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fal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9초

남부하수처리장 유출수의 해중방류 영향평가 (Environmental Assessment of Ocean Outfall for Effluent from Nambu Sewage Treatment Plant in Suyoung Bay)

  • 박해식;박청길;이석모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1-49
    • /
    • 2000
  • 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를 처리할 때 주로 BOD 또는 COD를 저하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어왔으나 제거되지 않은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인하여 해역은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류증식의 제한인자인 질소와 인의 처리가 필요하다. 고차처리를 적용할 경우보다 건설비용과 유지관리비가 적게 소요되는 해중방류(Ocean Outfall)을 적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남부하수처리장 2차처리수를 해중 방류했을 때 수영만 전역에 미치는 영향을 far-field 모델인 생태-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 과거 남부하수처리수가 해수면에 유입되던 용호만의 수질은 많은 개선을 보였으나 방류관 주변에서 무기질소와 인의 농도가 해역환경기준 III등급으로 적조나 부영양화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PPLICABILITY OF MODELS FOR BOSTON OUTFALL PLUMES

  • Chung, Yong-tai;Kim, Gyoung-Wa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309-320
    • /
    • 2000
  • In this study, laboratory study of the behavior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Boston ocean outfall was compared with the predictions of mathematical models. The dta sets cover broad ranges of discharge conditions and oceanic conditions, and are associated with a typical type of outfall discharges with multiport diffusers. The laboratory data sets were obtained in density stratified towing tanks. These data sets were used to evaluate four commonly used models: UM, UDKHDEN, RSB and CORMI$\times$2 for minimum dilution, the height to the top of the wastefield, and wastefield thickness. For minimum diluation and height to the top of the wastefield, UM and RSB predictions agree well with laboratory data. UDKHDEN overestimated the minimum dilution and height to the top of the wastefield while CORMI$\times$2 underestimated these values. All of the model predictions for the wastefield thickness were widely scattered. about the measured values. The hydraulic model study reproduced the major features observed in the laboratory. It also afforded considerable insight into the mechanics of mixing of multiport risers which could not have been obtained either from the laboratory test or the mathematical models.

  • PDF

우오수분리벽을 이용한 합류식 하수관거의 오염물질 제어효과 (Pollutant Control using the Separation Wall between Stormwater and Sewage in a Combined Sewer System)

  • 이광춘;최봉철;임봉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61-469
    • /
    • 2004
  •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stormwater effects on sewer concentrations by measuring and comparing the flow and pollutant concentrations during dry and rainy periods in the existing BOX type combined sewer pipes. The monitoring was carried out in two sites, which are the Daesachen outfall having PE separation wall in BOX type combined sewer pipes and the Yongunchen outfall not having seperatioin wall. The average flow-weighted BOD concentraion in Yongunchen outfall is 2-fold lower than in Daesachen outfall because of the dilution effect from ravine water. However, the pollutant mass loading is 16 fold higher in Yongunchen outfall than in Daesachen outfall because of more flow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separation wall controls 52% pollutant mass during a storm period (11.5 mm/hr rainfall intensity). Therefore, the Yongunchen combined sewer system (CSS) need separation wall to control and to prevent more pollutant input in stream. In Daesachen area, the maximum sewer flow rate during a storm period measured about 10 fold bigger than average sewer flow during dry periods. Also the concentrations between rainy and dry periods increase approximately 33 fold for BOD and 120 fold for SS. In Yongunchen area, it increases about 9 fold for the maximum flow rate, 18 fold for BOD and 22 fold for SS during a storm. Therefore, the research is concluded that the separation wall between stromwater (or ravine water) and sewage can decrease the dilution effect in CSS and control the pollutant loading.

Ocean Outfall과 폐수처리 공정의 비용분석을 이용한 수영만의 수질관리

  • 박해식;박청길;이석모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1997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 /
    • pp.52-53
    • /
    • 1997
  • 수역의 유기오염 개선을 위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 등의 저하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어왔으나 공공수역에서의 제거되지 않은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하천에는 남조류가 대량발생하고 해역에는 적조가 광역에서 발생하여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고,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인한 자생 COD가 전체COD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류증식의 제한인자인 질소와 인의 규제가 필요할 뿐만아니라 하수처리장에 고차처리를 적용하거나, 해양의 회석자용을 이용한 Ocean을 적용하여 연안해역 수질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영만을 대상으로 Ocean Outfall과 폐수처리시절을 적절하게 조합하기 위해서 3차원 생태계모델을 적용하여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농도를 예측하여 환경기준을 만족시키고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폐수처리공법과 해중방류관의 위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영만의 1994년 COD는 II등급, DIN과 DIP는 III등급이었다. 현재의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지 않고 방류할 경우 2001년에 는 하수처리량의 증가로 인해 COD의 경우 1994년 보다 조금 감소하지만 DIN 과 DIP는 1994년과 같은 III등급을 유지하였다. 고도처리공법을 도입할 경우 COD의 농도는 광안리와 해운대해수욕장에서 I등급을 보이고, DIP의 농도도 수영만 전체에서 강등급을 보이지만, DM의 농도는 광안리해수욕장에서 II등급, 해운대해수욕장에서 IH등급을 보였다 하수처리장 유출수를 Ocean Outfall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4km에 서 방류할 경우의 COD농도는 I등급을 보이고, DE 농도도 광안리와 해운대해 수욕장에서는 I등급을 보이고, DU의 농도는 ll등급을 보여 수질이 개선된 것 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광안리와 해운대해수욕장의 해역환경기준 ll등급을 만족 하는 하수처리방법은 Ocean Outfall이었다. 수영하수처리장에 인을 처리하기 위한 화학적 침전법의 경우 956억원이 소요되고,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질소제거공정을 추가 건설 할 경우는 2181억원이 전요된다. 그리고 두공정을 같이 건설할 경우에는 3137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수영하수처리장에서 4km 거리와 관경을 2m의 Ocean Outfall 건설비용은 325 억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고차처리시 증가되는 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는 Ocean Outfall의 길이는 인 제거공정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18km을 건설할 수 있고, 질소제거공정을 첨가 하는 경우에는 46km를 건설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온배수 및 염배수의 근역혼합특성 분석을 통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Outfall System by Analyzing Mixing Characteristics of Heat and Brine Discharge at Near Field Region)

  • 남기대;이중우;김강민;김기담;김필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37-643
    • /
    • 2008
  • 해양방류시스템을 계획할 때 우선목표는 방류수의 초기희석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방류수와 주변수의 혼합현상, 특히 초기혼합영역인 근역에 대한 특성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최근까지 최적의 방류시스템(outfall system) 구현을 위하여 근역(NFR)에서의 온배수 방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온배수(heat discharge)와 염배수(brine discharge)를 동시에 방류할 경우를 고려한 성과물을 찾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수와 염수를 동시에 고려한 방류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류수의 거동양상 특히, 근역에서의 혼합성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은 표면방류, 단일확산관 방류, 다공확산관 방류를 해당 해역의 법적 수질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면방류와 단일확산관 방류는 방류형식이 부적절하였고, 다공확산관의 경우도 기하학적인 형상에 따라 결과가 조금 상이하였다.

해양방류시스템 최적설계를 위한 확산해석 (Diffusion Analysis for Optimal Design of Ocean Outfall System)

  • 정태성;강시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4-132
    • /
    • 2009
  • 하수의 해양방류시스템의 형식과 방류위치 결정을 위해 해수유동모의, 근해역 희석률 모의 그리고 원해역 확산모의가 수행되었다. 방류 후보지점 주변의 조위와 조류는 관측조위 및 조류를 잘 재현하는 2차원 유한요소모형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계산된 조위 및 조류 모의결과에 기초하여 방류 후보지점이 결정되었다. 방류시스템으로는 단일확산관과 다공확산관이 고려되었다. 단일확산관과 다공확산관을 통한 하수 방류의 근역 확산이 CORMIX모형에 의해 검토되었으며, 원역 확산이 2차원 Random-walk 확산모형에 의해 실시되었다. 모의결과로부터 수심, 조류, 방류위치, 방류속도, 확산관 길이 등이 확산범위와 희석률에 미치는 영향이 다각도로 검토되었다.

  • PDF

입자추적모델을 이용한 마산만 해중방류구 수심 변화에 따른 방류수 거동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Effluent Transport According to Change in Depth of Marine Outfall in Masan Bay Using a Particle Tracking Model)

  • 김진호;정우성;김동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954-959
    • /
    • 2022
  • Marine outfalls are used to discharge treated liquid effluents to the environment. An efficiently designed, constructed and operated marine outfall effectively dilutes the discharged effluent, thereby reducing the risk to biota and humans dependent upo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luent transport from a marine outfall at different depths in Masan Bay. A particle-tracking model was used to predict the dispersion of effluent. The model results indicate that some particles released from a depth of 13 m move to the inner area of Masan Bay within 48 h. As the release depth increases after 48 h, the particles move further southward. This suggests that effluent from the outer area of Masan Bay can affect the inner area, and that this effect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depth of effluent release.

조석이 방류관의 설계 및 운영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n Influences of Seasonal and Tidal Changes to Outfall Design and Management)

  • 김지연;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9-268
    • /
    • 2004
  • 지난 몇 년 동안, 해안지역에서 산업의 발달과 인구증가로 인해서 육지에서 방출되는 오폐수의 정화 처리 방법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처리방법으로는, 1차 처리 또는 2차 처리된 것을 수중 방류관을 통해 해안이나 심해 또는, 그 중간지점에서 방출되는데, 오폐수가 방출되면 주변의 해수를 연행하여 플룸, 제트 또는 부양성 제트의 형태로 해수면까지 상승하면서 많이 희석된다. 본 연구는 해양환경관리 및 오폐수 처리에 관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중요한 해양방류관 설계를 다룬다. Cormix 모델에 조위의 변화와 계절변화에 의한 몇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방류수의 궤적과 희석을 다룬다. 본 연구는 방류수의 효과석인 관리를 위한 기본 데이터와 일반배치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마산ㆍ창원 하수종말 처리장의 해양방류 처리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연구(I) (A Study on Initial and Near-Field Dilution at the Ocean Outfall of Masan-Changwo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강시환;유승협;오병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0-6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중확산관을 통해 하ㆍ폐수 1차 처리수를 해양방류하고 있는 마산ㆍ창원 하수종말처리장의 해양방류수에 대한 초기ㆍ근역 희석률을 현장관측과 CORMIX 모형계산을 통해 비교 검토하였다. 수심 15m 내외의 방류수역에서 수온약층이 수심 4m~6m에서 형성된 1998년 하계에 관측된 염분도로부터 희석률을 구하였으며, 또한 해수밀도의 수직 분포와 해류자료를 입력하여 모형으로부터 하 폐수 플륨의 이동확산 양상과 초기희석률을 계산하였다. 방류지점의 관측된 염분도 분포로부터 구한 희석률은 32~48이며, 모형에 의해 계산된 초기ㆍ근역 희석률은 29~43으로 두 결과 모두 매우 낮은 하계 소조시의 희석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조류가 약한 소조기의 정체 시에는 방류수에 포함된 오염물질로 인해 해양방류수역의 수질오염이 더욱 가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담수호 저층배수시설 방류구 위치선정을 위한 저층방류수 해양수중 혼합특성해석

  • 박영욱;구본충;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272-277
    • /
    • 2005
  • Initial mixing characteristics in near field regions were analyzed by FLOW-3D, for analyzing mixing behavior of submerged discharge from freshwater lake in sea water. FLOW-3D model was applied to the region near Geum-ho dike for its verification. Simulation results from FLOW-3D were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for the verification periods. FLOW-3D showed resonable prediction results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except underestimation in area near outfall. Particularly, FLOW-3D showed a good prediction for movement of buoyancy jets. In addition, FLOW-3D model was applied to the region near Saemangeum dike, which is to be constructed in near future. It wa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model application to Saemangeum area could provide substantial information in planning submerged discharge facilities. Based on the model applications to Saemangeum area, it was recommended that outfall should be located to the distance which gave an enough depth of outfall from water surfa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