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ental persimmon tre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감나무에 기생하는 Cnidocampa flavescens WALKER의 생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bionomics of Oriental moth, Cnidocampa flavescens WALKER, damaging to the persimmon tre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정삼택;이의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39-46
    • /
    • 1965
  • 본문은 1964-'65년에 걸쳐 한국의 남부지방 특히 대구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감나무에 수년전부터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Oriental moth의 생태학적인 사항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수록하였다. (1) Oriental moth의 우화 최성기는 대구지방에서 6월중순경이다. 그리고 산란은 전부 엽이면에 하며 엽상에서도 엽선단부에 대부분 란이 산란되었다. (2) 란기간은 1964년의 평균이 $5.984\pm0.162$일이었고 1965년은 $6.262\pm0.094$ 로서 양년 모두 약 6일간이었다. 그리고 실내 사육실에서 부화율은 1964년이 $84.4\%$였고 1965년이 $96.1\%$었다. (3) 기주식물별 생장률에 있어서 체장생장은 4기주, 감나무, 고욤나무. 네군도단풍. 플라타너스에서 1령충에서 3령충까지는 고욤나무, 감나무, 플라타너스, 네군도단풍의 순위었으나 4령충 부터는 반대로 감나무, 고욤나무, 네군도단풍과 플라타너스의 순위였다. 두폭의 생장률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플라타너스엽을 식이로 한 개체들은 사육 20일 경과 후 전부 사멸하였다. (4) 본충은 1년에 1회 발생하며 탈피회수는 6회이다. 1회탈피는 부화 후 약 5시간 후에 일어나고 2-6회 탈피는 각각 약 7일 간격으로 일어났다. 그리고 최종탈피를 한 후 약 3일 후 Cocoon을 형성하여 월동한다. (5) 유충체상에 있는 침수가 위치별로, 각 령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령의 판정이 가능하다. 특히 L2, D2, D3, D8, D10의 침과 L1, L3, L4, L5, L6, L7의 침은 각 령별로 그 수가 다르므로 침으로 령의 판정이 가능하다. (6) Cocoon내에서 Pupation은 감나무 지상에서 월동을 한 후 이듬해 5월 중순부터 Pupa가 형성되어 우화기인 6월 초순까지 계속된다. (7) 자성충이 체내에 가지고 있는 난수는 평균 1필당 당 $1325.5\pm2.7182$개였다

  • PDF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뉘병원균 Pestalotiopsis theae의 배양적 특성 (Studies on Cultural Characteristics Pestalotiopsis theae causing Leaf Blight on Oriental Persimmon Tree)

  • 장태현;임태헌;정봉구;김병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2-238
    • /
    • 1997
  • 단감나무 둥근 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P. theae, SP2, SP3 및 P. longiseta의 균사 생장과 포자 형성에 미치는 여러 요인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 적온은 $25{\sim}30^{\circ}C$으로 나타났으며, $35^{\circ}C$$0{\sim}8^{\circ}C$에서는 균사 생장 및 포자 형성이 불량하거나 정지되었다.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 최적 pH은 4.5~5.0과 6.0~6.0으로 나타났다. 모든 공시 균은 Leonian, PSA 그리고 오트밀 배지에서 양호한 균사 생육을 보였으며, 포자 형성은 오트밀과 PSA 비재에서 많은 량의 포자를 형성하였으나 대체적으로 PSA 배지에서 많은 량의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원 typtone과 glycine, 탄소원 starch, dextrose, galactose 그리고 lactose 등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좋았다. 또한 질소원 glutamic acid, peptone과 tryptone, 탄소원으로 starch, sucrose와 galactose은 포자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비타민은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양 기간에 따른 배지의 pH 변화에서 배양전 pH 7인 배지는 배양 10일 후에는 SP2, SP3균은 각각 pH 4.5~4.7로 P. theae와 P. longiseta은 각각 5.0~5.4로 낮아졌지만, 배양전 pH가 5.0인 배지는 배양 10일 후에 모든 균이 pH 4.5~4.7로 유지되었다.

  • PDF

김치의 선도유지를 위한 천연보존제의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 문광덕;변정아;김석중;한대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7-263
    • /
    • 1995
  • As a primary step to develop natural preservative for extending the shelf-life of kimchi, the effect of 102 edible plants, 21 antimicrobial agents and related compounds on kimchi fermentation was studied. Among 42 oriental medicinal plants tested, Baical skullcap and Assam indigo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fresh state of kimchi. Although Bugbane, Red mangolia, Bushy sophora, Szechuan pepper, Chinese quince and Scisandre significantly inhibit the growth of Lactobacilli, their effect was not high enough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kimchi preservative. When the effect of 32 herbs and spices was tested, peppermint, cinnamon, lemon balm, clove, hop, rosemary, sage, horseradish and thyme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kimchi microorganisms. Among them, the effect of clove ranked top. When it was added to fresh kimchi, initial cfu value ($2.4{\times}10^{6}cfu/g$) changed little even after 2 day's fermentation ($2.6{\times}10^{6}cfu/g$). Sensory test was not a good criteria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s and spices, since their highly specific flavors affected the taste of kimchies. Twenty eight fruits, vegetables and related plants were tested, but only leaves of pine tree, persimmon and oak leaves showed a significant bactericidal effect, finally contributing to the storage of kimchi. In addition, when 21 natural preservatives and other compounds were added individually to fresh kimchi, nisin and caffeic acid could inhibit fer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