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teoporotic hip fractur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Cement Augmentation of Dynamic Hip Screw to Prevent Screw Cut Out in Osteoporotic Patients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s: A Case Series

  • Rai, Avinash Kumar;Goel, Rajesh;Bhatia, Chirag;Singh, Sumer;Thalanki, Srikiran;Gondane, Ashwin
    • Hip & pelvis
    • /
    • 제30권4호
    • /
    • pp.269-27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 method of inserting cement in the femoral head before fixation with dynamic hip screw to prevent screw cut out due to osteoporosis and to evaluate its clinical outcome in th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prospective study, 30 patients aged 60 years and older with intertrochanteric fracture were included.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After reaming of the femoral head and neck with a triple reamer and polymethyl methacrylate, bone cement was introduced into the femoral head using a customized nozzle and a barrel fitted on a cement gun. A Richard screw was inserted and the plate was fixed over the femoral shaft. Patients were mobilized and clinical outcomes were rated using the Salvati and Wilson's scoring system. Results: More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between 66 and 70 years old than any other age group. The most common fracture according to the 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classification was type 31A2.2 (46.7%). The T-score was found to be $-2.506{\pm}0.22$ (mean${\pm}$standard deviation); all patients were within the range of -2.0 to -2.8. The duration of radiological union was $13.67{\pm}1.77$ weeks. Salvati and Wilson's scoring at 12 months of follow up was $30.96{\pm}4.97$. The majority of patients were able to perform their normal routine activities; none experienced implant failure or screw cut out. Conclusion: Bone cement augmentation may effectively prevent osteoporosis-related hardware complications like screw cut out in elderly patients experienc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s.

골절의 절대위험도 평가방법에서 GE Prodigy와 FRAX Tool의 비교분석에 관한 고찰 (Studi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E Prodigy and $FRAX^{TM}$ Tool in Absolute 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 이화진;이효영;윤종준;이무석;송현석;박세윤;정지욱
    • 핵의학기술
    • /
    • 제13권3호
    • /
    • pp.137-142
    • /
    • 2009
  • 목적: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골밀도뿐만 아니라 대규모 역학연구에서 정리된 골절의 위험인자 분석을 통하여 10년 내 골절위험도(10-year fracture probability)를 실제적으로 임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FRAX Tool (fracture risk assessment)이 2008년에 공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GE Prodigy사의 골절위험도평가와 $FRAX^{TM}$를 이용한 골절위험도평가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검사방법: 본원에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201명($55{\pm}3.5$세)의 여자를 대상으로 GE Prodigy를 이용하여 Femur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Femoral Neck의 BMD (bone mineral density)를 구하여 GE Prodigy의 T-값과 골절위험인자를 고려하지 않은 $FRAX^{TM}$의 T-값를 사용하여 10년 내 대퇴골 골절위험도와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도를 계산하여 SPSS통계프로그램으로 GE Prodigy의 골절위험도 평가와 $FRAX^{TM}$의 골절위험도 평가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GE Prodigy의 T-값($-0.52{\pm}0.97$)과 $FRAX^{TM}$의 T-값 ($-1.45{\pm}0.8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0), GE Prodigy의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위험도($9.15{\pm}3.71$)와 $FRAX^{TM}$의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위험도($4.87{\pm}1.51$)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그리고 GE Prodigy의 10년내 대퇴골 골절위험도($1.56{\pm}1.48$)와 $FRAX^{TM}$의 10년 내 대퇴골골절위험도($0.53{\pm}0.6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GE Prodigy와 $FRAX^{TM}$에서 측정한 골절의 절대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GE Prodigy의 T-값, 주요한 골다공증성 골절위험도, 10년 내 대퇴골 골절위험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향후 $FRAX^{TM}$에 대한 평가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만성 족부 질환이 환측 하지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ronic Foot Disease to Bone Mineral Density of the Affected Lower Limb)

  • 주인탁;유종민;강민구;정진화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5-168
    • /
    • 2010
  • Purpose: Pain or discomfort caused by foot diseases may lead to abnormal gait, resulting in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affected lower limb. We analyzed the effect of foot affection to BMD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Materials and Methods: Bilateral hip BMD was evaluated in 93 patients with unilateral chronic foot disease. To minimize statistical errors, we excluded patients with medical histories that had influence on BMD. Analysis was based on the results of BMD tests at the first visit. All patients denied past medical intervention for osteoporosis. The difference in density between bilateral limb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BMDs of the neck, upper neck, trochanter and total area of hip. Results: Test results revealed the decrease of BMD in the lower limb with the affected foot, compared to the unaffected side. This decrease was significant in the area of the trochanter (p <0.05). There was no marked difference of BMD in relation with duration of affection, underlying disease or age. Pertaining the location of foot affection, the hindfoo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BMD compared to the forefoot group. The group with affection in bone and joint also showed a marked decrease in BMD compared to the soft tissue group (p <0.05). Conclusion: Pain and discomfort caused by chronic foot diseases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BMD of the affected lower limb. This may increase the risk of complications such as osteoporotic fracture and muscular atrophy.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새로운 수술기법에 관한 생체역학적 분석 (A Biomechanical Study on a New Surgical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s in relation to Osteoporosis of Varying Degrees)

  • 김봉주;이성재;권순용;탁계래;이권용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1-41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대퇴골 전자간 골절 치료에 대한 다양한 수술기법을 골밀도 변화에 따라 생체역학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구현된 모델들은 압박 고관절 나사만을 이용하여 시술한 모델 (Type I), 삽입된 압박 고관절 나사 주위에 시멘트 영역을 확보한 뒤 골 시멘트로 보강하는 시술을 구현한 모델 (Type II),대학교추가의 골소실이 없이 시멘트를 가압하여 주입하는 시술을 구현한 모델 (TypeIII)의 3가지 형태로 구현하였다. 시술 상황에 따라 골절부위와 삽입물의 경계면 주위에 접촉요소를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마찰계수를 설정하였으며, 골다공증 정도 (Singh Indices, II∼V)에 따라 대퇴골의 물성치를 적절하게 적용시켰다. 각 모델에 있어 골밀도 변화에 따른 수술기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를 분석하였다 : (a) 대퇴골두 내에서의 von Mises 응력 부피비, (b) 대퇴골두 망상골과 인공 삽입물내에서의 최대 von Mises 응력 (PVMS), (c) 대퇴골두 내에서의 최대 von Mises 변형률 (MVMS), (d) 골절 부위와 인공 삽입물 주위에서의 미세운동량. 수술기법 중 Type III가 대퇴골두 내에서 골밀도 변화에 상관없이 가장 낮은 PVMS, MVMS 수치를 보여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시술법 (Type I,II)에 비해 내고정 실패 가능성이 가장 적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골밀도가 낮을 때에는 Type III의 수술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삽입물 주위에서 미세운동량을 분석한 결과, Type III의 수치가 다른 시술법들의 15∼20%로 나타나 시멘트를 가 압하여 보강하는 시술법이 삽입물 주위의 미세운동을 억제하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이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압박 고관절 나사를 이용한 대퇴골두 전자간 골절 치료에 있어 골 시멘트를 가압하여 보강하는 방법이 골밀도가 낮은 환자에 있어 인공삽입물의 내고정 및 골유합에 가장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