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gin Evolution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5초

중력 및 자력탐사에 의한 옥천대 남서부의 지하 지질구조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Ogcheon Zone by Gravity and Magnetic Surveys)

  • 김성균;오진용;안건상;김용준
    • 지질공학
    • /
    • 제8권3호
    • /
    • pp.285-296
    • /
    • 1998
  • 옥천대의 심부 지질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옥천대 서남단의 주요 구조선과 대체로 직교 하는 70km의 측선을 따라 중력과 자력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측선을 포함하는 옥천대 서남부에 대한 최근의 암석학적 및 지화학적 연구성과를 요약하였다. 중력과 자력 측정치들을 보정하여 각각 부게이상과 총자기이상을 구했다. 중력과 자력이상은 옥천대 남쪽 경계인 장흥부근에서 급격히 변화한다. 이러한 부게이상의 급격한 증가는 선 캠브리아 편마암류와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중성 심성암류와의 사이에 상당히 큰 변위를 가진 심부의 정단층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 단층은 옥천대의 형성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 단층으로 사료된다. 한편 중력이상과 자력이상의 근원이 같다는 가정아래 중력이상으로부터 가상의 자력이상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자력이상은 측선상의 50km 부근(장흥근처)까지는 대체로 중력이상과 일치하나, 그 이후에는 완전히 반대의 상관을 보여준다. 끝으로 잔여 부게이상을 만족하는 지하구조가 시행착오적인 순해법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여기서 초기모델은 지표지질과 역해법의 결과로부터 주어졌다.

  • PDF

전라남도 해남과 무안의 풀무치 개체군에 대한 마이토콘드리아 NADH dehydrogenase subunit 들을 이용한 계통분석 (Phylogenic Analysis of Locusta migratoria (Orthoptera: Acridae) in Haenam-gun and Muan-gun, Jeollanam-do, Korea Using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subunits)

  • 이관석;김영하;정진교;고영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71-376
    • /
    • 2017
  • 풀무치의 전국적인 발생현황 및 밀도조사의 결과, 한국에서는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과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간척지에서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밀도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우리는 두 지점에서 발생하는 풀무치의 기원을 알아내기 위하여 NADH dehydrogenase subunit (NAD) 2, NAD4 와 NAD5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남풀무치의 경우는 중국동북부의 Liaoning성 과 Heilongjiang성 개체군과 기원이 비슷하고, 무안풀무치의 경우는 일본풀무치와 기원이 비슷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전의 전 세계적인 풀무치의 진화에 관한 연구에서 한국의 풀무치가 포함이 되지 않아서 한반도 풀무치의 기원은 알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북동부 지방에서 8만 년 전에 분리된 풀무치 중 일부가 한반도로 이동을 하여 해남 지역에 정착을 하고 일부는 러시아 사할린과 일본 홋카이도섬을 거쳐서 무안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로 내려온 풀무치가 해남과 무안계통으로 분리된 후 일본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숭례문 육축 구성석재의 암석학적 분류와 원산지 해석 (Petrological Classification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ungnyemun Stone Block Foundation, Korea PDF icon)

  • 조영훈;이찬희;유지현;강명규;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174-193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숭례문 육축 구성석재의 재질분석을 통해 암석분포와 점유율을 살펴보고, 각 암종들의 원산지를 추적하여 운반경로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숭례문 육축의 구부재는 담홍색(56.0%), 진홍색(4.5%) 및 우백질화강암(26.2%)으로, 신부재(13.3%)는 모두 담홍색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암석들의 조성광물은 모두 석영, 알칼리장석, 사장석 및 흑운모로 구성되어 있고, 주성분, 희토류, 호정 및 불호정 원소의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이 유사한 것으로 보아 동일 종류의 마그마에서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암대자율 측정 결과, 구부재의 담홍색 및 진홍색화강암과 신부재의 담홍색화강암은 4.00(${\times}10^{-3}SI\;unit$)을 중심으로 정규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구부재의 우백질화강암은 모두 1.00(${\times}10^{-3}SI\;unit$) 미만의 티탄철석 계열로 확인되었다. 암석학적 결과를 토대로 원산지 및 운반경로를 해석한 결과, 구부재의 담홍색화강암은 남산의 북사면과 낙산으로 추정되며, 진홍색화강암은 낙산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구부재의 우백질화강암은 남산 전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신부재의 담홍색화강암은 과거 창신동 채석장이 있었던 낙산으로 판단된다.

광승리 연안의 연안범람기원퇴적층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 퇴적물의 매몰연대와 화학분석을 기반으로 - (A Study on the Forming and Evolution of Coastal Flood Origin Deposits at Gwangseungri Coast - Based on Burial Age and Chemical Analysis -)

  • 신원정;양동윤;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1-87
    • /
    • 2018
  • As part of further study on Gwangseungri coastal deposits which occurred at 10 ~ 15m above sea level and was analyzed as palaeo-coastal flood-type sediments, six burial ages of six additional samples from the two cross sections (KST1 and, KST2) near to the points of the past study were estimated and the ge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cross section KST1 revealed a reversal of the burial age at the bottom of the section which was identified as palaeo-flooding sediments and supposed to have been buried about 350 years ago. At the lower part of the KST1, the burial age of the sediment layer was estimated to be 3,800 years. The lower part of KST2 sediments was identified as sediments that was formed about 6,600 years ago and about 20,000 years ago. Considering the inclination of the sediment layers, the coastal flooding sedimentsreported to have formed 700 years ago in the previousstudy are located at the top and the KST1 section analyzed in thisstudy seem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art. The 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layers was not continuous but had a discontinuous characteristic influenced by a specific event,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also showed a rapid change. If we judge these together, the lowest part of Gwangseungrisediment layerseemed to have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but it was hard to find its origins clearly. On top of this layer, a fine sediment layer containing gravels was also formed.Itseemed thatsedimentation did not occur continuously, but was affected by temporary events in such a way that after a sediment layer was formed, it stopped. Since then, a coastal flooding event occurred about 700 years ago, and part of flooded sediments accumulated in the rear slope. After that, when a flood layer including additional granular materials about 350 years ago was formed, sedimentation along the slope seemed to have occurred.

Mitochondrial DNA variation and phylogeography of Old World camels

  • Ming, Liang;Siren, Dalai;Yi, Li;Hai, Le;He, Jing;Ji, Rimutu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4호
    • /
    • pp.525-532
    • /
    • 2021
  • Objective: Old World camels are a valuable genetic resource for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due to their adaptation to the desert environment. At present, Old World camels have encountered the challenge of unprecedented loss of genetic resources. Through our research, we would reveal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genetic variation in Old World camel populations, which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germplasm resources and origin and evolution of different Old World camel populations.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mtDNA control region sequences of 182 individuals from Old World camels to unravel genetic diversity, phylogeography, and demographic dynamics. Results: Thirty-two haplotypes confirmed by 54 polymorphic sites were identified in the 156 sequences, which included 129 domestic and 27 wild Bactrian camels. Meanwhile, 14 haplotypes were defined by 47 polymorphic sites from 26 sequences in the dromedaries. The wild Bactrian camel population showed the lowest haplotype and nucleotide diversity, while the dromedaries investigated had the highest. The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s that there are several shared haplotypes in different Bactrian camel populations, and that there has been genetic introgression between domestic Bactrian camels and dromedaries. In addition, positive values of Tajima's D and Fu's Fs test demonstrated a decrease in population size and/or balancing selection in the wild Bactrian camel population. In contrast, the negative values of Tajima's D and Fu's Fs test in East Asian Bactrian camel populations explained the demographic expansion and/or positive selection. Conclusion: In summary, we report novel information regarding the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structure and demographic dynamics of Old World camels.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reveal that abundant genetic diversity occurs in domestic Bactrian camel populations and dromedaries, while there are low levels of haplotype and nucleotide diversity in the wild Bactrian camel population.

Phylogenetic and expression analysis of the angiopoietin-like gene family and their role in lipid metabolism in pigs

  • Zibin Zheng;Wentao Lyu;Qihua Hong;Hua Yang;Ying Li;Shengjun Zhao;Ying Ren;Yingping Xia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0호
    • /
    • pp.1517-1529
    • /
    • 2023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logenetic and expression analysis of the angiopoietin-like (ANGPTL) gene family and their role in lipid metabolism in pigs. Methods: In this study, the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phylogenetic analysis, and chromosome adjacent gene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ANGPTL gene family in pigs. According to the body weight data from 60 Jinhua pigs, different tissues of 6 pigs with average body weight were us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profile of ANGPTL1-8. The ileum, subcutaneous fat, and liver of 8 pigs with distinct fatnes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gene expression of ANGPTL3, ANGPTL4, and ANGPTL8. Results: The sequence length of ANGPTLs in pigs was between 1,186 and 1,991 bp, and the pig ANGPTL family members shared common features with human homologous genes, including the high similarity of the amino acid sequence and chromosome flanking genes.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ANGPTL1-7 had a highly conserved domain except for ANGPTL8.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each ANGPTL homologous gene shared a common origin. Quantitativ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showed that ANGPTL family members had different expression patterns in different tissues. ANGPTL3 and ANGPTL8 were mainly expressed in the liver, while ANGPTL4 was expressed in many other tissues, such as the intestine and subcutaneous fat. The expression levels of ANGPTL3 in the liver and ANGPTL4 in the liver, intestine and subcutaneous fat of Jinhua pigs with low propensity for adipogenesi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igh propensity for adipogenesis. Conclusion: These results increase our knowledge about the biological role of the ANGPTL family in this important economic species, it will also help to better understand the role of ANGPTL3, ANGPTL4, and ANGPTL8 in lipid metabolism of pigs, and provide innovative idea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meat quality of pigs.

강원도 고성 일대의 지형 경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andforms in Gosung, Gangwon province)

  • 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5-81
    • /
    • 2011
  • 강원도 고성 일대의 제3기 현무암 분포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지형경관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 지역은 화강암 풍화대가 형성되는 과정 또는 형성된 후 화산 활동으로 현무암이 분출된 지역으로 두 암석의 특성과 지형 발달 과정에서의 특징에 따라 서로 다른 지형 경관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고성 일대의 지형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특히 화산활동의 결과로 나타난 현무암 지형과 화강암 풍화 이후의 풍화 산물 탈거로 인한 지형 발달 과정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송지호 인근의 지역인 오음산 지역의 경우 산정부가 현무암에 의해서 피복되면서 상대적으로 평탄한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산록은 주로 화강암으로 풍화대와 풍화 잔류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기반암 사이의 경계는 현무암의 단애 또는 풍화산물이 얇게 피복된 급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사 결과에 의하면 화강암의 풍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현무암이 피복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오음산과 뒷배재의 경우 현무암의 분출지점이 단일 화구인지 다수의 화구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두지역 모두 현무암의 단애로부터 주상절리의 해체에 의하여 분리된 암괴들은 화강암 풍화산물중심의 산록을 피복하면서 암괴류와 애추사면과 같은 암설사면을 형성하였다. 운봉산에서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암괴들의 장축은 사면의 전반적인 방향과 일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암괴류들의 경우 암괴 자체의 이동보다는 하부의 세립 물질 세탈로 지형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Human Recombinant Apyrase Therapy Protects Against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and Preserves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in Rats, as Evaluated by 7T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 Ziqian Xu;Wei Chen;Ruzhi Zhang;Lei Wang;Ridong Chen;Jie Zheng;Fabao Gao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6호
    • /
    • pp.647-659
    • /
    • 2020
  • Objective: The occurrence of intramyocardial hemorrhage (IMH) and microvascular obstruction (MVO) in myocardial infarction (MI), known as severe ischemia/reperfusion injury (IRI), has been associated with adverse remodeling. APT102, a soluble human recombinant ecto-nucleoside triphosphate diphosphohydrolase-1, can hydrolyze extracellular nucleotides to attenuate their prothrombotic and proinflammatory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mporally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APT102 on IRI in rats and to elucidate the evolution of IRI in the acute stage using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CMRI). Materials and Methods: Fifty-four rats with MI, induced by ligation of the origin of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for 60 minut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APT102 (n = 27) or control (n = 27) group. Intravenous infusion of APT102 (0.3 mg/kg) or placebo was administered 15 minutes before reperfusion, and then 24 hours, 48 hours, 72 hours, and on day 4 after reperfusion. CMRI was performed at 24 hours, 48 hours, 72 hours, and on day 5 post-reperfusion using a 7T system and the hearts were collected f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Cardiac function was quantified using cine imaging and IMH/edema using T2 mapping, and infarct/MVO using late gadolinium enhancement. Results: The extent of infarction (p < 0.001), edema (p < 0.001), IMH (p = 0.013), and MVO (p = 0.049) was less severe in the APT102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MH size at 48 hour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at 24 hours, 72 hours, and 5 days after reperfusion (all p < 0.001).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APT102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06).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VEF and IMH (r = -0.294, p = 0.010)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MH and MVO (r = 0.392, p < 0.001). Conclusion: APT102 can significantly alleviate damage to the ischemic myocardium and microvasculature. IMH size peaked at 48 hours post reperfusion and IMH is a downstream consequence of MVO. IMH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to prevent adverse remodeling in MI.

Bovine mastitis-associated Escherichia coli

  • Hong Qui Le;Se Kye Kim;Jang Won Yoo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1-190
    • /
    • 2024
  • 소 유방염 관련 대장균(BMEC)은 생산되는 우유의 양과 품질을 변화시키고 도태율을 높임으로써 전 세계 낙농 산업에 심각한 재정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주요 원인 물질로 간주된다. 연구자, 수의사, 농부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과 진단 기술을 이해하고 결정하는 것은 젖소 유방염을 극복하는데 중요하다. 특히 무증상 혹은 준임상형 유방염의 경우, 소는 뚜렷한 증상을 보이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겉보기에 정상적인 우유를 계속 분비하여 원인 병원체인 대장균이 무리 내에서 감염을 퍼뜨릴 수 있다. 유방염 예방을 위해서는, 병원균의 유방 내 침입, 감염 확립, 유방의 염증의 3단계 병인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대장균 유방염의 임상적 중증도에 기여하는 독성 인자와 병원성 사이에 명확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제내성 대장균과 새로운 내성 기전의 진화는 유방염 치료에 항생제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BMEC 치료의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체제 발굴이 중요하다. 지난 30년 동안 소 유방염의 역학 조사를 위해 다양한 유전자형 분석 기술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BMEC 계통 간의 진화 관련성 뿐 아니라 기원, 전염 경로, 개체군 구조에 대한 이해를 크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본 리뷰에서는 BMEC의 전반적 개요를 제공하여 병인, 유전적 관계, 발병 기전, 관리 및 질병 통제를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한다.

납 함량에 따른 비정질 Pb-Na 규산염의 원자 구조에 대한 고상 핵자기 공명 분광분석 연구 (Effect of Lead Content on Atomic Structures of Pb-bearing Sodium Silicate Glasses: A View from 29Si NMR Spectroscopy)

  • 이서영;이성근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3호
    • /
    • pp.157-167
    • /
    • 2021
  • 납(lead; Pb)은 지구 형성 초기의 원시 맨틀(primitive mantle)에서부터 현재 지구로의 진화 과정 이해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량 원소 중 하나이다. 납은 지구 내부 및 지각에서 다양한 화성 과정에 수반하는 규산염 광물과 용융체 내에 차별적으로 분배된다. 원소 분배 계수 변화는 규산염 용융체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납이 포함된 규산염 용융체의 자세한 구조를 밝히고, 조성에 따라 변화하는 구조와 특성, 특히 규산염 광물과 용융체 간의 원소 분배 계수와의 관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상 NMR 분광분석을 수행하여 비정질 Pb-Na 규산염의 자세한 원자 구조를 확인하였다. 자연계 마그마 용융체의 모델 시스템으로 납이 포함된 비정질 유리 시료[(PbO)x(Na2O)1-x]·SiO2를 소듐과 납의 단종 Na2SiO3에서 PbSiO3까지 다양한 조성의 비정질을 합성하였으며(x=0, 0.25, 0.33, 0.50, 0.67, 0.86, 1) 납의 함량에 따른 규소 주변 원자 환경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29Si MAS NMR 분광분석을 수행하였다. 29Si MAS NMR 결과 납 함량에 따라 피크의 폭이 넓어지고 피크 최대값의 위치는 -76.2, -77.8, -80.3, -81.5, -84.6, -87.7 ppm으로 이동하였다. 규소와 결합된 연결 산소의 양인 Qn 환경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29Si NMR 스펙트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조성에 따라 NBO/T로 나타낸 중합도가 일정하면서 Qn 환경의 화학적 차폐 이동을 가정한 경우 가우시안 함수의 조합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규소 주변 원자 환경 변화에 기인한 화학적 차폐의 이동이 시사된다. Na2SiO3의 경우 Q2가 지배적으로 존재하며 Q1 및 Q3가 비슷한 비율로 존재하였으나 소듐 대신 납이 포함되면서 Q2가 감소하고 Q1 및 Q3가 증가하면서 Qn 환경의 불균화가 증가하였다. 29Si NMR 스펙트럼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납을 포함한 비정질 규산염에서 조성에 따른 배열 무질서도 및 위상 무질서도 증가를 지시한다. 본 결과로부터 평균 양이온 세기(average cation field strengths)에 따른 불균화 상수(disproportionation factor)의 변화를 정량화하였다. 무질서도의 증가와 비정질의 구조 변화가 납을 포함한 미량 원소의 분배 계수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