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ofacial Area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에서 수면 이갈이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leep bruxism patients with idiopathic facial pain)

  • 명양호;서정일;김복음;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2호
    • /
    • pp.81-87
    • /
    • 2021
  • 목적: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에서 수면 이갈이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특발성 안면 통증을 호소한 210명의 환자 중 수면 이갈이가 존재하는 28명의 환자의 성별, 나이, 통증의 기간, 위치 및 강도, 통증에 영향을 받은 부위를 포함한 차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특발성 안면 통증이 있는 수면 이갈이 환자는 남성(14.3%)보다 여성(85.7%)이 많았다. 평균 연령은 48.9세였으며 가장 흔한 안면 통증 부위는 우측 상악 치아(28.6%)와 하악 치아(25.0%) 부위였다. 2개의 치아에 통증이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50.0%), 1개 치아(28.6%), 3개 치아 이상(21.4%) 순으로 통증이 나타났다. 평균 통증 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범위: 0 - 10) 기준 5.9였다. 20명의 환자에서 통증은 자발통의 양상으로 나타났으며(71.4%), 평균 통증 기간은 24.4개월이었다. 결론: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에서 수면 이갈이가 있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은 다양한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의 진단에 유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통증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는 불필요한 치료를 감소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보다 체계화된 진단 방법 및 개발을 위한 치료 지침을 위해 후속 연구는 충분한 기간 및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istribution of Ion Channels in Trigeminal Ganglion Neurons of Rat.

  • Kim, A.K.;Choi, K.K.;Choi, H.Y.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81.1-581
    • /
    • 2001
  • Trigeminal nerve functions movement and sensation on orofacial reg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in dental clinic. Neurons with their cell bodies in trigeminal ganglion of trigeminal nerve root are primary sensory neurons and playa role of tactile sense, pressure, vibration and pain of orofacial area. Transmission of these senses depends on ion channels, we know that trigeminal ganglion neuron exists many kind of ion channels. Methods of definition on ion channel are several, but in this study we use immunostaining for detection of ion channels.(omitted)

  • PDF

Rare Odontalgia of Mandibular Teeth Associated with Migraine: A Case Report

  • Im, Yeong-Gwan;Kang, Jin-Kyu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3권3호
    • /
    • pp.92-96
    • /
    • 2018
  • A 39-year-old male presented with severe pain in right posterior mandibular teeth and temporal area. Initially, the pain in the mandibular teeth was moderate, but the concomitant headache was unbearably severe. His medical history was non-contributory.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failed to reveal any pathology in the region. There was no tenderness to palpation in the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s or temporomandibular joints. The clinical impression was migraine. The pain in the teeth and headache were aborted using ergotamine tartrate and sumatriptan succinate. Atenolol prevented further pain, while amitriptyline and imipramine had no effect. Migraine can present as non-odontogenic pain in the mandibular teeth, although not as frequently as in the maxillary teeth. A correct diagnosis is essential to avoid unnecessary dental treatments and to manage pain effectively. Clinicians should be able to identify migraine with non-odontogenic dental pain and establish a proper diagnosis through a comprehensive evaluation.

증령에 따른 구치의 학모면적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 Estimation Based upon Attrition of Molars)

  • 양무도;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6권1호
    • /
    • pp.91-100
    • /
    • 1981
  • The author collected 146 men's stone models and 175 women;s stone models over the age of twenties, and studied area ratio of attrition of molars. Area ratio of attrition = (area of attrition / area of occlusal surface)*100(%) All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statistical method,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age and area ratio of attrition, that is, area ratio of attrition was increased with aging process. 2. Regression equtions and coefficients of correlation showed a significant meaning. 3. Generally, upper teeth showed higher tendency of area ratio of attrition, being compared with lowers. 4. Being compared with male and female, there was no uniform difference.

  • PDF

한국인 대학생에서 수면의 질과 정서적 요인에 관한 상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강진규;임현대;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3호
    • /
    • pp.257-267
    • /
    • 2008
  • 정신신체질환은 개개인의 서로 다른 성격, 정서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과 기질적인 요소 등이 함께 반응하여 소화기계, 순환기계, 호흡기계 및 근골격계 등에 수많은 질환을 야기하며, 그 중에 만성통증도 역시 포함한다. 구강안면 영역의 증상으로 내원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통증이며 증상에 영향을 주는 기여요인은 생물학적 요인, 행동요인, 환경요인, 사회요인, 정서요인, 인지요인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여요인은 개인의 성격, 인성에 좌우되어 증상의 경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통증에 있어 수면은 하나의 기여요인으로 작용하며, 통증은 수면장애를 가져오거나 악화시키기도 하며, 수면장애 역시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수면의 질의 저하는 정서적 스트레스를 가속화 시킬 수 있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구강안면 영역에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비교적 정확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면의 질 평가 및 정신 검사를 필히 시행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 연구는 PSQI를 통한 수면의 질 평가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비교 평가하여 수면과 정서적, 심리적 상태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oor sleeper 는 남자가 18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PSQI 총수면 지수는 남자에서 $6.11{\pm}2.38$, 여자에서 $4.67{\pm}2.18$로 나타났다. SCL-90-R 지수는 남녀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oor sleeper에서 신체화(SOM), 강박증(O-C), 대인예민성(I-S), 불안(ANX), 공포불안(PHOB), 정신증(PSY)에서 유의성 있게 높은 평균치를 보였으며 전체 심도지수(GSI), 표출증상합계(PST)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또한 수면의 질에 따른 SCL-90-R의 T-점수는 주관적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 강박증(O-C), 대인 예민성(I-S)에서, 수면장애가 심할수록 편집증(PAR), 정신증(PSY), 표출증상합계(Positive symptom total, PST)가, 주간수면장애에서는 우울(DEP), 불안(ANX), 적대감(HOS), 공포불안(PHOB), 편집증(PAR), 전체 심도지수(GSI)에서 유의하게 높은 평균치를 보였다. 이와 같이 수면의 질과 정서적 상태는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구강안면 영역의 만성 통증에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된다. 이에 구강안면통증을 다루는 임상가들은 환자의 수면의 질과 정서적 상태에 대해 적절히 평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추후 구강안면통증에 있어 수면과 정서적, 심리적 인성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스텐트를 이용한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의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 (Topical Steroid Therapy using Stent on Chronic Ulcerative Gingival Lesions)

  • 박형욱;안형준;최종훈;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4호
    • /
    • pp.259-264
    • /
    • 2010
  •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는 편평태선, 양성점막유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코티코스테로이드 약물요법이 주된 치료로 이용된다. 코티코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경우 위장장애, 체중증가 등의 부작뿐만 아니라 장기 복용 시 골다공증, 당뇨 및 고혈압 발생 또는 악화, 부신기능 저하, 쿠싱증후군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 할 수 있어 병소가 국소 부위에 제한되어 발생하거나 전신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스테로이드 약물의 국소 도포가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의 주된 치료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소 스테로이드 치료를 구강 내에 사용하는 경우 타액 분비, 혀, 입술, 협점막 등의 움직임에 의해 도포한 약제가 소실되어 효과가 감소되고 병소가 넓은 부위에 분포하거나 구강 내 깊숙한 부위에 발생하는 경우 환자 스스로 약물을 도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질병에 이환 되지 않은 정상 점막에도 약제가 도포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국소 스테로이드 적용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효과를 최대화함으로써 스테로이드 복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스텐트를 이용한 스테로이드 밀폐 요법이 보고된 바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만성 궤양성 치은 병소가 발생한 환자에게 스텐트를 이용한 국소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치료 효과를 보인 증례를 통해 그 효용성과 임상적 활용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Participation of Central $P2X_7$ Receptors in CFA-induced Inflammatory Pain in the Orofacial Area of Rats

  • Yang, Kui-Ye;Kim, Myung-Dong;Ju, Jin-Sook;Kim, Min-Ji;Ahn, Dong-Kuk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49-56
    • /
    • 2014
  •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요약하면, CFA를 안면영역 피하로 주입하여 발생한 염증성 통증 행위반응은 P2X 수용체의 억제제의 투여로 감소할 수 있었다. 특히 $P2X_7$ 수용체 억제제를 투여하면 진통작용 뿐 아니라 활성화된 신경아교세포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P2X_7$ 수용체가 신경아교세포에 영향을 미쳐 안면에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통증의 발생과 유지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중추신경계의 신경아교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중추성 $P2X_7$ 수용체 작용기전은 임상에서 만성 염증성 통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Inhibitory Effect of SPA0355, a Thiourea Analogue, on Inflammation and Alveolar Bone Loss in Rats with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 Bak, Eun-Jung;Kim, Ji-Hye;Lee, Dong-Eun;Park, Byung-Hyun;Ryu, Jae-Ha;Cha, Jeong-Heon;Jeon, Ra-Ok;Yoo, Yun-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63-68
    • /
    • 2012
  • It has been documented that SPA0355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s via the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SPA0355 on periodontitis in an animal model. Periodontitis was induced by ligation of the cervix of the 1st molar in the left mandible in rats. After ligature, th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topically applied with SPA0355 (0.5, 1, and 2%) or the vehicle alone once daily for 10 days. Body weight and food intake were measured daily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t day 10 post-ligature,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distance of the cementoenamel junction (CEJ) to the alveolar bone crest (ABC) in the distal area of ligatured tooth were estimated histopathologically. No changes in body weight or food intake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SPA0355 groups. The degree of inflammation was decreased in all three SPA0355 application groups. A decrease CEJ-ABC distance was observed in the 0.5% and 1% SPA0355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PA0355 inhibits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suggests its potential as a therapeutic agent for periodontitis.

Effects of Sea Buckthorn and Boswellia Extracts in Inflammatory Orofacial Pain by Xerostomia in Rats

  • Choi, Ja-Hyeong;Kim, Tae-Heon;Lee, Min-Ky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8
    • /
    • 2019
  • Xerostomia due to the subjective dry mouth feeling that may occur even when the salivary gland function reduction is not objectively confi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dry mouth is more sensitive to pain in the oral facial area, which is the main cause of dental problems. The natural products used in this study are Boswellia serrata and seabuckthorn, Both natural substances are known as a representative antioxidant substance rich in vitamins. 4-DAMP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the experimental animals, and 5% formalin was injected into the face to observe the change of inflammatory pain. Boswellia (15, 30 mg/kg) or seabuckthorn (150, 30 mg/kg, 5 mg/kg) after formalin infusion, As a result, pain respons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drug-infused group compared to the formalin-infused group (*P<0.05). It was also found that the two drugs were more effective when administered together.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 that natural extract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for the control of oral facial inflammatory pain.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in Patients with Non-syndromic Cleft Lip with or without Cleft Palate

  • Jisu Oh;Soyeon Bak;Hyeonheon Lee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6-7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dental anomalies in the permanent teeth of patients with non-syndromic cleft lip with or without cleft palate. Additionally, it aimed to compare differences in dental anomalies between cleft and non-cleft areas, considering gender and cleft phenotype. Panoramic radiographs of 164 patients diagnosed with non-syndromic orofacial cleft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y a single examiner to confirm dental anomalies. The dental anomalies investigated included tooth agenesis, supernumerary teeth, microdontia, rotation, ectopic eruption, and enamel hypoplasia. Cleft phenotypes were categorized into 7 types based on medical and dental records.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supernumerary teeth was observed in males than females within non-cleft areas (p = 0.017),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dental anomalies. In non-cleft area, patients with cleft palate exhibited a high prevalence of tooth agenesis (p < 0.0001) and microdontia (p = 0.012) compared to other cleft phenotypes. Maxillary incisor rot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adjacent tooth agenesis in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cases (p = 0.034).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dditional subphenotype based on dental anomalies in patients with orofacial cleft may serve as applicable clinical ma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