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obanche coerulescen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울릉도, 독도 초종용에서 형태 변이와 지리적 분포 양상 (Morphological variation and aspects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Orobanchaceae) on Ulleung-do and Dok-do Islands)

  • 이웅;정금선;최경;김진석;조성호;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5-412
    • /
    • 2016
  • 한국내의 초종용은 한반도의 서해, 남해, 동해의 해안가 및 도서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울릉도와 독도를 중심으로 12개 자생지에서 초종용의 종내 형태형질 변이를 관찰하고 지리적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외부 형질(줄기, 잎, 포엽, 꽃받침 그리고 화관)에서 털의 유무에 의하여 두 개의 type (G-type, glabrous; P-type, pilose)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두 개의 형태학적 type은 확인된 자생지에서 뚜렷한 지리적 분포 양상을 보여주었다. 한반도와 제주도에는 P-type, 울릉도에는 G-type과 P-type 그리고 독도의 동도에는 G-type만이 관찰되었다. 초종용은 외부 형태 형질에 의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type이 확인되고 뚜렷한 지리적 분포 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털이 없어지는 형태적 변이가 단순히 일시적인 우연의 결과물이 아니라 초종용 내에 이주 및 군체 형성의 과정을 동반하는 진화적으로 서로 다른 계통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제한된 지역에서 분포하는 독도의 초종용은 유일하게 G-type 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독도 자생종의 의미와 함께 중요한 식물지리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생지 보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독도 유관속 식물상과 종조성 분석 (The Analysis of Vascular Plant Species Composition in Dok-do Island)

  • 이돈화;조성호;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45-563
    • /
    • 2007
  •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독도의 유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독도에서는 26과 44속 46종 1아종 1변종으로 총 48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양치식물 1분류군, 쌍자엽식물 36분류군, 단자엽식물 11분류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종인 초종용(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과 IV등급종인 왕호장근[Fallopia sachalinensis (F.Schmidt) RonseDecr.],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 섬초롱꽃(Campanula takesimana Nakai), 왕김의털(Festuca rubra L.)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재된 종으로는 곰솔(Pinus thunbergii Parl.),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무궁화(Hibiscus syriacus L.) 등이 있다. 분류학적으로 실체가 의심되는 종(species)으로는 가는명아주(Chenopodium virgatum Thunb.), 돌피[Echinochlca crusgalli (L.) P.Beauv.]로써 각각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물피[Echinochloa crusgalli var. oryzicola (Vasinger) Ohwi]와 구분되는 형질을 공유하거나 불분명하여 동정에 있어서 혼란이 야기된다. 종유입 방법별로는 풍산포(anemochore) 31분류군, 동물산포(zoochore) 8분류군, 해류산포 (hydrochore) 2분류군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외의 종들은 인위적 수단에 의하여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태안군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 Gun)

  • 송호경;박관수;박혜림;서은경;소순구;김무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9-6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il properties, ordination, and vegetation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Gun. 1. The Orobanche coerulescens and Ixeris repens that are a peculiar species were found in Sinduri coastal sand dune and the Salix purpurea var. japonica that is an endemic species of korea was found in that place. The plant communities was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such as Rosa rugosa community, Vitex rotundifolia communit, Carex kobomugi community, Imperata cyl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Carex pumila community,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and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2. The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concentration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were lower in the study sites than in forest soil of seashor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il exchangeable Ca, Mg, and K concentrations between in the study site and in the forest soil of seashore. The soil pH was ranged from 5.69 to 7.63. The soil texture in the study site was sand or loamy sand. 3.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nduri coastal sand dune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 are as follows; the soil pH was the most effect to the community distribution, and CEC, total nitrogen, soil organic matter, and the amount of silt in soil have some correlation with community distribution. 4.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nduri coastal sand dune community and soi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the Calamagrostis epigeios community was found in area that have high soil moisture content; the Rosa rugosa community was found in area that have high soil CEC,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low soil pH; the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Carex kobomugi community, and Artemisia capillaris community were found in area that have low soil CEC,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high soil pH; the Imperata cyl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and Carex pumila community were found in area that have medium soil CEC,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and soil 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