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metric Height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9초

정사보정에 의한 정표고의 정밀계산 (Calculation of Precision Orthometric Height by Orthometric Correction)

  • 윤홍식;조재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7-125
    • /
    • 2004
  • 본 논문은 수준측량 결과에 대한 중력에 의한 영향인 정사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다양한 공식들을 조사하여 수치해석을 통한 정사보정량의 크기와 공식별 계산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수치해석을 위하여 2개의 수준노선을 선정하여 수준측량 결과와 중력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공식별 비교결과, 우리나라와 같이 평균표고가 높고, 지형의 기복변화가 심한 지역에서는 실측 중력값을 고려하여 정사보정량을 계산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산악지역에서의 정사보정량 산정 (Computation of orthometric correction in mountainous area)

  • 김진수;이석배;김철영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42
    • /
    • 2010
  • This Study describes the mountainous area which i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Jeollanam-do used the relative gravimeter in the object and is measured and the gravity data which used orthometric correction, is a physical height the altitude in compliance with the level measurement which is an altitude and a geometric height is really a difference in compliance with the method which is various calculated orthometric height. In addition, calculated by various were compared & analyzed by orthometric correction against the objective area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orthometric correction method of calculation.

  • PDF

우리나라 수준노선에서 실측중력에 의한 정사보정량 계산 (Calculation of orthometric correction by observed gravity at Korean benchmark line)

  • 김철영;이석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9-325
    • /
    • 2011
  • 우리나라의 수준점은 성과계산에 있어서 실측중력에 의한 정사보정량 계산을 실시하지 않고 정규중력을 이용한 정사보정량 계산을 함으로써 정확한 정표고가 아닌 정규정표고를 사용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2등 수준노선을 대상으로 직접 중력을 관측하고 정사보정량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수준점 체계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강원도 지역의 속초~강를구간의 1등수준 노선과 속사~인제구간의 2등 수준노선을 대상으로 CG5 디지털중력계를 이용하여 직접 중력관측을 실시하고 상대중력성과를 계산하였으며, 중력성과에 기초하여 정사보정량을 계산한 결과 1등 수준노선에서 최대 -0.349mm, 최대 -44.060mm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보다 정확한 수준점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측중력에 의한 정사보정량의 계산과 정사보정량을 고려한 정표고 산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ccuracy Analysis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in Mountainous Areas

  • Lee, Jisun;Kwon, Jay Hyoun;Lee, Hungkyu;Park, Jong So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3-412
    • /
    • 2018
  • Recentl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derived orthometric height determination has been studied to improve the time and cost-effectiveness of traditional leveling surveying. However, the accuracy of this new survey method was evaluated when unknown points are located lower than control point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was examined using TPs (Triangulation Points) to verify the stability of surveying in mountainous areas. The GNSS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Mungyeong, Unbong/Hadong, Uljin, and Jangseong. Three unknown points were surrounded by more than three UCPs (Unified Control Points) or BMs (Benchmarks) following the guideline for applying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determination. A newly developed national geoid model, KNGeoid17 (Korean National Geoid 2017), has been applied for determining the orthometric height. In comparison with the official orthometric heights of the TPs, the heights of the unknown points in Mungyeong and Unbong/Hadong differ by more than 20 cm. On the other hand, TPs in Uljin and Jangseong show 15-16 cm of local bias with respect to the official products. Since the precision of official orthometric heights of TPs is known to be about 10 cm, these errors exceed the limit of the precision. Therefore, the official products should be checked to offer more reliable results to surveyors. As an alternative method of verifying accuracy, three different GNSS post-processing software were applied, and the results from each softwar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whole test areas did not exceed 5 cm.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precision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was less than 5 cm, even though the unknown point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points.

우리나라 산악지에서의 정밀표고 결정 (Precise Height Determination in Mountainous Areas of South Korea)

  • 이석배;어수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99-108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악지에서의 정밀표고결정을 목적으로, 지리산 지역을 테스트베드로 선정하고 테스트베드 내의 44점의 수준점에 대하여 중력측정 및 GNSS 관측을 실시하고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표고보정량과 표고를 계산하고 연구한 논문이다. 계산에 있어서는 역학보정량과 정사보정량 및 정규보정량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역학고와 정표고 그리고 정규고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정규중력과 실측중력의 차이를 규명해 내었고 또 정사보정량과 정규보정량의 차이를 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정규정표고 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수준점 고시성과와 본 연구에서 계산된 정표고 값을 비교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수준점 성과체계가 정규정표고 체계에서 정표고 체계로의 전환하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테스트베드내에서 정사보정량과 정규보정량의 차이는 최소 -234.41 mm에서 최대 196.925 mm의 분포를 나타냈고, 현재의 수준점 고시성과와 본 연구에서 계산된 정표고와의 차이는 -0.121 m에서 0.011 m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ccuracy Analysis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s on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 Jung, Sung Chae;Kwon, Jay Hyoun;Lee, Jis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18
  •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spirit leveling, research on the determination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derived orthometric heigh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most analyses were primarily performed inland.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the arrangement of control points, observation duration, and geoid model on the accuracy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have been analyzed to suggest the proper method to apply the determination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to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wo known points located near the unknown points need to be fixed in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Further, 3 cm level of accuracy can be achieved if the GNSS survey is performed over two days, for four hours per day. In terms of the geoid model, the latest national geoid model should be applied rather than the EGM08 (Earth Gravitational Model 2008) to minimize regional bias and increase accuracy.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apply the determination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technique as a method to connect with the islands because the vertical reference system used inland and that used for the islands in Korea are still different.

수직기준 결정을 위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f Vertical Datum Determination in Korea)

  • 정태준;윤홍식;황학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58
    • /
    • 2007
  • This study describes a problem of the Original Bench Mark which is used currently. We calculate New Mean Sea Level(MSL) in Incheon Port using tide data for 57 months and take 8 points GPS/Leveling data in research area. We calculate orthometric height of one control point using tide data and GPS/Leveling data. After fixed the control point, we decide final orthometric heights using relative geoidal height and ellipsoidal height from GPS survey. To analysis the Original Bench Mark compares final orthometric heights with the orthometric heights in Korea height system. We get the result that the New Original Bench Mark's height is 26.7176m. It appears 3.05cm difference as the Original Bench Mark's height is 26.6871cm in Korea height system.

  • PDF

GPS 상시관측점의 실용 표고좌표 결정 (Determination of Practical Orthometric Height for Permanent GPS Station)

  • 윤홍식;황학;송동섭;황진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9-307
    • /
    • 2007
  • 본 연구는 GPS 상시관측점을 이용한 간접수준측량의 활성화를 위한 기반 작업인 GPS 상시관측점의 실용표고 계산에 관한 것이다. 직접수준측량과 GPS 간접수준측량, 그리고 중력측량 결과들을 조합하여 GPS 상시관측점의 안테나 참조점에 대한 표고좌표를 정밀하게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우리나라 수준점 성과의 정밀도와 측량작업의 정밀도에 근거하여 계산된 표고좌표에 대한 기대오차를 예측하고, 실제 측정결과의 정확도를 이용하여 검정함으로써, 계산된 표고좌표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산악지 표고결정에 있어서 GNSS/Geoid 기술의 활용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GNSS/Geoid Technology in Determining Orthometric Height in Mountain)

  • 이석배;이근상;이민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7-65
    • /
    • 2017
  • 본 연구는 산악지 표고결정에 있어서 GNSS/Geoid기술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지리산 일원에 테스트베드를 설정하고 GNSS관측을 실시하였으며 EGM2008, KNGeoid13, KNGeoid14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여 39개의 수준점의 정표고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GNSS/Geoid기술에 의한 표고결정 정확도는 KNGeoid14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pm}7.1cm$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항공사진측량의 항공삼각측량에 필요한 지상의 표고기준점을 구할 때 도화축척 1/1000이하의 축척에는 사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간 조위관측자료 분석과 GPS 수준측량 수준원점 성과 재정의 (Redefinition of the Original Benchmark Height using Long-term Tide Observations Analysis and GPS Levelling Methods)

  • 정태준;윤홍식;황진상;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93-4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인천만의 장기간 조위관측자료를 웨이블릿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평균해수변 결정을 위한 최적의 기간을 제시하고, 적정기간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직기준을 새롭게 결정하였다. 그 후 결정된 평균해수면과 연안의 지상기준점(ICGP) 간의 정밀한 높이차를 결정하기 위하여 해수면에 대한 직접적인 레이저 관측을 수행하였으며, 결정된 높이차를 전체 조위관측자료에 대해 선형보간법으로 보정하여 ICGP의 정표고를 계산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계산된 ICGP의 정표고를 정밀 GPS 관측과 중력지오이드모델을 이용한 GPS 수준측량 방법을 통해 수준원점 (ORBM)과 연결하고, 새로운 평균해수변 기준의 수준원점 정표고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결정된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은 1910년대의 평균해수면에 비해 약 0.026m가 변동된 것으로분 석되었으며, 새로운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GPS 수준측량에 의해 재정의된 ORBM 성과는기존성과와 약 0.035m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새로운 ORBM 성과에서 나타난 0.009m의 연결오차는 GPS 수준측량시 GPS 타원체고 결정오차와 지오이드모델링 오차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정밀한 GPS 수준측량만으로 새로운 평균해수변에 기준한 ORBM 정표고 성과를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었으며, 향후 정표고 체계로의 효율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조위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직기준 결정과 함께 GPS 수준측량을 통한 수준성과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