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Extract

검색결과 962건 처리시간 0.023초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고추냉이로부터 휘발성 Isothiocyanates류 추출 및 동정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Volatile Isothiocyanates from Wasabi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성진;이민경;백성신;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74-178
    • /
    • 2007
  • 본 연구는 고추냉이로부터 항균활성을 가지는 휘발성황 화합물인 AITC를 중점으로 ITCs 류를 $SCO_2$를 이용한 추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semi-continuous flow 추출장치를 이용해 AITC를 추출한 결과 기존의 에테르나 에탄올 등 유기용매와 비교 시 7.9 AITC (mg)/sample (g)가 추출되어 비슷한 추출율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시 문제가 되는 용매회수와 잔존유기용매에 의한 독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추출법으로써 $SCO_2$추출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AITC의 $SCO_2$ 추출 시 잎과 줄기에서는 40$^{\circ}C$, 80 bar의 조건에서 가장 많은 량이 추출되었으며, 뿌리에서는 40$^{\circ}C$, 120 bar에서 가장 많은 추출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시간의 경우 유기용매 추출과 비교했을 때 추출시간을 줄일 수 있어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좋은 추출방법이다.

감초 추출물로 재배한 콩나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Cultivated with Extract of Korean Glycyrrhiza glabra)

  • 최상도;김윤희;남상해;손미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4-178
    • /
    • 2002
  • 감초추출물의 농도를 100 ppm, 200 ppm, 300 ppm and 400 ppm로 조절하여 콩을 발아시켜 재배한 콩나물의 아미노산, 유기산 및 유리당 함량을 재배 2일, 3일 및 4일째에 분석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0 ppm에서 3일간 재배하였을 때가 가장 높았고, 또한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aspartic acid 함량은 증가하지만, glutamic acid 함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당은 GGE 콩나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러나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그 함량은 많아졌다 Sucrose함량은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감소하였으나, 다른 유리당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총 유기산은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200 ppm으로 재배한 콩나물이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감초추출물은 콩나물의 품질증진을 위한 아미노산 및 유기산 함량을 증가시키는 발아 및 재배수로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Calocybe indica의 배양적 특성과 균사 배양 적합 조건 설정 (Cultur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of Calocybe indica)

  • 민경진;박혜성;이은지;이찬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3-28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C. indica 자실체의 안정적인 대량생산에 기반이 되는 필수적인 균사체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구명 하고자하였다. C. indica 균사체의 효율적 배양을 위한 조건은 최적 배양 온도 30-32℃, pH 6.0, 탄소원 maltose 2%, 유기질소원 yeast extract 1%, 무기질소원 NaNO3 0.1%, 아미노산 asparagine 0.7%, 유기산 acetic acid 0.1%, 무기염류 MnSO4 0.7 mM가 최적 배양조건 이었다. 새로이 MYNA로 명명한 C. indica의 최적 배지는 기존의 PDA 배지보다 균사의 생장이 균일하고, PDA 배지의 배양기간과 비교하였을 때 10.5% 단축하는 효과가 있었다. MYNA 배지는 추후 C. indica의 재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품부산물로부터 유기산의 대량생산공정에 관한 연구 -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의 발효 특성 - (Production of Organic Acids from Food By-Products -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

  • 진선자;주윤상;황필기;최철호;이의상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78-483
    • /
    • 2004
  • 본 연구를 통하여 유기산 생산을 위한 본 연구를 통하여 유기산 생산을 위한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의 발효 특성을 규명하여 보았다. P. acidipropionici ATCC 25562, 4875, 및 4965 등 세 균주를 선별하여 발효 실험에 의한 최적 성장조건을 규명한 결과, peptone $1.5\%$ (w/v), yeast extract $0.75\%$ (w/v)에서 유기산 생산성이 최대로 나타났다. 또한 주어진 영양 조건에서 온도, pH 등 환경을 제어하며 회분식 발효를 실시한 결과 세 균주 모두 pH 6.0에서 유기산 수율과 생산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P acidipropionci ATCC 4965 균주가 유기산 생산성이 0.29 g total acids/L/h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세 균주의 화학양론적인 유기산 생산비를 비교해본 결과 1.5몰의 글루코오스로부터 $1.60{\sim}2.34$몰의 프로피온산과 $0.74{\sim}1.05$몰의 초산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 강황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Curcumin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3-401
    • /
    • 2011
  • Natural Curcumin belongs to Zingiber Officinale Roscoe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natural taste, natural color, and other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Natural Curcumin extract was made to use ethanol as a solvent was to show a yellow color having state of solid powder and an active component. Natural Curcumin extract tested pharmaceutical & chemical experiment to dilute in curcumin 1%-water solution. Curcumin extract tested antimicrobial experiment using microbe, and tested dye experiment using fiber. Some conclusions in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experiment was obtained as follow.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showed that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001) and aspergillus niger (ATCC-002) as microbes decreased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Curcumin compoment showed influence to antimicrobial effect. Also, the result of dye experiment showed that cotton and sick with fiber dyeing dyed in direction of dark yellow color.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Curcumin extract showed influence to dyeing effect in observation of optical electron microscope(OEM.) The result of instrument analysis ascertained inorganic components of K(53.300ppm), Na(1.150ppm), Ca(0.711ppm), Ti(0.351ppm), Li(0.256ppm), Cu(0.233ppm) etcs from Curcumin component with ICP/OES, and ascertained organic components of propanoic acid(1.859), benzene(10.814), phenol(14.194) etcs from Curcumin component with GC/MSD.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Zostera marina L. Extract

  • Choi, Han-Gil;Lee, Ji-Hee;Park, Hyang-Ha;Sayegh, Fotoon A.Q.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79-184
    • /
    • 2009
  • Methanol crude extract of the sea grass Zostera marina L. and organic solvent fractions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were screened for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s,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an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ree human skin pathogens, two bacteria and a yeast;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Candida albicans. Total phenolic contents and 2, 2- 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with 968.50 $\mu$g gallic acid equivalent per milligram of extract, and ca. 95% scavenging activity on the DPPH radicals at 10 mg $ml^{-1}$. In antimicrobial activity tests, MICs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each Zostera marina extract partitioned ranged from 1mg to 8 mg $ml^{-1}$ (extract/ 10% DMSO) against all three human skin pathogens. The MICs of the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were the same with 1 mg $ml^{-1}$ against S. aureus and C. albica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Z. marina does protect against free radicals and may be used to inhibit the growth of human skin pathogens.

한방 소갈약 추출물의 혼합물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the Extract Complex of Korean Anti-thirst Herb Medicines)

  • 박건영;정근옥;이경태;최종원;정현주;박희준
    • 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52-357
    • /
    • 2002
  • The three crude drugs of the Kalopanax pictus (Araliaceae) roots (K), Pueraria thunbergiana (Leguminosae) flowers (P), and the Rhus verniciflua (Anacardiaceae) heartwood(R) used for anti-thirst drugs in Oriental herb medicine were extracted with MeOH, respectively, and the successive fractionation of the extract gave EtOAc extract. Certain amount ratios of the three extracts were also prepared to compare the antimutagenicity in Ames test. In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0.4 (g/plate)-induced test, the activities of complex mixture were observed between the highest antimutagenic activity of K extract and the lowest P extract. In aflatoxin (AFB$_1$)-induced test, the EtOAc complex (K : P : R=l : 1 : 3) labeled E-113 decreased the revertants of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by 95%, which activity were highest among other extracts or complexes mixture used. Fractionation of organic solvent mostly increased the antimutagenicity. These trends were also observed in the antimutagenicity test of the mixture of each active component of kalopanaxsaponin A, tectorigenin and sulfuretin.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many kinds of anti-thirst herb medicine in the prescription could effectively prevent cancer disease.

커피박 퇴비 추출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 검정 (The Antifungal Activity of Coffee Ground Compost Extract against Plant Pathogens)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한은정;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85-9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커피박 퇴비를 개발하고자 커피박과 커피박 퇴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커피전문점의 커피박 pH, EC, Zn 함량이 상업용 커피박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K_2O$, CaO, MgO, $Na_2O$, M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주요 식물병원균 6종(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Alternaria alternata, and Botrytis cinerea)에 대한 커피전문점과 상업용 커피박 퇴비의 수용성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공시한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커피박 추출물의 A. altanata 포자발아 억제 및 P. capsici 유주자낭 형성 억제효과를 조사 한 결과, 10% 깻묵+커피박 퇴비 수용성 추출물이 A. altanata의 분생포자 발아관의 신장과 P. capsici의 유주자낭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커피박 퇴비의 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커피박을 90일간 부숙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부숙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 깻묵+커피박 퇴비에서 90일째에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인 평균 $0.35{\pm}0.03mg\;GAE/g$로 나타냈다.

포도재배를 위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엽면시비 효과 (Foliar Fertilization Effect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Agricultural Materials for Grape Cultivation)

  • 문영훈;안병구;정성수;이진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60-763
    • /
    • 2012
  • 친환경 포도재배를 위하여 농가에서 용이하게 구입 및 제조가 가능한 유기농자재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 사용한 농자재의 pH는 4.6이하였고, 아미노산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비료성분을 함유하였다. 포도수확기 토양의 pH는 시험초기 (농자재 처리 전)와 비교할 때 감소하였고, EC와 유기물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효인산은 대조구 (관행처리)를 제외하고 증가하였다. 치환성 K는 은행잎추출액 처리구와 대조구, 치환성 Ca는 무처리구와 아미노산용액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치환성 Mg는 모든 농자재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포도 잎의 질소 (N) 함량은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P는 chitosan, 목초액 및 아미노산액 처리구, K는 chitosan과 아미노산액 처리구, Ca은 chitosan 처리구, Mg 함량은 아미노산액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 수량은 목초액 처리구와 대조구에서 $1,581{\sim}1,583kg\;10^{-1}$로 가장 많았고, 당도는 무처리구를 제외하고 같은 수준을 보였다.

오미갈수(五味渴水)의 전통적 조리법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the Recipe for the Korean Traditional Drink "Omigalsu")

  • 한은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0-331
    • /
    • 2013
  • Omija, the major material of omigalsu, has liver protective and antioxidant effects, while mung bean has detoxification effects. A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traditional recipe for omigalsu to develop traditional functional drinks made from Omija extract and mung bean juice. Study 1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Omija extraction and mung bean juice. A higher water temperature and longer immersion time was associated with higher, free sugar and organic acid contents of omija extract; however,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highest acceptability, proper taste and red tone were $23^{\circ}C$ and 18 hrs of immersion. Conversely, the pH of the mung bean juice produced by varying the immersion time (5 hr, 11 hr, 17 hr) was found to be neutral, containing small levels of organic acid and free sugar, and showing a yellow tone.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also show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taste, flavor and yellowness of mung bean juice was 5-hour-long immersion. Study 2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optimum mixing ratio of omigalsu concentrate.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sugar and total free sugar were highest when the mixing ratio among omija extract, mung bean juice and sugar was 1:1:20%, indicating that these conditions produced the most attractive color and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tudy 3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optimum dilution magnification for omigalsu. Sensory evaluation during summer revealed that the omigalsu produced by mixing 54 g of omigalsu concentrate into 200 cc water of $4^{\circ}C$ or $80^{\circ}C$ was most preferred, while during winter. Overall, the optimum dilution magnification for omigalsu was 4.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