실측치보다 크게 표현하였으며 체중은 실측치보다 남자는 높게 여자는 낮게 표현하였지만 그 오차는 평균 1% 미만으로 적었다. 연령에 있어서 체중은 남자가 $20{\sim}29$세군과 여자 40세 이상군에서 가장 정확한 체중을 표현하였으며, 남자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실측치보다 무겁게, 여자는 연령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가볍게 표현하였다. 실측체중이 남자는 $60{\sim}64kg$군에서, 여자는 49kg이하군에서 정확하며 남여 공히 체중이 무거울수록 실체중보다 가볍게 표현하였으며 남자는 75kg 이상군에서 4.25% 적게, 여자는 65kg 이상군에서 4.06% 적게 나타났다. 비체중이 $100{\pm}10%$군인 경우 남녀가 가장 정확한 체중을 알고 있으며 비만에 가까울수록 실체중보다 적게 표현하였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정확한 체중을 표현하나 국졸군에서 가장 정확함을 보인 것은 좀더 정신보건면에서의 연구 관찰이 요망된다. 신장에 있어서 가장 정확한 군은 최상위 실측신장군에서 남녀 공히 나타났으며 신장이 적어질수록 실신장보다 점차 크게 표현하였다. 여성 체중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는 비체중, 실측체중, 연령, 교육수준 및 취업상태이며 여자 신장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유의한 변수는 실측신장, 실측체중 및 교육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여자는 신장보다 체중에 관심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최근(最近)의 비료소비면(肥料消費面)에서 본 비료수요전망(肥料需要展望) (Prospects of Fertilizer Demand based on Recent Consumption)

  • 박영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9-163
    • /
    • 1976
  • 우리나라는 경지당인구(耕地當人口)가 많기 때문에 급증(急增)하는 인구(人口)와 이것에 대처(對處)하는 식량문제(食糧問題)는 지식인(知識人)의 최대관심사(最大關心事)이며, 오늘날 우리는 수량(收量)이 높은 신품종(新品種)으로 녹색혁명(綠色革命)을 굳게 다짐하고 있으나 다수확(多收穫) 품종(品種)의 이점(利點)은 시비량(施肥量)의 증가(增加)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녹색혁명(綠色革命)을 이룩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많은 비료(肥料)가 필요(必要)하다. 비료(肥料)의 소비량(消費量)은 주(主)로 농업기술(農業技術)의 발달, 비료(肥料)의 가격(價格), 식량증산(食糧增産)을 위한 정부(政府)의 시책(施策) 등(等)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으나, 비료(肥料)의 수요량(需要量)은 농민(農民)에 의하여 쓰여지는 비료량(肥料量)이 아니라 농작물(農作物)의 생산(生産)을 위하여 실제(實際) 필요(必要)한 최적(最適)의 비료량(肥料量)이다. 그러므로 동란(動亂)이나 자원고갈(資源枯渴)과 같은 특별(特別)한 변동(變動)이 없는 한 우리나라의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은 2000년대(年代)에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의 한계(限界)에 도달(到達)하리라고 생각(生覺)된다. 여기서 두가지의 방만법(方万法)으로 장래(將來)의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을 추정하였다. I. 과거(過去) 10년간(年間)(1966~75)와 비료소비추세(肥料消費趨勢)에 근거(根據)한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 : 과거(過去) 10년간(年間) 우리나라의 비료소비추세(肥料消費趨勢)는 년평균(年平均) 8.7%였으며 (표(表) 1) 최근(最近) 수년간(數年間)의 삼요소소비비율(三要素消費比率)은 균형시비(均衡施肥)에 가까와지고 있고, 경지당(耕地當) 시비량(施肥量)도 다른나라보다 많으므로(표(表) 5) 앞으로의 비료소비추세(肥料消費趨勢) 약간 둔화(鈍化)될 것으로 추산(推算)되며, 년도별(年度別) 증가율(增加率)이 1980년(年)까지는 7%, 그후(後) 1990년까지는 2.5%, 그후(後) 2000년(年)까지는 1.5%씩 각각(各各) 증가(增加)되어 비료(肥料)의 총수요량(總需要量)은 1980년(年)에 1,208,000M/T, 1990년(年)에 1,547,000M/T, 2000년(年)에 1,795,000M/T으로 추정(推定)된다(표(表) 16). II. 작물별(作物別)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에 근거(根據)한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 과거(過去) 12년간(年間)(1965~76)의 주요작물별(主要作物別)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의 추이(推移)는 작물(作物)에 따라 0.94배(培)에서부터 5.49배(培)까지 증가(增加)하였으며(표(表) 7), 1976년도(年度)의 작물별(作物別)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표(表) 11)은 표준시비추천량(標準施肥推薦量)(표(表) 8)보다 낮다. 따라서 농작물(農作物)의 생산성(生産性)을 높이기 위하여 장래(將來)의 비료시용량(肥料施用量)은 증가(增加)되어야하며 비료(肥料)의 총수요량(總需要量)은 1980년(年)에 1,229,000M/T 1990년(年)에 1,489,000M/T 2000년(年)에 1,895,000M/T으로 되리라고 추정(推定)된다.(표(表) 16).

  • PDF

한국 서해산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번식생태 및 기생충에 관한 연구 1.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and Parasite of th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Gmelin), on the West Coast of Korea 1 Reproductive Ecology)

  • 김용호;정의용;김영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35-41
    • /
    • 2000
  • 1999년 4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서해 금강 하구인 내 초도에 서식하고 있는 가무락조개를 대상으로 자원증식 및 적정 관리를 위해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지수, 생식 소발단단계에 따른 생식주기, 군성숙도를 조사하였다. 가무락조개는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다. 가무락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2-4월), 후기활성기(3-6월), 완숙기(4-8월), 부분산란기(7-10월초), 퇴화 및 비활성기(9-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가무락조개의 산란기는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수온이 24$^{\circ}C$이상인 7월부터 산란하기 시작하여 9월 중순까지로 산란성기는 7, 8월이었다. 고창산 가무락조개의 군성숙도는 각장 26.0-30.0 mm 사이에서 암, 수 공히 50% 이상이 재생산에 가담하였고, 각장 41.0 mm 이상에서는 100%가 산란에 참여하고 있다. 전 개체의 50%가 재생산에 가담하기 시작하는 개체들의 연령은 만 2세로 추정된다.

  • PDF

소아에서 둔부 근육주사 후 발생한 국소 합병증 (Local Complications after Intramuscular Buttock Injections in Children)

  • 박두현;이남혁;김상윤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4권2호
    • /
    • pp.137-143
    • /
    • 1998
  • Intramuscular injection(IM) into the gluteal muscles is a common route of medication, but may lead to complications. A retrospective review of 32 patients who required surgical treatment for local complications of buttock injections in children was made at the Taegu Fatima Hospital during a seven-year nine-month period (March 1990 to December 1997). Local complications included acute inflammation, cellulitis and abscess(71.9 %), and fat necrosis(21.9 %), and injection granuloma(6.2 %). Over the half of injections were on the upper and outer quadrant of the buttock, but the other 43.7 % were in the upper and inner or lower and outer quadrant which are considered unsuitable sites for intramuscular injection. The majority of complications developed within fat tissue(90.6 %) rather than within muscle(9.4 %). Two-thirds of the patients were under 2 years of age, this suggests that it is technically difficult to accurately administer IM injections in small children because muscle mass is smaller compared to subcutaneous. In addition subcutaneous fat is more susceptible to chemical irritation. Staph. aureus was the predominant organism, isolated in 84.6 % of the patients with abscesses. Treatment consisted of needle aspiration, incision and drainage, curettage, or surgical excision. In conclusion, the major factor that contributes to complications following IM of the buttock appears to be the inadvertent intrafat rather than of IM injection. Accurate injection into the muscles based on a knowledge of pelvic anatomy as well as the potential complications is necessary to prevent complications.

  • PDF

Use of Ergonomic Measures Related to Musculoskeletal Complaints among Construction Workers: A 2-year Follow-up Study

  • Boschman, Julitta S.;Frings-Dresen, Monique H.W.;van der Molen, Henk F.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2호
    • /
    • pp.90-96
    • /
    • 2015
  • Background: The physical work demands of construction work can be reduced using ergonomic meas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among construction worker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sent at baseline and 2 years later to 1,130 construction workers. We established (1) the proportion of workers reporting an increase in their use of ergonomic measures, (2) the proportion of workers reporting a decrease in MSDs, (3) the relative risk for an increase in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 and a decrease in MSDs, and (4) workers' knowledge and opinions about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 Results: At follow-up, response rate was 63% (713/1,130). The proportion of workers using ergonomic measures for vertical transport increased (34%, 144/419, p < 0.01); for measures regarding horizontal transport and the positioning of materials, no change was reported. The proportion of workers reporting shoulder complaints decreased (28%, 176/638, p = 0.02). A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 and MSDs was not found; 83% (581/704) of the workers indicated having sufficient knowledge about ergonomic measures. Lightening the physical load was reported to be the main reason for using them. Conclusion: Only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 for vertical transport increased over a 2-year period. No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 and MSDs was found. Strategies aimed at improving the availability of ergonomic equipment complemented with individualized advice and training in using them might be the required next steps to increase the use of ergonomic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