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gonal radiation pattern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수직한 방사패턴을 형성하는 이중대역 비대칭 배열 메타물질 안테나 (A Dual-Band Asymmetrical Metamaterial Antenna for Orthogonal Radiation Patterns)

  • 표성민;한상민;이동효;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2246-22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메타물질 특성을 가지는 단위 구조의 비대칭 배열을 이용하여 서로 수직한 방사패턴을 형성하는 이중대역 메타물질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메타물질 단위 구조를 비대칭 주기배열로 인하여 2개의 수직한 공진 모드를 발생시킨다. 2개의 수직한 공진 모드는 안테나의 선형 편파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오직 방사패턴만 수직하게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테나 표면에서는 전계분포의 분석을 통하여 수직한 공진 모드를 분석하였으며, 측정 실험을 통해 안테나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각각의 공진주파수에서 y축과 x축 방향으로 서로 수직한 방사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3.34 dBi 와 3.86 dBi 의 안테나 이득을 나타내었다. 또한 안테나의 크기 감소와 방사효율 증가를 위하여 동일한 안테나의 접지면에 슬롯을 적용하여, 크기 감소와 12 % 와 27 % 의 방사효율 증가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직교형 원형 루프 안테나와 역 에프형 배열구조의 등가성 분석 (Equivalence Between Two Orthogonal Oriented Circular Loops and Planar Inveryed-F Antenna Array)

  • 김종성;박승모;최원규;성낙선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5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5 No.1
    • /
    • pp.289-292
    • /
    • 2005
  • Two planar inverted-F antenna (PIFA) arrays are proposed as an alternative model to generate input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wo orthogonal oriented circular loops, which has polarization diversity, but inherent mechanical instability of two orthogonal loops, in particular, in installation and operation conditions. Two $1\times2$ PIFA sub-arrays are orthogonally placed on a ground plane and two different feeding networks are applied to control horizontal and vertical radiation current flows for each sub-array, respectively. Equivalence of scattering parameters and radiation patterns between two antennas are validated by the available commercial simulator.

  • PDF

차량 단말 통신을 위한 이중대역 직교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Dual-Band Orthogonal-Polarization Microstrip Antenna for Vehicle-to-Nomadic Devices Communication)

  • 임은숙;이동효;표성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606-61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차량 내부 단말 통신을 위한 이중대역 직교편파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안테나는 서로 수직한 선형 편파를 형성하기 위한 수직한 이중 급전 부분과 이중대역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H 모양의 폐루프형 슬롯이 구비된 방사체로 구성된다. 방사체에 구비한 H 모양의 폐루프형 슬롯은 방사체의 각 변의 급전 부분에 따라 기하학적으로 다른 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안한 안테나는 두 개의 동작 주파수에서 서로 수직한 선형 편파로 동작한다. 제안한 안테나는 1.8 GHz에서 지표면에 수직한 선형 편파와 2.4 GHz에서 지표면에 수평한 선형 편파로 동작함을 이론 및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제작한 안테나의 모의실험과 측정실험 결과는 반사 계수, 방사패턴 및 안테나 이득에서 잘 일치되었다.

MIMO Antenna Using Resonance of Ground Planes for 4G Mobile Application

  • Zhao, Xing;Kwon, Kyeol;Choi, Jeahoo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51-53
    • /
    • 2013
  • A MIMO antenna using the resonance of ground planes is proposed for 4G mobile application. A resonant mode is generated when the double ground planes (upper and lower) in the mobile terminal are excited as the radiator. By combining the resonant modes contributed from both the antenna element and the ground planes, the proposed MIMO antenna realizes a wideband property over LTE band 13. In addition, an inductive coil is employed to reduce the antenna volume. These approaches not only simplify antenna design but also effectively improve bandwidth and efficiency. The proposed MIMO antenna has an excellent ECC value of below 0.1 because of the nearly orthogonal radiation patterns of the two radiators. Moreover, an additional antenna is adopted to cover WiMAX, WLAN, and Bluetooth services simultaneously in frequency range from 2 GHz to 2.7 GHz.

이중 주파수 원형 섹터 패치 안테나 (Dual-frequency circular sector microstrip antenna)

  • 박동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87-19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급전되는 원형 섹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사용하여 서로 수직한 편파 특성을 갖는 이중주파수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공진기 모델을 사용하여 여기되는 모드를 계산하였고 안테나의 동작주파수 및 편파 특성을 살펴보았다 1.87 GHz대와 2.42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주파수 안테나를 제작하여 S-파라미터 및 복사패턴을 측정하였다.

  • PDF

이중 주파수 원형 섹터 패치 안테나 (Dual-frequency circular sector patch antenna)

  • 박동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812-81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로 급전되는 원형 섹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사용하여 서로 수직한 편파 특성을 갖는 이중주파수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공진기 모델을 사용하여 여기되는 모드를 계산하였고 안테나의 동작주파수 및 편파 특성을 살펴보았다. 1.87 GHz대와 2.42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주파수 안테나를 제작하여 S-파라미터 및 복사패턴을 측정하였다. 다음은 요약문 입니다.

  • PDF

Method of tumor volume evaluation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outcome prediction in cervical cancer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 Kim, Hun-Jung;Kim, Woo-Chu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70-77
    • /
    • 2012
  • Purpose: To evaluate the patterns of tumor shape and to compare tumor volume derived from simple diameter-based ellipsoid measurement with that derived from tracing the entire tumor contour using region of interest (ROI)-based 3D volumetry with respect to the prediction outcome in cervic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in 98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stage IB-IIIB). The tumor shape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ellipsoid and non-ellipsoid shape. ROI-based volumetry was derived from each magnetic resonance slice on the work station. For the diameter-based surrogate "ellipsoid volume," the three orthogonal diameters were measured to calculate volume as an ellipsoid. Results: The more than half of tumor (55.1%) had a non-ellipsoid configuration. The predictions for outcome were consistent between two volume groups, with overall survival of 93.6% and 87.7% for small tumor (<20 mL), 62.9% and 69.1% for intermediate-size tumor (20-39 mL), and 14.5% and 16.7% for large tumors (${\geq}$40 mL) using ROI and diameter based measurement, respectively. Disease-free survival was 93.8% and 90.6% for small tumor, 54.3% and 62.7% for intermediate-size tumor, and 13.7% and 10.3% for large tumor using ROI and diameter based method, respectively. Differences in outcome between size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s in outcome predicted by the tumor volume by two different methods. Conclusion: Our data suggested that large numbers of cervical cancers are not ellipsoid. However, simple diameter-based tumor volume measurement appears to be useful in comparison with ROI-based volumetry for predicting outcome in cervical cancer patients.

원형 섹터 패치 안테나를 사용한 트랜시버 전단부 설계 (Design of Transceiver Front-end using Circular Sector Patch Antenna)

  • 박동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807-811
    • /
    • 2001
  • 파수 원형 섹터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사용하여 5.6 GHz 에서 송신과 5.5 GHz 에서 수신 동작을 하는 트랜시버를 제작하였다. 트랜시버의 송수신 주파수 분리에 제안된 안테나의 좋은 격리도 특성을 이용하였다. 제안한 이중 주파수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및 편파 특성을 공진기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안테나의 S 파라미터 및 복사패턴을 측정하였다. 전력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를 설계하여 안테나와 집적하여, 송신 및 수신 이득이 각각 약 13dB 및 약 8dB가 되는 트랜시버를 제작하였다.

  • PDF

PIN 다이오드가 구비된 H 모양 슬롯을 이용한 직교편파 이중대역 변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Orthogonally-Polarized Dual-Band Switchable Microstrip Antenna Using PIN-Diode Loaded H-Shape Slot)

  • 임은숙;표성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56-162
    • /
    • 2016
  • 본 논문은 직교편파로 동작하는 이중대역의 동작주파수를 변환하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안테나는 서로 수직한 급전부와 1개의 PIN 다이오드가 집적된 형태의 H 모양의 슬롯이 구비된 방사체로 구성된다. PIN 다이오드의 상태에 따라 H 모양 슬롯의 기하학적 모양이 변함을 이용하여, 수평편파를 제공하는 주파수는 고정된 상태로, 수직편파로 동작하는 주파수를 변환할 수 있다. 제작된 안테나는 PIN 다이오드의 인가전압에 따라 직교편파를 제공하는 1.80 GHz와 2.06 GHz의 이중대역이 2.06 GHz에서 2.43 GHz로 원활하게 변환됨을 측정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PIN 다이오드 상태 별로 각각 측정된 반사계수, 안테나 이득 및 원거리 방사패턴은 이론적인 분석과 잘 일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