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fal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지오텍스타일 컨테인먼트를 활용한 발전소 방파수로 설계인자 분석 (Analysis of Design Parameters for Power Plant Breakwater Channels Using Geotextile Containment)

  • 김성환;오영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7
    • /
    • 2008
  • 본 연구에서 검토한 지오텍스타일 컨테이너와 튜브를 활용한 수로구조물은 UAE에서 수행한 프로젝트로 수심이 4.0m 이하인 경우 지오텍스타일 컨테이너를 저개식 바지로부터 해저바닥에 착지시키는 방법으로 시공하고 그 윗부분은 지오텍스타일 튜브로 시공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오텍스타일 컨테이너와 튜브를 활용하여 해상의 발전소 방파제 수로구조물 축조 시 고려된 구조물의 개별 및 다단구조물의 안정성, 지오텍스타일 재질 선택에 관련한 설계인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파제 구조물이 위치한 현장이 발전소의 용수의 유입과 유출이 발생하는 구역으로 발전소 유출입수의 온도가 방파제 구조물 내부의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하수처리장 방류관거로의 해수유입 방지를 위한 수리분석 - 인천 학익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 (A Hydrodynamic Analysis for Prevention of Seawater Influx into an Outfall Riser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 신광섭;정상만;이주헌;오국열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759-762
    • /
    • 2008
  • 연안지역에 위치하는 하수처리장은 배제된 우수와 처리수를 해양에 방류하는 것을 고려한다. 현재 인천 학익하수처리장은 해안에 인접한 수면에 처리수를 직접 방류하는 표층방류 방법으로 설계되었다. 이러한 표층방류 방법은 조차(Tidal Range)가 큰 해안에서 방류수위가 조위(Tidal Level)보다 낮을 경우 방류관거로 해수가 유입하여 하수처리장내에서의 수리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 방류관거로의 해수유입 방지를 위하여 방류맨홀에 Weir를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Weir의 설치에 따른 수리계산을 수행함으로써 그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수리계산 결과 방류맨홀에서 해수의 유입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천 연안의 기왕 고극조위 발생시에도 처리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해양수리특성의 변화를 고려한 연속적 근역혼합거동 (Continuous Near-field Mixing with Variable Oceanic Conditions)

  • 강시환;김영도;이호진;김상익;한성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2-2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부력제트 혼합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특성을 구하는 방법을 국내의 대표적인 하수방류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견과와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연구방법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마산만 수중확산관에 대한 63일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선형플륨 방정식을 1500회 이상 적용하여 초기희석률, 근역구간 크기, 플륨상승고에 대한 빈도분포를 구한 결과, 초기희석률은 30~71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값은 34로 나타났으며, 이는 염분부족도를 이용한 현장희석률 관측견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관역구간 길이는 5.4~36.2 m의 범위와 평균값 9.5 m, 플륨상승고는 8.1~10.2 m의 변위와 평균값 8.9 m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해당기간 중의 전체의 30~44 % 기간만이 각각의 근역특성들이 평균값 이상을 나타내므로, 해양방류시스템을 설계 및 해석함에 있어서 통계적 빈도해석에 의한 방류하수의 희석률과 혼합구간의 범위에 대한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마산만과 가덕수로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원소와 저서성 유공충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and Benthic Foraminifera on Surface Sediments in Masan Bay and Gadeog Channel, Korea)

  • 우한준;조진형;최재웅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233-244
    • /
    • 2007
  • Nine surface sediments from Masan Bay and Gadeog Channel were taken for grain size and geochemical and foraminiferal analyses in August 2002. The sediments consist of mud with 7.29-8.54 $\phi$ in mean grain size. Average concentrations of Al, Fe and Mn are higher in Gadeog Channel than those in Masan Bay. On the other hand, average concentrations of Pb, Cu, Zn, Cd, Cr, Ni and V are higher in Masan Bay than those in the channel. The latter group of elements show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station M4, off the outfall of treated wastewater disposal. Eighty-one foraminiferal species are identified in total assemblages, including 21 species of living populations. The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number, species diversity and equitability in Masan Bay have lower values than those in Gadeog Channel. The foraminiferal fauna off the outfall is relatively poor. Compared to geochemical and foraminiferal data obtained in 1996, heavy metals are more enrich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raminifera are little changed. These features indicate that the pollution of Masan Bay has not been reduced.

삼천포 화력발전소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 관측 및 특성분석 (Flow Measurement and Characteristic Analysis in the Effluent Regions of the Samcheonpo Thermal Power Plant(TPP))

  • 조홍연;정신택;강금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9-337
    • /
    • 2006
  • 삼천포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이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소가 삼천포 해역에 건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발전소가 건설되는 지점, 즉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을 관측하고 흐름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류수로의 흐름은 냉각수 방류량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며, 공간적으로는 냉각수가 합류되는 Weir 상류구간, 합류된 냉각수가 방류수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Weir 하류구간, 방류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Weir 상류 지점은 측면에서 유입되는 냉각수로 인하여 유량이 점차 증가하나, 수로의 폭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위 변화가 미미한 지역이며, Weir 하류지점은 월류된 냉각수가 사류(super-critical flow)구간을 거쳐서 수리학적 도약으로 인한 강한 연직방향의 요동을 보이며 방류해역으로 이동하는 구간이다. 한편, 방류수에 의한 영향으로 외해방향으로의 해수흐름이 형성되나 유속은 조위의 승강운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방류해역의 조위는 통영 검조소에 비하여 평균조차는 약 10%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파랑전파에 의한 영향은 미미한 정도로 파악되었다.

해수유입과 강우유출 영향에 따른 용원수로의 염분도 변화 예측 (Prediction of Salinity Changes for Seawater Inflow and Rainfall Runoff in Yongwon Channel)

  • 추민호;김영도;정원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297-3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해수유입과 강우유출에 따른 용원수로 내의 염분도 분포를 모의하기 위해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형을 이용하였다. 유량경계조건은 대표 방류구에서 유출되는 양을 모니터링하여 면적비 유량법으로 산정하였으며, 수위경계조건으로는 시간별 조위 값을 입력하였다. 강우량에 따른 염분도 모의 결과는 일 강우량 245 mm의 유출조건을 반영하였으며, 그 결과 Site 1~2 지점과 망산도 부근 방류구가 위치한 곳에서는 염분도가 0 ppt에 가까운 수치가 나타났으며, 반면 비강우시에는 30 ppt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원수로 내측지점(Site 2~5)에서의 2010년 1월 1일~12월 31일까지의 염분도 시계열 변화 모의결과와 월별 실측값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용원수로의 지점별 염분도를 분석한 결과, 내측지점(Site 1~4)과 송정천지점(Site 7~8)에서 염분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망산도 부근 염분도를 집중적으로 조사한 결과, 1차 조사결과 누적강우량은 17 mm로 염분도 농도는 21.9~28.8 ppt로 측정되었으며, 2차 조사결과 누적강우 량은 160.5 mm로 염분도 농도는 2.33~8.05 ppt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용원수로에서는 해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로 인하여 염분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강우시에는 염분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의한 해양방류관거의 안정성 고찰 (A Experimental Study on the Safety of Underwater Sewage Outfall)

  • 김국태;정동호;박한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0년도 한국해안해양공학발표논문집 Proceedings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in Korea
    • /
    • pp.65-70
    • /
    • 2000
  • 최근까지 주변이 해양으로 둘러싸인 연안국가에서는 오·폐수를 인접한 연안으로 그대로 방류하여 왔다. 그 결과, 연안의 환경오염이 상당히 심각해졌다. 이에 따라 연안의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오·폐수를 해양방류관거를 통해 해안선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방류하는 방법이 널리 채택하고 있다. Fig. 1은 호주의 연안도시 시드니에 연안의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설치된 해양방류 관거의 형상을 나타낸다. (중략)

  • PDF

Foraminifera as an Indicator of Marine Pollution

  • Shin, Im-Chul;Yi, Hi-Il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5-37
    • /
    • 2005
  • Sediment samples from five stations at the Shihwa Lake sewage outfall, west coast of Korea, were colle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outfall on benthic foraminifera. Heavy metal (Cu and Zn) polluted eastern part of the Shihwa Lake, adjacent to the Shihwa-Banwol Industrial Complexes, shows barren or nearly barren of benthic foraminifera, and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both at the core top and downcore. Excepting for the barren zone, pyritized benthic foraminifera abundantly occur both at the surface and downcor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the Shihwa Lake, suggesting that foraminiferal disease by anoxic bacteria. Recent intrusion of pollutants from the Shihwa-Banwol Industrial Complexes and adjacent six major streams severely polluted the Shihwa Lake as shown by the low abundance (number/10 g) of benthic foraminifera, low number of A. beccarii, low species diversity, and absence of both Elphidium spp. and ostracodes at the surface sediments compared to the downcore. Except the barren zone, both pyritized and non-pyritized Ammonia beccarii occur dominantly in the surface sediments and downcore. Elphidium spp. (either pyritized or non-pyritized) do not occur in the surface sediments of whole stations. However, they occur from the entire downcore sediments except in the eastern part of Shihwa Lake. Arenaceous foraminifera do not inhabit in the heavily polluted areas as evidenced by the occurrence of relatively deep core depth (11-50 cm). Ostracodes occur at the downcore sediments, but they do not occur at the surface sediments. Ostracodes also do not occur at the heavily polluted areas in the eastern part of the Shihwa Lake both at the surface and downcore sediments, indicating that the abundance of ostracodes also can be used for a pollution indicator.

  • PDF

하수종말 처리장 방류구 주변해역에서의 해양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around Outfall Discharged from Treatment Plant)

  • 조천래;조현서;이대인;박정채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71-275
    • /
    • 2006
  • 여수 하수처리장 하수처리 방류수가 배출구 인근해역에 미칠 수 있는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수질 및 저질 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총 30개 지점에서 수질과 저질의 일반항목과 영양염류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조사시기는 2005년 9월 3일 (하계), 2005년 11월 20일(추계), 2006년 2월 13일 (동계), 2006년 5월 28일 (춘계) 에 4 계절에 걸쳐 밀물시와 썰물시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출수는 해양수질환경의 특성을 통해 추정한 결과 직접영향권은 0.5km, 간접 영향권은 반경 약 2km까지로 추정되었다. 저질의 결과를 보면 산 휘발성 황화물의 농도가 많은 해역에서 저질의 오염기준을 초과하는 동 오염된 저질의 특성을 보였으며, 산 휘발성 황화물과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분포는 니질 퇴적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배출구 동측과 돌산도 남동쪽, 돌산도 서측과 대경도 동측사이에 위치한 해역에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값들을 보이고 있으며, 조립질 퇴적상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배출구와 국동항사이의 수로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