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welfare produc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일부 노인시설 종사자의 구강복지용구 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연구 (The need for oral welfare products services among elderly facility workers)

  • 최용금;김선미;김은정;전현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basic data to propose the necessity and utilization of oral welfare products in the welfare services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cusing on facility workers working in elderly facilities. Method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144 workers working at some local elderly facilities.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classifying the use of oral welfare tools into 6 questions and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oral welfare devices into 13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oral welfare equipme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05.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oral welfare equipment among workers in elderly facilities,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including oral welfare equipment in the items of welfare equipment in the current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was high at 4.15 poi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care products and the need and demand for oral welfare equip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01). Conclusion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oral welfare products need to be considered for welfare equipment services. The provision of oral welfare products with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can provide opportunities and services to select various self-care tool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changes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nd to improve the system in a variety of positive ways.

한국성인의 구강건강용품 사용이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al Care Products usage on Oral Health Status in Korean Adult)

  • 박명호;박미영;이희성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7-20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use of oral care products in the adult population and determine methods for improving oral health status. Methods: The date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measured regarding oral care products, Oral health statu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19.0 for Windows was used. We determined frequencies, percentage and determining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care products showed differences in DMFT associated with residence, gender, age, education, dental floss, etc(waterpic, hi-tech toothbrush, denture care products), in FS-T associated with residence, gender, age, income level, education, health insurance, dental floss, Interdental brush, etc, in T-health associated with residence, age, education, health insurance, Interdental brush, etc. Conclus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oral health status of the adult have to suitable selection and accurate usage of oral care products. Education and program in oral care products for the adult should be needed.

노인 당뇨병 환자의 구강관리 및 주관적 구강건강에 관한 융합연구: 포커스그룹 면담 (Convergence Research on Oral Care and Subjective Oral Health of Elderly with Diabetes: Focus Group Interview)

  • 소권섭;박신숙;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9-73
    • /
    • 2020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당뇨병 진단을 받은 자를 대상으로 당뇨병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및 구강관리 실태를 분석하여 당뇨 환자를 위한 구강제품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D시의 노인복지관을 방문한 당뇨병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8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4명을 한 그룹으로 하고 그룹 당 약 40분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당뇨와 구강건강', '구강 내 불편감', '구강관리방법', '치과방문', '구강관리를 위한 요구'의 5개의 핵심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이 당뇨와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하여는 처음 들어본다고 대답하였고, 구강건강관리는 하루 3~4회 치약을 사용하여 잇솔질을 하고, 치과방문은 구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만 방문한다고 대답하였다. 구강관리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당뇨환자 맞춤 구강관리교육과 치약 등 다양한 관리제품들이 개발되었으면 좋을 것 같다고 대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향후 노인 당뇨 환자의 맞춤형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개발 및 구강제품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초 수급 노인들의 구강건강 행태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s on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the elderly welfare recipients)

  • 조민정;박의정;신해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537-5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 수급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노인들의 불소도포 및 스켈링 사업을 통하여 그들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행태를 살펴보고 잔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65세이상 기초 수급자 노인 6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구강검진을 통하여 틀니사용 유무와 잔존 치아 수 등을 조사하였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잔존 치아 수는 줄어들었으며, 성별, 연령,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자가 구강상태 진단, 점심 식사 후 칫솔질 유무에 따라서 잔존 치아 수에 차이가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5). 잔존 치아 수는 대상자 개인의 구강 예방에 대한 관심과 노력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노인들의 구강건강 행태가 잔존 치아 수에 미치는 융복합적 용인을 샆펴보고,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 진료의 확대와 보건관리의 제공을 유지하기 위한 구강관리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었으면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를 활용한 구강건강관련요소와 악력과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related factors and grip strength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강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43-752
    • /
    • 2019
  • Objectives: Grip strength is a measure for assessing overall muscle strength, muscle mass, and nutritional status, and is a useful tool for early examination of a person's general health.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related factors and grip strength, using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version 25.0 (IBM Co., Armonk, NY, USA) software with a complex sampling analysis of stratified and clustered variables, all with weighted values, applied for every analysis conducted. From the 6th KNHANES data, a total of 26,101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population. A complex sample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for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use of oral care products, and factors such as adult mastication and speaking habits. Results: Grip strength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men compared to women. Grip strength was the highest in the 20-39 year old group. Furthermore, grip str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married and employed individuals, and in the right hand (p<0.001). Grip str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people who perceived themselves to have good health and among those who did not have health-related problems in the past two weeks (p<0.001). It was also higher among those who used interdental brushes and electronic toothbrushes (p<0.001), but decreased with greater discomfort in mastication and speaking among adults (p<0.05). Conclusions: Grip strength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factors and therefore, these could be helpful tools in evaluating both genera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es. In general, oral care products are small in size with oral care involving the use of hands and certain precise motions and action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oral cavity. As shown in the findings, grip strength declines with increased age and as a result,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should be strongly recommended in order to promote better general health.

치약에 대한 YD-38 세포주를 활용한 새로운 구강 점막 자극 시험방법 (The New in vitro Oral Irritation Test Method for Toothpaste using YD-38 Oral Mucosal Cell Line)

  • 남기백;조선아;조준철;김찬호;김유진;이존환;신계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10
    • /
    • 2012
  • 우리는 평생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치약과 같은 구강관리 제품들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매일 입에 사용되는 제품의 안전성이 담보되어야 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전까지 이루어진 동물시험이나 임상시험에서 치약 내 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구강 자극이 유발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동물복지를 위하여 유럽 화장품 법안은 화장품과 그에 사용하는 원료에 대한 동물 시험을 금지했다. 그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동물을 대체하거나 동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동물대체 시험법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구강 점막 독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시험과 동물시험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구강 점막 조직 모델이나 구강 세포들을 활용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구강관리 제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물대체 시험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강 세포주(YD-38 cell)를 활용해 불용성 물질을 포함한 치약에 대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구강 점막 자극 시험법을 개발하였고, 이 시험법으로 이전에 이루어진 동물시험에서 자극유발원으로 알려진 물질에 의한 자극을 구별해낼 수 있었다. 또한, 유아와 어린이 치약의 자극 수준이 일반 성인 치약에 비해 낮음을 증명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대한 위해성을 줄일 수 있도록, 구강관리 제품의 구강 점막 자극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이 시험법이 하나의 새로운 구강 자극 시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검색어 분석을 통한 선호도 융합 분석 : 구글트렌드를 이용하여 (Analysis of preference convergence by analyzing search words for oralcare products : Using the Google trend)

  • 문경희;김장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59-64
    • /
    • 2019
  • 본 연구는 구강관리용품 중 가장 대표적인 칫솔과 치약에서 이용자가 얻고자 하는 관련검색어를 통하여 이용자가 기대하는 선택정보를 구글 트렌드를 활용, 분석하여 이를 구강관리용품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글 트렌드에서 제공하는 최초 시점인 2006년부터 2018년 현재(9월)까지의 시기에서 영문 Toothbrush와 Toothpaste를 검색한 뒤 인기순으로 정렬하여 노출되는 관련 검색어 각 25개 총325개의 검색어를 연도별로 수집하였다. 그 후 이용자가 기대하는 검색기능을 파악하는 검색어 세부분석방법과 빅데이터 프로그램 넷마이너를 활용한 단어 네트워크 분석의 두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 세계적으로 Toothbrush에 대하여 브랜드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았으며 Toothpaste에 대하여 치약의 기능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높았다. 이를 통해 구강교육의 동기부여를 높이기 위해 칫솔은 브랜드, 치약은 치약의 기능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고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흥미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된다.

Dental alloplastic bone substitutes currently available in Korea

  • Ku, Jeong-Kui;Hong, Inseok;Lee, Bu-Kyu;Yun, Pil-Young;Lee, Jeong K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5권2호
    • /
    • pp.51-67
    • /
    • 2019
  • As dental implant surgery and bone grafts were widely operated in Korean dentist, many bone substitut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currently. For commercially used in Korea, all bone substitutes are firstly evalu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for safety and efficacy of the product. After being priced, classified, and registration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HIRA), the post-application management is obligatory for the manufacturer (or representative importer) to receive a certificate of Good Manufacturing Practice by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urrently, bone substitutes are broadly classified into C group (bone union and fracture fixation), T group (human tissue), L group (general and dental material) and non-insurance material group in MOHW notification No. 2018-248. Among them, bone substitutes classified as dental materials (L7) are divided as xenograft and alloplastic bone graf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lloplastic bone substitutes of 37 products in MOHW notification No. 2018-248 and to evaluate the reference level based on the ISI Web of Knowledge, PubMed, EMBASE (1980-2019), Cochrane Database, and Google Scholar using the criteria of registered or trademarked product 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