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matter for chinese cabbage and cabbag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5초

Decomposition of Livestock Manure in Soils Cultivated with Chinese Cabbage along an Altitude Gradient

  • Zhang, Yong-Seon;Lee, Gye-Jun;Lee, Jeong-Tae;Sonn, Yeon-Kyu;Yun, Hong-Bae;Kim, Myung-So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03-208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composition of livestock manure in soils cultivated with Chinese cabbage along an alitude gradien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Kangreung (17 m above sea level), Bongpyeong (430 m above sea level), and Daekwanryeong (800 m above the sea level) in order to assess the decomposition rate and accumulations of livestock manures depending on different altitudes. During chinese cabbage cultivation, the decomposition ratios of organic matter derived form livestock manure expressed as % of the initial organic matter content were 42~48% for Kangreung, 26~29% for Bongpyeong and 10~14% for Daekwanryeong. Changes in air temperature with altitude might be a main factor affecting manure decomposition rates.

제주도 화산회토양의 배추와 양배추에 대한 질소의 시비추천식 설정 (Recommendation of Optimum Amount of Fertilizer Nitrogen Based on Soil Organic Matter for Chinese Cabbage and Cabbage in Volcanic Ash Soils of Cheju Island)

  • 송요성;곽한강;연병열;이춘수;윤정희;문두영;이신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11
    • /
    • 2002
  • 현재 채소류에 대한 질소시비량 추천식은 육지부토양에서 시험한결과를 이용하여 설정된 것으로 이를 화산회토양에서도 활용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검토하기위하여 제주도 토양을 중심으로 1999년에는 pot와 2000년에는 포장에서 몇개의 질소시비량수준을 두고 배추를 재배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ot와 포장시험에서 배추의 질소 최고시비량은 $294{\sim}331kg\;ha^{-1}$이었고 토양의 유기물함량과 최고시비량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화산회토양에 알맞는 새로 질소시 비량 추천식을 설정하였다. 2. 배추의 질소시비량시험을 통한 화산회토의 실제 질소시비적량은 기존의 추천식을 이용한 시비량과는 큰차이를 보였고 개선된 질소시비 추천식으로부터 산출된 질소 시비량과는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3. 수화기 T-N 함량 및 질소흡수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질소이용 율은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화산회토양에서 재배하는 양배추 대한 토양유기물함량에 따른 질소 시비량은 배추대비 질소흡수량을 흡수량비교 계수로 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배추의 새로운 질소시비 추천식을 도출하였다.

The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and Livestock Manure on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glabra) Growth

  • Lee, Young Don;Yoo, Jae Hong;Joo, Jin 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47-553
    • /
    • 2017
  • Treatment of food waste is becoming a big issue due to their significant quantities. Composting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food waste management which could be used as soil conditioner or fertilizer with little concerns about heavy metals and pathoge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ood waste on Chinese cabbage growth and soil properties. 9 different treatments (two livestock manures, two food wastes, two livestock manures + chemical fertilizer, two food wastes + chemical fertilizer, and control) were applied to Chinese cabbage. All treatments were carried out in 3 replicates. We measured leaf length, leaf width, fresh weight, dry weight, and leaf greenness of Chinese cabbage. Treatment of one of food waste composts significantly increased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Chinese cabbage by 28.6, 26.6, 67.7, and 59.9%,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those of control,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leaf greenness were shown. Application of food waste compost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 of EC, available $P_2O_5$, CEC,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s. However,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reduce NaCl content of food waste.

불수 sludge 시용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Sewage Sludge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Brassica campestris L.) and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 김수영;조경철;정순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73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wage sludge application on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and the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of soil. The experiment were set up with two different place and cultivated from Feb. 10 to June. 20 of 2000. Treatments are 0, 1.25, 2.5, 5, 10 and 20kg/3.3$\m^2$ of sewage sludge applicated into the soil and record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also analys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application of the sewage sludge resulted in increasing the content of EC, cations exchange capacity, available phosphate and organic matter. And increas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number of leaves, leaf area, fresh and dry weight regardless of crops experiments. Optimum amount of the sewage sludge depended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used. This results demonstrated that application of sewage sludge in the soil attribute to have play an important both improving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romoting the crop growth. As lowering the soil pH(pH 6) heavy metal content increased compared with higher pH(pH 7). Feasibility was recognized in the application of sewage sludge as a fertilizer for the growth of chinese cabbage. Detrimental effects such as heavy metal in the soil and crop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sewage sludge was not observed.

  • PDF

동계호밀재배가 고랭지 밭토양의 비옥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inter Rye Cultivation to Improve Soil Fertility and Crop production in Alpine Upland in Korea)

  • 장용선;이계준;주진호;이정태;안재훈;박철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0-305
    • /
    • 2007
  • 고랭지 밭토양의 동계 피복작물재배에 따른 밭토양의 지력증진과 증수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랭지의 주요 재배작물인 감자와 배추를 대상으로 고랭지 농업지대에 적합한 동계 피복작물을 선발하고, 피복작물재배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고랭지 작물의 생산성 및 병해발생 정도를 작부체계와 연계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고랭지에서 월동성이 가장 우수한 피복작물은 17개 시험초종 중 호밀이었으며, 호밀의 적정 파종기는8월 하순부터 9월 하순으로 10월 상순 서리가 내리기 이전까지는 파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토양의 물리-화학성은 윤작과 동계 호밀재배로 토양 공극 및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윤작보다 동계호밀재배에 의한 토양 물리성 개선 및 토양 화학성분의 함량증가가 현저하였다. 고랭지 감자와 배추에 대하여 매년 윤작으로 작부체계를 검토한 결과 동계호밀재배는 나지에 비하여 작부체계와 관계없이 수량은 $6{\sim}8%$증가하였다. 동계 호밀재배에 의한 토양관리 방법은 토양유실 방지효과와 더불어 감자의 수확량 증대, 감자의 병해 발생률을 감소시키므로 우량 씨감자 생산을 위한 새로운 농업기술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계분퇴비와 천연무기질 자재를 활용한 고랭지배추 비가림 유기재배 시 시용질소의 이용률과 배추의 생육 (Growth of Korean Kimchi Cabbage and Nitrogen Availability of Fertilizer in Organic Farming with Poultry Manure Compost and Natural Mineral Materials in Highland Rainshelter Cultivation)

  • 김기덕;권영석;유동림;이종남;서종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78
    • /
    • 2013
  • 비가림하우스에서 고랭지배추 유기재배 시 시용량 및 토양비옥도에 따른 시용질소의 이용률과 배추의 수량성을 검토하였다. 무비구에서의 구중은 사양토 토양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비옥도가 낮은 사양토에 비해 비옥도가 높은 식양토에서 높았다. 시비량에 따른 구중의 변화는 비옥도가 높은 식양토에 비해 비옥도가 낮은 사양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질소이용률은 토양의 비옥도가 높고,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았다. 질소함량 1%의 사양토에서도 계분퇴비 2톤/10a과 표준시비량 수준의 천연무기질자재의 시용으로 질소함량 6%의 식양토의 약 90% 수준의 수량을 나타냈다. 질소, 인산, 및 칼리질 천연광물자원인 구아노, 인광석 및 황산가리고토 등은 친환경 자재로서 균형적 시비를 꾀하는 유기재배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버섯폐배지를 재활용한 원예용 상토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Media using Recyled Used-mushroom-media)

  • 김창호;오태석;신동국;조용구;김영운;안승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3-312
    • /
    • 2014
  • As for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ed media waste, the total content of nitrogen, phosphoric acid, and potassium was 6.93%; organic matter content was 67.78%; pH and EC were 7.20 and 1.46 ds/m, respectively. Organic acids identified during stabilization included citr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and acetic acid, which was highest. During the stabilization of cultivated media waste, temperature decreased and pH increased on the 15th day, and the germination index was 88 after the period, indicating that at least 15 days of stabilization is needed when cultivated media waste is used for growth material of crop. As for germination characteristics, when the mixture rate of cultivated media waste was 20% and under, germination of cucumber and oriental melon was favorable withou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For lettuce and Chinese cabbag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hen the rate was 10% and under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As for seedling quality after 20 days of sowing, cucumber, oriental melon, and Chinese cabbage showed favorable growth only when the mixture rate of cultivated media waste was 10% and under; lettuce showed lower growth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mixture rat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Cultivated media waste may be significantly useful for cucumber and oriental melon, but not for Chinese cabbage and lettuce.

계분퇴비 시용시 고랭지 배추에 대한 질소 시비량 결정 (Determination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 for Chinese Cabbage with Application of Poultry Manure Compost in Highland)

  • 이춘수;신관용;이정태;이계준;안재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80-289
    • /
    • 2003
  • 표고 750 m인 고랭지 사질양토에서 계분퇴비(N 2.0%, $P_2O_5$ 3.5%)를 $6Mg\;ha^{-1}$ 시용한 조건에서 여름배추에 대한 질소 시비 추천모델의 설정과 추천모델에 의한 질소 비료의 절감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질소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계분퇴비 시용 시 최고수량 생산을 위한 질소 최고시비량은 $291kg\;ha^{-1}$이었으며 안전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74kg\;ha^{-1}$로 나타났다. 이러한 질소 시비수준은 계분퇴비 무시용 시의 최고시비량인 $335kg\;ha^{-1}$에 비하여 각각 0.87 및 0.60배에 해당한다. 산출된 시비배율을 현행 평난지 조건의 시비추천식에 대입하여 고랭지조건에 적합한 새로운 시비추천식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고랭지 배추재배지의 평균 유기물 함량인 $33g\;kg^{-1}$을 적용해 보면, 계분퇴비 시용 시 질소 시비량은 최고 $215kg\;ha^{-1}$, 최저 $129kg\;ha^{-1}$로 현행 시비량에 비해 최고 59.7%, 최저 32.8%의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분퇴비 시용 시 최고수량을 생산한 질소 시비구에서는 계분퇴비 무시용구에 비하여 결구기와 수확기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과 수확기 배추 경엽의 질소, 인산 및 칼리 함량과 이들의 흡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질소 이용률을 10% 이상 높일 수 있었다.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의 시용(施用)이 옥수수 및 배추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Granulated with Slurry of Glutamate Fermentation Residue on Corn and Chinese Cabbage)

  • 임선욱;오재섭;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6-161
    • /
    • 1983
  • 구르타민산(酸)소-다를 발효법(醱酵法)으로 제조(製造)할 때 부생(副生)되는 잔사(殘渣)를 가공(加工)하여 만든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의 비효 및 시비(施肥) 한계량(限界量)을 구명(究明)코저 옥수수 및 배추를 사용(使用)하여 포장(圃場)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의 시용(施用)은 옥수수 및 배추의 수량(收量)을 증가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2. 작물별(作物別)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을 일반(一般) 화학비료(化學肥料)로 준 다음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를 10a당 300kg추가(追加) 시용시(施用時) 비해작용(肥害作用)이 옥수수에서는 없었으나 배추에서는 있었다. 3.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의 시용(施用)으로 옥수수에서는 식물체중 전당(全糖)의 흡수량(吸收量)이 증가되는 경향(傾向)이었고, 배추에서는 엽중(葉中) Vitamin C의 농도(濃度)가 증가되었다. 4.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의 시용(施用)으로 토양중(土壤中)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다소(多少) 증가되는 경우(境遇)도 있었으나 그 경향(傾向)은 일정(一定)치 않았다. 5. 유기질(有機質) 특수비료(特殊肥料)의 시용량(施用量) 증가로 토양을 산성화(酸性化)시키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이러한 경향(傾向)은 옥수수재배지(栽培地) 토양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 PDF

Nitrous Oxide Emission from Livestock Compost applied Arable Land in Gangwon-do

  • Seo, Young-Ho;Kim, Se-Won;Choi, Seung-Chul;Jeong, Byeong-Chan;Jung, Yeong-Sa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5-29
    • /
    • 2012
  • Agriculture activities account for 58% of total anthropogenic emissions of nitrous oxide ($N_2O$) with global warming potential of 298 times as compared to carbon dioxide ($CO_2$) on molecule to molecule basis. Quantifying $N_2O$ from managed soil is essential to develop national inventories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N_2O$ emission from livestock compost applied arable land with that for fertilizer trea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years by cultivating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L.) in Chuncheon, Gangwon-do. Accumulated $N_2O$ emission during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after applying livestock compost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for chemical fertilizer. Slightly greater $N_2O$ emission factor for livestock compost was observed than that for chemical fertilizer possibly due to lump application of livestock compost before crop cultivation compared with split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and enhanced denitrification activity through increased carbon availability by organic matter in livestock com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