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idacea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The Study on Flora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chidaceae on Moor

  • Rho, Jae-Hyu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9-184
    • /
    • 2003
  • Total 7 moors, Yong-neup on Mt. Daeam, Chilbo Mt. moor, Dogapsa-neup on Mt. Wolchul, Wangdeungiae-neup on Mt. Jiri, Mujechi-neup on Mt. Jungjok, Buljae-neup on Mt. Kyungak and Geoinri-neup on Dongsang, were investigated by literatures and survey. Distribution, conditions, and similarity of dominant species and Orchidaceae on moor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follows; There are total 46 wetland plant species observed more than twice from 7 moors. The plants classified as constancy class V, which are appeared more than 80%, are Iris ensata var. spontane, Juncus effusus var. decipiens,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Habenaria linearifolia, Sium ninsi, Lobelia sessilifolia, Lastrea theiyptoris, and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Highly appearing Orchidaceae, which was classified to constancy class IV plant, are Habenaria linearifolia, Pogonia japonica, Eipactis thunbergii, and Platanthera mandarinorum. They are the typical index plants of the moors. Habitual environment of Habenaria radiate and Platanthera hologlottis can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aspects such as latitude, altitude and the water quality. However those of Habenaria linearifolia, Epipactis thunbergii, and Pogonia japonica are not affected by latitude and altitude, but may be determined by water condition of wetland. As the result of similarity index analysis for appearance of Orchidaceae identifying each moors in the view of species composition, swamps at Dogapsa-neup and Buljae-neup are very similar. However Yong-neup is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Dogapsa-neup and Buljae-neup. Yong-neup had shown the high similarity indices of 0.85 and 0.75 with Wangdeungiae-neup and Mujechi-neup, respectively. Growth properties of wild Orchidaceae at wetland were almost similar. Platanthera mandarinorum and Liparis kumokiri had characteristics of good adaptability. Most of them need light. Pogonia was the only long-day plant. The flowering time of these Orchidaceae was from May to September.

우리나라 미기록 식물: 영아리난초(난초과) (A new record for the Korean flora: Nervilia nipponica Makino (Orchidaceae))

  • 김찬수;문명옥;고정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9-232
    • /
    • 2009
  • 제주도 한라산 낙엽수림에서 우리나라 미기록속인 난초과 영아리난초속의 영아리난초가 채집되었다. 본 종은 대만과 일본의 열대 및 아열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영아리난초속은 식물체가 흔히 녹색이며 잎은 단생이고 주름이 있으며, 화아가 성장하기 전에 발달하고 낙엽이 되며, 줄기는 분지하지 않고, 화분괴는 2개이며, 대부분 점착체가 없는 점에서 난초과 Nervilieae족의 다른 속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 영주제비란(난과) (First report for Platanthera brevicalcarata (Orchidaceae) in Korea)

  • 엄상미;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1-214
    • /
    • 2012
  • 일본 남부지역과 대만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난과의 영주제비란(Platanthera brevicalcarata Hayata)가 제주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분류군은 근연종인 제비난초에 비해 식물체의 크기가 작고, 곁꽃받침에 한 개의 녹색맥이 뚜렷하게 있으며, 짧은 원통형의 거를 갖는 특징에 의해 구별된다. 국명인 영주제비란은 한라산의 지방명에 따라 명명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인 특징과 도해를 생태 사진과 함께 제시하였다.

백두산의 미기록 식물: 수림란(난초과) (First record of Androcorys pusillus (Orchidaceae) from Mt. Baekdu)

  • 이정심;김수남;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29
    • /
    • 2013
  • 수림란 Androcorys pusillus (Ohwi & Fukuy.) Masam.은 그동안 일본과 대만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난초과 식물로 백두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수림란은 꽃받침의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고, 꽃잎이 중앙 꽃받침처럼 넓으며, 포가 큰 특징을 가져 근연종과 뚜렷이 구별된다.

난과식물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Orchidaceae Plants)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3-304
    • /
    • 1994
  • In order to estimate accurate originality of the important crude drugs, Gastrodia, Dendrobium, Bletilla and Cremastra spp. were investigated comparing their morphological, anatom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acterial, antifung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ies as follows: 1. In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studies, Korean Gastrodia contained more mucilage duct and symbiotic fungi than imported Gastrodia. Korean Dendrobium contained starch grains but without starch grains in the imported Dendrobium from China enclosed with thicken silicified wall. The corm of Cremasta appendiculata contained raphides of bundles with mucilage while the bulbs of Tulipa edulis contained several various starch grains form. 2. In physiological and TLC analysis, crude drugs in Orchidaceae contained common constituents with fluorescence and much mucilage. 3. The EtOH extracts of Gastrodia, Dendrobium, Bletilla, Cremastra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 subtilis and E. coli (Dendrobium>Gastrodia>Bletilla>Cremastra). But, no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 albicans, A. niger were observed.

  • PDF

해오라비난초속(난과)의 미기록종: 애기방울난초(Harbenaria iyoensis) (Habenaria iyoensis (Orchidaceae): First Report for Korea)

  • 이창숙;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95-400
    • /
    • 2007
  • 일본 남부와 대만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난과의 애기방울난초 (Habenaria iyoensis)가 제주도 서귀포시 저지대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3 맥을 가진 꽃받침, 짧은 원통형의 거, 로젯형의 근생 잎에 의해 다른 해오라비난초속 식물들과 구별된다. 국명은 방울난초 보다 작으므로 애기방울난초로 신청하였다. 애기방울난초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도해와 생태 사진을 첨부하였다.

Lecanorchis japonica var. insularis (Orchidaceae: Vanilloideae), a new variety from Jejudo Island, Korea

  • SEO, Seon-Won;CHUNG, Mi-Sook;CHUNG, Young-Soon;LIM, Chae Eun;OH, Sang-Hu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13-418
    • /
    • 2020
  • A new variety, Lecanorchis japonica var. insularis (Orchidaceae: Vanilloideae), a mycoheterotrophic orchid from Jejudo Island, Korea,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t usually grows with L. japonica var. japonica, L. japonica var. hokurikuensis and L. kiusiana in evergreen forests. The newly described variety is distinguished from L. japonica vars. japonica, hokurikuensis, and kiiensis by having fully opened, larger flowers and an obtuse labellum apex.

한국 해오라비난초속(난초과)의 미기록 식물: 큰해오라비난초 (A new record of Habenaria (Orchidaceae) to Korean flora: H. dentata (Sw.) Schltr.)

  • 이혜정;양종철;이유미;양형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3-226
    • /
    • 2013
  • 국내 미기록 식물인 큰해오라비난초[Habenaria dentata (Sw.) Schltr.]를 경상남도 합천군 쌍책면과 가회면에서 확인하였다. 큰해오라비난초는 해오라비난초와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종으로, 꽃받침이 꽃잎보다 크고 흰색이며, 입술꽃잎 곁갈래 가장자리에 얕게 갈라진 톱니가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새로운 국명은 해오라비난초에 비해 개체가 크며, 많은 꽃이 달리는 특징에 따라 '큰해오라비난초'로 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유사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 식물: 아기쌍잎난초(난과) (First record of Neottia japonica (Orchidaceae) from Korea)

  • 소지현;정미숙;정영순;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1-164
    • /
    • 2013
  • 일본과 대만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난과의 아기쌍잎난초(Neottia japonica (Blume) Szlach.)가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발견되었다. 이 종은 식물체가 작으며 입술꽃잎에 꽃술대를 둘러싸는 소열편과 T자 모양의 신장된 육상체가 있고 꽃이 이른 봄에 피는 특징에 의해 근연종들인 쌍잎난초 및 털쌍잎난초와 구별된다. 국명은 쌍잎난초보다 귀엽고 작아서 아기쌍잎난초로 신칭하였다. 아기쌍잎난초의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확증표본, 도해와 생태 사진을 첨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