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eltamivir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9초

2009년 국내 신종플루 유행시기의 Oseltamivir 부작용 평가 (Adverse Drug Reactions with Oseltamivir Treatment in the South Korea Outbreak of 2009 Pandemic Influenza A(H1N1))

  • 도윤아;이숙향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3-363
    • /
    • 2011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the outbreak of H1N1 pandemic in 2009. South Korea also had outbreaks of H1N1 virus and used oseltamivir in large volume with increased reports of adverse drug reaction(ADR).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DR frequency, the factors related to ADR, and characteristics of oseltamivir's ADR.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patients randomly drawn from those who were prescribed oseltamivir for treatment from CHA Bundang Medical Center during October 1 and October 30. The information examined as factors related to ADR were collected by a subsequent cross-sectional telephone survey. The factors are the following; a) age; b) gender; c) patient medical history; d) diagnosis of H1N1 virus; e) adherence; f) whether taking other medication with oseltamivir or not; and g) the number of combined medications. We also asked ADR after taking oseltamivir. Total subjects were 86 patients. The average age is $22.6{\pm}18.48$ years old. The gender was 45.3% women and 54.7% men. Half (50%) of all respondents showed one or more ADR, 67.4% were positively diagnosed for H1N1 virus, and 54.7% were completed the full course of oseltamivir (i.e. twice daily x 5day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DR symptoms were: dizziness (15.1%), nausea (11.6%), lethargy (10.4%), diarrhea (10.4%), abdominal pain (8.1%), headache and vomiting (6.9%). ADR classifications by categories are gastro intestinal (44.2%), neuropsychiatric events (22.1%), systemic symptom (20.9%), skin events (5.8%), eye events (4.7%), and other cases (2.3%). The onset of ADR 'after taking 1~3 doses' was 69.7%. No increase in neuropsychiatric events was detec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o factors examined for the study d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nce of ADR. This study showed that ADR of oseltamivir have occurred in half of the patients. The use of oseltamivir is essential for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influenza A(H1N1). But mass treatment should be properly monitored for ADR.

항바이러스제가 단백질의 구조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유한요소법 기반 분석

  • 윤기석;김재훈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4회(2015년)
    • /
    • pp.212-216
    • /
    • 2015
  • Oseltamivir, also known as Tamifu, is an inhibitor of neuraminidase protein which plays an essential role in proliferation and replication of influenza virus. Binding to the active site of neuraminidase, the oseltamivir prevents the protein from enzyme reaction. Conformational change of the protein(neuraminidase)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enzyme reaction, but the drug inhibits the protein to deform.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nfluence of oseltamivir on protein's conformational change in the structural and mechanical point of view.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rotein can be an usefu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seltamivir on the deformation of a protein. We suggest the finite element based protein model, and then perform the linear static analysis with the displacement loading condition based on the first two largest motion which can be obtained from the normal mod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it takes more energy to change shape of the protein with an oseltamivir attached than the protein without an oseltamivir.

  • PDF

Oseltamivir를 투약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한 인플루엔자의 한약 치료 효과 - RCT 연구를 중심으로 - (Review of Clinical Research for Herbal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Influenza Compared with Oseltamivir)

  • 장은하;민상연;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1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inical studies on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in influenza compared with Oseltamivir. Methods We searched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ith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influenza compared to Oseltamivir from the Pubmed, CNKI, OASIS, NDSL, J-stage, and CiNii. Results 14 out of 717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the alleviation of fever, cough, sore throat than the Oseltamivir control treatment. Herbal medicine had same therapeutic effectiveness like Oseltamivir on duration of influenza-like symptoms and viral shedding. No serious adverse reactions were reported from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se trials showed that the herbal medicine may be more effective than the Oseltamivir in the treatment of influenza. Well-designed RCTs for domestic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influenza are needed to prove its efficacy clearly.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소아 환아에서 Oseltamivir 약제 효용성과 단기간.장기간 부작용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연구 (Oseltamivir efficacy, side effects, and safety in children with influenza)

  • 서은선;박근화;김성미;김성원;정우식;조경순;박연경;이창규;강춘;이주연;최우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56-66
    • /
    • 2010
  • 목 적 : Oseltamivir는 neuramidase inhibitor으로 인플루엔자의 치료제로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약제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나 효용성 및 내성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흡하여 이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와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월까지의 두차례의 인플루엔자 유행기간 동안, 부산 성모 병원에서 독감 유사 증상 있어, 신속 항원 진단법으로 독감 진단받고 입원한 32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여, 환아들을 oseltamivir 치료군과 비치료군으로 무작위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군에서는 oseltamivir를 5일간 투여하였고, 비치료군에서는 증상 조절제만 사용하였다. 양군 모두에서 임상증상과 부작용을 관찰하였고 입원 기간 등을 조사하였고, 퇴원 4-8개월 후 전화 상담을 통하여 신경정신학적인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바이러스 배양 검사 및 oseltamivir에 대한 내성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두 기간 동안 본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하였던 총 321명의 환아들을 분석하였고, oseltamivir 치료군은 186명, 비치료군은 135명이었다. Oseltamivir 치료군에서 비치료군에 비해 입원 당시 발병후 48시간이 경과한 환아들이 많았음에도 하기도 합병증이 현저히 적었고, 두 기간 동안 의미 있는 입원 기간 단축을 보였다(4.4일 vs. 5.0일) (P =0.000). 두 기간 동안 치료 군에서 경미한 소화기계 부작용을 보였으나 심각한 정신신경학적인 부작용을 보인 예는 없었다. 전반기 동안에는 양군 모두에서 influenza B (치료군 vs. 비치료군; 41.7% vs. 49.6%)가 가장 많이 동정 되었고, A/H3N2, A/H1N1 순으로 동정되었으며, 후반기 동안에는 치료군에서 A/H3N2가 배양된 한명의 환아를 제외하고는 양군 모두에서 A/H1N1이 동정되었다. 전반기동안 배양된 바이러스에 대한 oseltamivir 내성 검사상 치료 시작 전이나 치료 후 48-72시간 모두에서 oseltamivir에 대한 약제 내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 oseltamivir 치료군에서는 정신신경학적인 부작용을 포함한 다른 심각한 부작용 없이 입원 기간을 단축시키면서 하기도 합병증의 감소를 보이는 임상적인 효용성을 보여 소아 인플루엔자 치료에 있어 oseltamivir 치료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보여주었다.

Oseltamivir 복용 이후 소아에서 발생한 이상행동 및 그 인과성 평가 (Psychiatric Symptoms after Taking Oseltamivir in a Child and Its Causality Assessment)

  • 손병우;최중혁;이승민;박선순;최은경;유봉규;지은희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6-60
    • /
    • 2019
  • Oseltamivir is an antiviral medication prescribed to prevent and treat influenza A and B. A case from a community pharmacy in Korea was reported for an adverse event associated with oseltamivir administration. A 20-month-old boy had psychiatric symptoms after receiving 2 doses of oseltamivir. Therefore,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psychiatric symptoms were caused by oseltamivir wa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 adverse event resulted from the administrated medication or other factors, three tools were used: the Naranjo scale, the Korean causality assessment algorithm (Ver.2),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er (WHO-UMC) criteria. The psychiatric symptoms occurred after oseltamivir administration, and were attenuated after oseltamivir termination. A possible cause of the psychiatric symptoms is high fever, but information o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atient was not sufficient. Therefore, it was unclear whether there were other nonpharmacological causes of adverse drug reaction. For these reasons, in terms of causality, the results evaluated by the three tools represented, "possible", "probable", and "probable/likely", respectively.

2004년 상반기에 부산 지역 소아에서 유행한 독감에서 Oseltamivir의 치료 효과 (Clinical Effects of Oseltamivir in Children with Influenza in Busan, in the First Half of 2004)

  • 박수경;최소영;김성미;김길현;정진화;최임정;조경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76-985
    • /
    • 2005
  • 목 적 : 인플루엔자는 소아 호흡기 질환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과 사망률을 가진다.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지만 소아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는 일반적이지 않으며, 그에 대한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neuraminidase의 억제제로서 인플루엔자 A와 B 바이러스에 모두 효과를 가지는 경구 oseltamivir의 효과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소아의 인플루엔자 치료에 있어서의 도움을 제공하려 한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6월까지 부산 메리놀병원 외래, 입원 및 응급실 방문 환아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이 되는 환아 621명에서 인후도찰물 및 콧물을 채취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배양을 실시하였고, QuickVue test를 시행하였다. QuickVue test에 양성을 보인 181명의 환아들을 oseltamivir를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었고, 이들의 임상 양상과 진단을 비교함으로써 oseltamivir의 치료 효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기간 동안 621명의 인플루엔자 의심 환아 중 79 명(17.2%)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되었고,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에 양성을 보인 환아는 181명이었다.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에 양성을 보인 181명 중 83명에서 oseltamivir를 5일간 하루 2회 사용하여 oseltamivir 사용군으로, 98 명은 증상 완화제만을 사용하여 oseltamivir 비사용군으로 정하였다. 두 집단간에 임상 증상과 진단은 차이가 없었고, oseltamivir 사용군에서 발열 기간의 의미 있는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기간 동안에는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해 구토나, 구역,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약물 투여로 인해 이들 증상이 악화되거나, 그로 인해 약물을 중단한 경우는 1례도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소아에서 인플루엔자 치료에 oseltamivir를 사용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발열 기간과 다른 호흡기 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아에서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서 oseltamivir 치료의 유용성: 2개 병원에서 조사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fluenza B Virus in Children and the Efficacy of Oseltamivir: Data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 윤송이;천지혜;이경석;나영호;최선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3호
    • /
    • pp.199-206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에 대한 oseltamivir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치료군과 비치료군간의 임상적 특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입원하거나 외래 진료실을 방문하여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에 감염된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급성 기관지염, 급성세기관지염, 크룹으로 진단된 72명의 평균 나이는 $3.6{\pm}2.8$세 였다. oseltamivir 치료군은 38명(53%), 비치료군은 34명(47%)이었고 치료 시기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두 군의 입원 기간($4.18{\pm}2.10$일 vs $4.79{\pm}1.49$일, P=.17), 총 발열 기간($5.32{\pm}2.07$일 vs $6.41{\pm}3.25$일, P=.09)을 포함한 임상적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치료군, 48시간 이내 치료군, 48시간 이후 치료군간의 비교에서 임상적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세 이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두 군간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Oseltamivir 복용 전 치료군과 비치료군간의 임상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이 없어 oseltamivir의 적응증을 도출하기 어려웠으며 치료 후 임상 경과의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투약 시점에 따른 비교에서는 발열 시작 48시간 이내에 osetamivir를 투여한 군에서 발열 기간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므로 향후 투약 시기를 고려하여 연령별 분석, 인플루엔자 B바이러스 종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는 대단위 연구가 필요하다.

Occurrence and characterization of oseltamivir-resistant influenza virus in children between 2007-2008 and 2008-2009 seasons

  • Kim, Seoung Geun;Hwang, Yoon Ha;Shin, Yung Hae;Kim, Sung Won;Jung, Woo Sik;Kim, Sung Mi;Oh, Jae Min;Lee, Na Young;Kim, Mun Ju;Cho, Kyung Soon;Park, Yeon Gyeong;Min, Sang Kee;Lee, Chang Kyu;Kim, Jun Sub;Kang, Chun;Lee, Joo Yeon;Huh, Man Kyu;Kim, Chang H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4호
    • /
    • pp.165-175
    • /
    • 2013
  • Purpose: There was a global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oseltamivir-resistant influenza viruses during the 2007-2008 influenza s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characteristics of oseltamivir-resistant influenza viruses during the 2007-2008 and 2008-2009 influenza seasons among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oseltamivir (group A) and those that did not receive oseltamivir (group B).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321 pediatric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because of influenza during the 2007-2008 and 2008-2009 influenza seasons. Drug resistance tests were conducted on influenza viruses isolated from 91 patient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roups A and B during both seasons. Influenza A/H1N1, isolated from both groups A and B during the 2007-2008 and 2008-2009 periods, was not resistant to zanamivir. However, phenotypic analysis of the virus revealed a high oseltamivir $IC_{50}$ range and that H275Y substitution of the neuraminidase (NA) gene and partial variation of the hemagglutinin (HA) gene did not affect its antigenicity to the HA vaccine even though group A had a shorter hospitalization duration and fewer lower respiratory tract complications than group B.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between oseltamivir-susceptible and oseltamivir-resistant strains of influenza A/H1N1. Conclusion: Establishment of guidelines to efficiently treat influenza with oseltamivir, a commonly used drug for treating influenza in Korean pediatric patients, and a treatment strategy with a new therapeutic agent is required.

소아 입원환자에서의 A형 및 B형 인플루엔자 임상 비교 (Clinical Comparison of Influenza A and B Virus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 정승원;이준희;강진한;이학성;최재원;마상혁;이재원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1호
    • /
    • pp.23-30
    • /
    • 2017
  • 목적: 소아 입원환자에서 A/H1N1, A/H3N2형 및 B형 인플루엔자 감염을 비교하고 항바이러스제의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4월까지 창원파티마병원에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02명 중 인플루엔자 A/H1N1형 15명(5.0%), A/H3N2형 100명(33.1%), B형 187명(61.9%)이었다. A는 24개월 미만, B는 24개월-6세 사이 감염자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고(P=0.005). B형 인플루엔자 감염군에서 발열 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P=0.001). 총 161명(53.3%)가 백신 접종자였으며, 감염 환자군 모두에서 oseltamivir를 복용한 환자들의 발열 기간이 유의하게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A형과 B형 인플루엔자 환자는 연령 분포 및 임상 경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oseltamivir는 효과의 차이는 있었으나 두 군 모두에서 효용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