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infection

검색결과 1,066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공제술을 이용한 $Br{\aa}nemark$ 임플란트 주위 골조직 분석 (Evaluation of peri-implant bone density changes in $Br{\aa}nemark$ implants by computer assisted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CADIA))

  • 소성수;노현수;김창성;최성호;채중규;김종관;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37-150
    • /
    • 2007
  • CADIA(Computer-assisted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method is used to analyze bone density changes around the implants. The usefullness and reproducibility of the method was assessed. We tried to find out if there is any possibility to quantitiate and qualitify peri-implant bone density change as time passes. And we concluded that this newly developed linear analysis is efficient for analyzing peri-implant bone density change non-Invasively. In this study, 2152 machined $Br{\aa}nemark$ fixtures installed from 1994 to 2002 in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Dental hospital of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were included. Of these fixtures 22 radiographically analyzable failed fixtures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 and 22 successful implants placed in the same patient were used as control group. 1. 57 out of 1635 machined $Br{\aa}nemark$ standard and Mk II implants system failed, the survival rate was 96.5%. And 11 out of 517 machined $Br{\aa}nemark$ Mk III and Mk IV implants system failed, the survival rate was 97.9%. Total survival rate was 96.8%. 2. 22 failed impla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10 of which failed before prosthetic treatment due to infection and overheating. 12 failed due to overload after prosthetic treatment, 63.6% of which failed during the early phase of functional loading, i, e. before 1 year of loading. 3. Bone density change values around coronal region of the failed implants were $-6.54{\pm}6.35$, middle region were $-3.53{\pm}5.78$, apical region were $-0.75{\pm}10.33$, resulting in average of $-3.71{\pm}8.03$. 4. Bone density change values around coronal region of the successful implants were $4.25{\pm}4.66$, middle region were $6.33{\pm}5.02$, apical region were $9.89{\pm}4.67$, resulting in average of $6.27{\pm}5.29$.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1). In conclusion, the linear analysis method using computer-assisted densitometric image analysis could be a useful method for the analysis of implants, and could be used for future implant researchs.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Regional odontodysplasia)에 대한 증례 (REGIONAL ODONTODYSPLASIA : CASE REPORT)

  • 이제호;조재현;김기덕;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5-179
    • /
    • 2001
  •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이란 드물게 나타나는 치아발육장애로서 치아발육이 국소적으로 정지되어 발생되며 이환된 치아의 모든 구성요소가 발육부전이나 석회화 부전을 나타낸다. 국소적 혈액 순환 장애, 체성 돌연변이. 바이러스 침투, 치배 감염, 치아 외상, 이상고열, 방사선조사, 영양, 대사 장애, 유전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여성에 많이 발생하고(1.4 : 1) 하악보다는 상악(특히 좌측)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환 받은 치아는 크기가 작고, 저형성을 보이며, 노란색 또는 노란 갈색을 띄고, 소와와 구(pitting & grooving)를 보이기도 한다. 방사선적으로 "ghost like appearance" "fuzzy appearance"등을 보이고 치수강 내에 치수석회화물이나 상아질석이 보이기도 한다. 본 증례의 2세 남자 환아는 하악 우측 치아의 맹출 지연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하악 우측 유중 절치의 부분 맹출과 유측절치, 유견치, 제 1유구치가 미맹출을 보였고, 방사선 검사소견에서 해당부위의 치아는 "Ghost like appearance"와 짧은 치근, 개방된 치근첨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임상, 방사선 검사결과 국소적 치아 이형성증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보고를 하는 바이다.

  • PDF

소에 자연 또는 인공감염된 간질(Fasciola hepatica)에 미치는 closantel의 구충 효과 (Efficacy of closantel for treatment of naturally-acquired and experimentally-induced Fasciola hepatica infections in cattle)

  • 신성식;이정길;조신형;김종택;위성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47-352
    • /
    • 1995
  • Closantel이 간질(Fasciola hepatica)에 감염된 소에 미치는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질 및 쌍구흡충에 자연감염된 41두의 한우 암컷에 체중 kg당 closantel 5mg을 1회 경구투여하였다. 치료 후 2주째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3회 실시한 분변검사에서 closantel로 치료한 군은 치료 후 2주째까지는 음성이었으나 치료 후 3주 및 4주째에는 3마리의 소의 분변에서 간질충란이 검출되어 97.7%의 음전율을 나타냈다. 치료군 41두 중 30두는 임신중이었으나 임신우로부터 또는 이들로 부터 태어난 송아지에서 아무런 부작용이나 이상증세가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한 모든 소에서 쌍구흡충란이 검출되었으나 closantel 치료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았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16두의 Holstein종 송아지에 실험적으로 300개의 간질 피낭유충을 인공감염시켰으며, 감염후 14주째에 이르러 모든 개체의 분변에서 간질 충란이 검출되었다. 이들에게 감염 후 18주에 체중 kg당 5mg의 closantel을 경구투여하였으며, 치료 후 2주째부터 1주일 간격으로 3회 실시된 충란검사에서 치료군의 모든 송아지가 100% 음전율을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 간질에 자연 또는 인공감염된 소에 체중 kg당 5mg의 closantel을 경구투여했을 경우, 97% 이상의 치료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Ochrobactrum anthropi의 효과적인 동정 (Effective Identification of Ochrobactrum anthrop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고현미;조준현;백해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21-228
    • /
    • 2020
  • Ochrobactrum anthropi는 oxidase를 생산하는 비발효산소성 그람음성 막대균으로 외관이 비슷하고 oxidase가 양성인 비발효 세균과 혼합배양 시 구분이 힘들고 생화학적 동정 장비로는 정확한 동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화학적 검사 방법으로 동정이 힘든 세균동정의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Platform (MALDI-TOF) 법의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icroScan을 이용해 검사했던 O. anthropi 5례를 분석한 결과, 최종보고까지 6.2일이 소요되었으며 E. coli의 3.0일에 비해 3.5일이 더 소요되었다. 5번 환자 고름 검체는 Achromobater xylosoxidans와 혼합감염으로 여러 번의 계대 배양과 재검사로 인해 11.3일이 소요되었는데, MALDI-TOF법으로 검사한 경우 한 번에 동정되었다. 4명의 환자는 기저질환이 있는 60세 이상이었고 기회감염과 원내감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으며, 그 중 92일 만에 채취된 검체는 imipenem과 meropenem에 내성이었다. 따라서 O. anthropi처럼 동정이 까다로운 세균은 신속하고 적절한 환자 치료를 위해 MALDI-TOF법을 이용한 검사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lbendazole의 폐흡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 of Albendazole Against Paragonimus Westermani)

  • 황의정;김수진;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54-164
    • /
    • 1991
  • Albendazole is a broad spectrum anthelmintics with high activity against intestinal nematodes as well as tremtodes and cestodes infections. But so far wormicidal effect of albendazole against Paragonimus westermani is uncertain. The present study undertaken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aragonimus westermani which was obtained from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isolated from Cambaroides similis and 9 of them were given albendazole 2 doses of 25mg/kg daily for the 2 days and 4 days from the day of 20 weeks after infection. The Paragonimus werms were collected from the lung of the cats which were autopsied at 24 hours after treatment. The fine structures of the collected worms were studied by means of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findings of the observ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ntreated wo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SEM) observations, the worms obtained from 2 days treated group showed many blebs which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damaged tegument in between two suckers. Protrusion of oral sucker typically observed and surrounding tegumental ridges were damaged. 2) The worms obtained from 4 days treated group showed marked contraction revealing half size of normal worms. 3) The transmission electronmicroscopic(TEM) observations indicated that large blebs of irregular shapes were formed by the destruction of tegumental ridge of tegumental syncytium and also showed degeneration of mitochondriae. 4) Destruction of tegumental syncytium formation of blebs were usually observed in the ventral side of the worms. 5) Differentiation of tegumental layer and basement layer muscular layer and parenchymal layer around two suckers of worms obtained at 4 days treated group was difficult. 6) Many host cells invaded and destroyed the degenerated tegument by the occurrence of blebs or the exposed muscular layer of the worm after exfoliation of the tegument.

  • PDF

파래투여에 의한 잉어류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Enteromorpha compressa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in carp, Cyprinus carpio)

  • 최민순;박관하;최상훈;김종연;김종면;조정곤;장선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9-156
    • /
    • 1995
  • 파래투여에 따른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이스라엘잉어에 대상으로 공기노출에 따른 혈액성상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아울러서 비단잉어를 대상으로 A. sobriae에 대한 항균력과 항응집소가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스라엘잉어를 대상으로 4개월간 파래첨가사육후에 공기노출에 따른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Ht치는 파래첨가의 유무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헤모글로빈, 총단백, 알부민 및 글루코스치는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에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5%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GPT 및 GOT치는 대조군에 비해 파래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비단잉어를 대상으로 파래추출물을 1주간 복강내로 투여후 A. sobriae에 대한 항균능은 대조군에 비해서 첨가군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30{\mu}g/g$ 투여군에서 $4{\times}10^4$ CFU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한편, 항응집소가는 대조군에 비해 파래추출물 투여군 모두에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30{\mu}g/g$ 투여군에서 $6.0{\pm}1.1$로서 최고치를 보였다.

  • PDF

Candidate Probiotic Bacteria의 어류병원성 Streptococcus sp.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on the Growth of Fish Path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sp.)

  • 이민영;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7-114
    • /
    • 2014
  • 세균성 어류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어류와 인체에 안전한 수산용 probiotic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되고 있는 참굴 (Crassostrea giga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새조개 (Fulvia mutica)의 가식 부위로부터 17균주의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CPB)를 분리하였다. 나아가 다양한 연쇄상구균 (Lactococcus garvieae, L. piscium, Streptococcus sp., S. iniae, and S. parauberis)에 대하여 강한 생장 억제력을 보이는 균주(CPB-St)를 선별하여 어류의 연쇄구균증 관리를 위한 probiotic 균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CPB-St 균주를 double layer test를 통하여 다양한 연쇄상구균들에 대한 생장 억제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혼합 배양에서의 Streptococcus sp.에 대한 생장 억제 능력을 확인하였고, CPB-St의 어류에 대한 안전성 및 장내 생존 유무를 평가하였다. CPB-St는 대부분의 연쇄상구균에 대하여 18~26 mm의 생장 억제대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생장 억제 능력을 보였다. CPB-St와의 혼합 배양에서 Streptococcus sp.는 6시간째부터 생장 억제 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여 12시간 전후로 8~55배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CPB-St의 어류에 대한 병원성 유 무를 알아본 결과, 2주일 동안 CPB-St로 인한 어류 폐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CPB-St의 1회 강제 경구 투여 후, 위와 장에서 CPB-St의 생존을 확인한 결과 투여 24시간 후에는 CPB-St가 모두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PB-St를 probiotic bacteria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류의 장내 정착 가능성과 먹이를 통한 효과의 정확한 검증이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악각 골절에서 제 3 대구치 발치 후 아테로-콜라겐 스펀지의 유용성 (Usefulness of Atelo-collgen sponge (Teruplug$^{(R)}$) for Treat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with Third Molar Extraction)

  • 오화영;최환준;권준성;이형교;김용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55-160
    • /
    • 2011
  • Purpose: Fibrillar collagens like type I collagen, are the major constituent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structural protein of bone. Also, it can be a scaffold for osteoblast mi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 (Teruplug$^{(R)}$, Terumo biomaterials Co., Tokyo, Japan) insertion in tooth extraction sites on periodontal healing of the second molar, healing of the fractured mandibular bone and new bone formation of third molar socket after the extraction of the impacted third molar with mandibular angle fracture. Methods: In our study of six cases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ll of them underwent the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tooth &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 insertion in tooth extraction site. Three of them had a intraoral infection & oral opening to fracture site, two of the six had dental caries, and only one had reduction problem due to third molar position. Six consecutive patients with noncomminuted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one noncompression miniplates and screws placed through a transoral incision. Results: All of the patients have showed good postoperative functions and have not experienced complications requiring second surgical intervention. There was well healing of the mandibular bone and the most new bone formation of third molar socket after the extraction of the impacted third molar with mandibular angle fractu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 is relatively favorable bone void filler with prevention of tissue collapse, food packing, and enhance periodontal healing. Thus, the use of atelo-collagen sponge and one noncompression miniplate seems to be relatively easy, saf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and third molar extraction.

닭의 가금(家禽) 콜레라 감염시(感染時)의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증(凝固症)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Experimental Fowl Cholera of Chickens)

  • 박남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1-219
    • /
    • 1982
  • 닭의 급성(急性) 가금(家禽) 콜레라의 폐사원인(斃死原因)과 기전(機轉)을 구명(究明)하고자 생후(生後) 10~32주령(週齡) 닭에 P. multocida균(菌)을 칠개(七個) 경로(經路)(정맥(靜脈), 근육(筋肉), 피하(皮下), 비강(鼻腔), 구강(口腔), 복강(腹腔) 및 귀)를 통해 주입(注入)해서 가금(家禽) 콜레라를 발병(發病)시키고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의 발현여부(發顯與否)와 그 분포(分布) 및 본(本) 질병(疾病) 진행(進行) 과정중(過程中) P. multocida의 endotoxin 역할(役割)에 대하여 연구(硏究)하였다.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인 진단(診斷)은 소동맥(小動脈), 소정맥(小靜脈), 모세혈관(毛細血管) 그리고 다소 큰 혈관내(血管內)에 섬유소성(纖維素性) 혈전(血栓)의 증명(證明)으로 이루어졌다. 각종(各種) 장기내(臟器內)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는 주(主)로 3일(日) 이내(以內)에 폐사(斃死)된 닭에서 쉽게 관찰(觀察)할 수 있었고, 장기중(臟器中) 폐(肺)는 혈전(血栓)의 발현빈도(發顯頻度)가 가장 높았으며(90%) 그 다음으로 간(肝)(70%), 신장(腎臟)(60%), 심장(心臟)(20%), 비장(脾臟), 뇌(腦), 췌장(膵臟), 흉선(胸線) 및 갑상선(甲狀腺)의 순(順)이었다. 섬유소성(纖維素性) 혈전(血栓)의 밀도(密度)(조직절편당(組織切片當) 혈전(血栓)의 수(數)) 역시 폐(肺)가 가장 높고 비장(脾臟), 신장(腎臟), 간(肝) 및 심장(心臟)의 순(順)이었다. 급성(急性) 가금(家禽) 콜레라 감염시(感染時) 범발성(汎發性) 출혈(出血)은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를 일으키는 P. multocida균(菌)의 endotoxin에 기인(基因)된 것으로 사료(思料)되며 닭의 급성(急性) 가금(家禽) 콜레라의 폐사원인(斃死原因)은 단순(單純)한 출혈성(出血性) 패혈증(敗血症)이 아니라 전신적(全身的)으로 발생(發生)되는 파종성(播種性) 혈관내(血管內) 응고(凝固)를 수반하는 endotoxin(septic) shock사(死)임이 밝혀졌다.

  • PDF

쥐오줌풀 추출물이 MIA동물모델에서의 신경발달 단백질의 발현과 행동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leriana fauriei Extract on the Neurodevelopmental Proteins Expression and Behavioral Patterns in Maternal Immune Activation Animal Model)

  • 원한솔;김영옥;이화영;임지윤;이상현;조익현;이상원;박춘근;김형기;권준택;김학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41-350
    • /
    • 2016
  • Background: Prenatal exposure to infectious and/or inflammatory insults can increase the risk of developing neuropsychiatric disorder such as bipolar disorder, autism, and schizophrenia later in life. We investigated whether Valeriana fauriei (VF) treatment alleviates prepulse inhibition (PPI) deficits and social interaction impairment induced by maternal immune activation (MIA). Methods and Results: Pregnant mice were exposed to polyriboinosinic-polyribocytidilic acid (5 mg/kg, viral infection mimic) on gestational day 9. The adolescent offspring received daily oral treatment with VF (100 mg/kg) and injections of clozapine (5 mg/kg) for 30 days starting on the postnatal day 35. The effects of VF extract treatment on behavioral activity impairment and protein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PPI analysis, forced swim test (FST), open field test (OFT), social interaction test (SIT),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MIA-induced offspring showed deficits in the PPI, FST, OFT, and SIT compared to their non MIA-induced counterparts. Treatment with the VF extract significantly recovered the sensorimotor gating deficits and partially recovered the aggressive behavior observed in the SIT. The VF extract also reversed the downregulation of protein expression induced by MIA in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Conclusions: Our results provide initial evidence of the fact that the VF extract could reverse MIA-induced behavioral impairment and prevent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uch as schizophre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