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pathogenic bacteria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9초

Comparison of the oral microbial composition between healthy individuals and periodontitis patients in different oral sampling sites using 16S metagenome profiling

  • Kim, Yeon-Tae;Jeong, Jinuk;Mun, Seyoung;Yun, Kyeongeui;Han, Kyudong;Jeong, Seong-Nyum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5호
    • /
    • pp.394-41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3 types of oral samples through 16S metagenomic sequencing to determine how to resolve some sampling issues that occur during the collection of sub-gingival plaque samples. Methods: In total, 20 subjects were recruited. In both the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samples of saliva and supra-gingival plaque were collected. Additionally, in the periodontitis group, sub-gingival plaqu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eepest periodontal pocket. After DNA extraction from each sample,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was performed on the V3-V4 hypervariable region on the 16S rRNA gene, followed by metagenomic sequencing and a bioinformatics analysis. Results: When comparing the healthy and periodontitis groups in terms of alpha-diversity, the saliva samples demonstrated much mo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bacterial diversity than the supra-gingival plaque samples. Moreover, in a comparison between the samples in the case group, the diversity score of the saliva sampl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pra-gingival plaque samples, and it was similar to that of the sub-gingival plaque samples. In the beta-diversity analysis, the sub-gingival plaque samples exhibited a clustering pattern similar to that of the periodontitis group. Bacterial relative abundance analysis at the species level indicated lower relative frequencies of bacteria in the healthy group than in the periodontitis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was observed in the saliva samples for specific pathogenic species (Porphyromonas gingivalis, Treponema denticola, and Prevotella intermedia). The saliva samples exhibited a similar relative richness of bacterial communities to that of sub-gingival plaque samples. Conclusions: In this 16S oral microbiome study, we confirmed that saliva samples had a microbial composition that was more similar to that of sub-gingival plaque samples than to that of supra-gingival plaque samples within the periodontitis group.

수종약물성분이 함유된 양치액의 구강질환 유발균 및 구강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Gargle Containing Citrex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on the Oral Pathogenic Bacteria)

  • 박영민;이은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1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천연항균제인 Citrex와 대표적인 치과영역의 항균물질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CPC를 복합적으로 처방하고 사용감이 좋은 양치액을 개발하기 위해 정밀구강검사를 통하여 특이한 구강질환이 없는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양치액의 기포 형성능력에서 사용감에 이르기까지 6개 항목의 관능평가와 개량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M-PHP)를 평가하였으며, 또한 구강질환유발 미생물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을 대상으로 항균 효능평가를 수행하고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복합 양치액의 관능평가는 비교적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용감이 좋고 수렴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Citrex와 CPC 복합처방 양치액의 구강질환 유발 미생물에 대한 효능은 분명하였으며, 이들 미생물 3종에 대한 항균효과는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순이었다. 3. 복합 처방된 양치액에 의한 5일간 M-PHP 변화는 첫째날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약간의 차이는 인정되었으나, 이후 4일 동안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lorfenicol의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경구 투여후 넙치 혈액에서의 약물동태학적 특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Florfenicol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Pharmacokinetics in Blood of Cultured Olive Flounder by Oral Administration)

  • 정승희;서정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79-1087
    • /
    • 2013
  • Florfenicol(FF)을 넙치(평균체중 $700{\pm}50$ g, $23{\pm}1.5^{\circ}C$)에 1일 1회 경구(20 mg/kg BW) 투여한 다음, 경시적(1시간~168시간)으로 혈청 내 FF의 잔류량을 HPLC로써 분석하였다. FF의 경구 투여에 따른 넙치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two-compartment model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하여 FF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혈청중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22.51 ${\mu}g{\cdot}h/mL$, 혈중최고농도($C_{max}$)는 0.84 ${\mu}L/mL$, 혈중최고농도에 도달하는 시간($T_{max}$)은 8.62 시간, 약물이 혈중에서 완전히 0이 되는 시점인 예상소실시간(Et)은 447 계산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넙치에 FF를 처방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 박경란;강성태;김민주;오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65-127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미생물 균총이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Microbiota on Gastrointestinal Cancer and Anticancer Therapy)

  • 김사랑;이정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91-410
    • /
    • 2022
  • 인간 미생물 균총은 장, 구강, 피부와 같이 체내외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균류,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집단이다. 16s ribosomal RNA에 대한 대사체 분석 및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개발과 함께, 살아있는 유기체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미생물 균총이 숙주의 대사 및 면역과정과 복잡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공생균(commensal microbiota)이라 불리는 미생물 균총의 특정 박테리아가 필수 영양소를 생성하거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로부터 숙주를 보호하여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비정상적인 미생물 균총의 조성을 의미하는 미생물 균총의 불균형(dysbiosis)에 의해 체내 항상성 유지를 방해하여 다양한 종류의 질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최근, 미생물 균총 중에서도 구강과 장내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위장관암의 발암과정과 항암제의 치료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여러 논문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미생물 균총-암-면역계 사이의 복잡한 연관성과 미생물 균총 기반 발암 메커니즘에 대한 규명은 암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리뷰는 미생물 균총의 박테리아가 위장관암과 항암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논문들을 요약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존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제로써 미생물 균총의 잠재력과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Partial denture metal framework may harbor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 Mengatto, Cristiane Machado;Marchini, Leonardo;de Souza Bernardes, Luciano Angelo;Gomes, Sabrina Carvalho;Silva, Alecsandro Moura;Rizzatti-Barbosa, Celia Maris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6호
    • /
    • pp.468-474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and compare bacterial diversity on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framework over time. MATERIALS AND METHODS. This descriptive pilot study included five women who were rehabilitated with free-end mandibular RPD. The biofilm on T-bar clasps were collected 1 week ($t_1$) and 4 months ($t_2$) after the RPD was inserted ($t_0$). Bacterial 16S rDNA was extracted and PCR amplified. Amplicons were cloned; clones were submitted to cycle sequencing, and sequences were compared with GenBank (98% similarity). RESULTS. A total of 180 sequences with more than 499 bp were obtained. Two phylogenetic trees with 84 ($t_1$) and 96 ($t_2$) clones represented the bacteria biofilm at the RPD. About 93% of the obtained phylotypes fell into 25 known species for $t_1$ and 17 for $t_2$, which were grouped in 5 phyla: Firmicutes ($t_1=82%$; $t_2=60%$), Actinobacteria ($t_1=5%$; $t_2=10%$), Bacteroidetes ($t_1=2%$; $t_2=6%$), Proteobacteria ($t_1=10%$; $t_2=15%$) and Fusobacteria ($t_1=1%$; $t_2=8%$). The libraries also include 3 novel phylotypes for $t_1$ and 11 for $t_2$. Library $t_2$ differs from $t_1$ (P=.004); $t_1$ is a subset of the $t_2$ (P=.052). Periodontal pathogens, such as F. nucleatum, were more prevalent in $t_2$. CONCLUSION. The biofilm composition of the RPD metal clasps changed along time after RPD wearing. The RPD framework may act as a reservoir for potentially pathogenic bacteria and the RPD wearers may benefit from regular follow-up visits and strategies on prosthesis-related oral health instructions.

Effects of Lactobacillus casei and Aggregatibactor actinomycetemcomitan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 Soon-Jeong 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3-111
    • /
    • 2023
  • Background: Some studies confirm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reptococcus mutans in saliva and dental plaque by Lactobacillus, however, these effects are not always confirmed in in vitro and clinical studies, and only the risk of dental caries has been reported. Our in vitro study aimed to reveal microbial and biochemical changes in the single cultures of S. mutans, Lactobacillus casei and Aggregatibactor actinomycetemcomitans and co-cultures of S. mutans and L. casei or A. actinomycetemcomitans according to sucrose concentration. We also aimed to confirm the anti-oral 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of L. casei and A. actinomycetemcomitans against S. mutans according to sucrose concentration. Methods: S. mutans (KCCM 40105), L. casei (KCCM 12452), and A. actinomycetemcomitans (KCTC 2581) diluted to 5×106 CFU/ml were single cultured, and L. casei or A. actinomycetemcomitans applied at concentrations of 10%, 20%, 30% and 40% to S. mutans were co-cultured with selective medium containing 0%, 1% and 5% sucrose at 36.5℃ for 24 hours. Measurements of bacterial growth value and acid production, disk diffusion and biofilm formation assays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medium containing sucrose, the bacterial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by S. mutans, L. casei, and A. actinomycetemcomitans were increased. In contrast, 30% and 40% of L. casei in the medium containing 0% sucrose showed both anti-oral bacterial and anti-biofilm activities. This implies that L. casei can be used as probiotic therapy to reduce S. mutans in a 0% sucrose environment.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in the oral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the control of pathogenic bacteria that cause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To apply probiotic therapy using L. casei for S. mutans reduction,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must be considered.

피톤치드의 입냄새 제거효과 (The Effect of the Phytoncide in Decreasing the Mouth Odor)

  • 박재봉;어규식;전양현;이진용;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151-156
    • /
    • 2007
  • 구강 내에서의 피톤치드는 항균효과를 통하여 입냄새 발생균을 줄여줄 뿐 만 아니라 발생된 휘발성 황화합물과 반응하여 생겨진 입냄새성분을 액체상태에서 침전시킴으로써 냄새제거를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미생물학적으로나 화학적으로 탁월한 냄새제거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ferrous sulfate를 사용하여 피톤치드에 의한 입냄새 성분인 휘발성 황화합물의 냄새제거작용을 증명함으로써 발전된 새로운 입냄새 치료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 바, 아래와 같은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 1. 타액에 피톤치드 첨가 후의 침전에 의한 흡광도의 평균값과 타액자체만의 침전에 의한 흡광도의 평균값의 차이는 0.849이었다. 2. 증류수에 피톤치드 첨가했을 때 침전에 의한 흡광도의 평균값과 증류수 자체만의 침전에 의한 흡광도의 평균값의 차이는 0.701이었다. 3. 증류수에 피톤치드의 유무에 의한 평균값 차이(0.701)보다 타액 내 피톤치드의 유무에 의한 평균값의 차이(0.849)가 더 크므로 피톤치드는 타액 내에서 황화합물과 작용하여 더 많은 침전물을 발생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피톤치드는 타액 내의 입냄새물질인 황화합물과 반응하여 액체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냄새제거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한계 내에서 치약뿐 만 아니라 구강세척제 등의 구강용품에 첨가하여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증환자를 위한 진공 구강 세정기에 대한 유동해석 (Flow Analysis of Vacuum Oral Cleaner Developed for Serious Patient)

  • 신현석;김남웅;김국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21-126
    • /
    • 2018
  •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의 구강위생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중환자들은 기본적으로 면역이 저하된 환자들로 각종 병원성 세균들에 의한 감염의 기회가 높기 때문이다. 구강문제는 감염의 1차 방어선인 구강이 감염의 우선적인 부위로 작용될 뿐 아니라 전신감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환자의 구강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마우스 피스 형태의 새로운 진공 구강 세정기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중 구조 방식의 세정기와 표준 치아 모델로써 3D CAD 모델링 및 유동해석 모델을 수립하고 압력 및 유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세정기 내부의 압력은 거의 일정한 분포를 보였으나, 속력분포의 경우 치아 안쪽과 바깥쪽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치아 안쪽에서도 가운데 부분의 속도가 가장 높고 가운데에서 멀어질수록 속력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세정기의 흡입관과 배출관을 바꾸어 해석한 결과 치아 바깥쪽 가운데 부분의 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정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흡입-배출을 교대로 바꾸는 교번식을 제안하고, 어금니 부위의 속력을 높이는 설계 보완이 요구된다.

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Periplasmic Domain of Bacterial Outer Membrane Porin TdeA

  • Kim, Seul-Ki;Yum, Soo-Hwan;Jo, Wol-Soon;Lee, Bok-Luel;Jeong, Min-Ho;Ha, Nam-Chu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845-851
    • /
    • 2008
  • TolC is an outer membrane porin protein and an essential component of drug efflux and type-I secretion systems in Gram-negative bacteria. TolC comprises a periplasmic $\alpha$-helical barrel domain and a membrane-embedded $\beta$-barrel domain. TdeA, a functional and structural homolog of TolC, is required for toxin and drug export in the pathogenic oral bacterium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Here, we report the expression of the periplasmic domain of TdeA as a soluble protein by substitution of the membrane-embedded domain with short linkers, which enabled us to purify the protein in the absence of detergent. We confirmed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TdeA periplasmic domain by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and electron microscopy, which together showed that the periplasmic domain of the TolC protein family fold correctly on its own. We further demonstrated that the periplasmic domain of TdeA interacts with peptidoglycans of the bacterial cell wall, which supports the idea that completely folded TolC family proteins traverse the peptidoglycan layer to interact with inner membrane transpor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