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ygiene produc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초

구강 프로바이오틱스와 에센셜 오일 함유 양치액의 구강환경변화 (Changes of Oral Environment Between Probiotics and a Mouthwash Containing Essential Oil)

  • 이수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9-226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of salivary flow rat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S. mutans after using a mouthwash containing essential oil or probiotics widely used as oral lactic acid bacteria in the oral environment. Methods : Fifty-three healthy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y were informed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group treated with probiotics (L. reuteri) and a group treated with mouthwash containing essential oil. To evaluate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salivary flow rat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S. mutans test were performed at baseline and 4 weeks later. Unstimulated and stimulated salivary flow samples were collected for 5 minutes and results were recorded in ml per minut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was divided into scores of 1 (low), 2 (moderate) and 3 (high)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trip. The amount of S. mutans was classified as scores of 0, 1, 2, and 3 according to the decision tabl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at the 95 % significance level using the SPSS Version 23.0 program. Results : Both the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nd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increased statistically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before intervention in the probiotics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biotics group and the mouthwash group.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S. mutans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biotics group and the mouthwash group either. Th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the salivary flow ra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 To improve the oral environment, such as salivary flow rate and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 optimal product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preference and cost-effectiveness.

국내 시판 빙과류의 치아우식 활성 위험도 측정 (Measurement of dental caries activity of commercial frozen desserts in Korea)

  • Jeon, Hyun-Sun;Mun, So-Ju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17-52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치아우식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빙과류를 종류에 따라 구분하고, 당도와 산도, 비점조도를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생산 및 시판되는 빙과류 60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빙과류 분류 기준에 따라 빙과, 유지방군아이스크림, 비유지방군아이스크림으로 구분하였다. 각 제품을 동일한 조건으로 처리하여 제품별 성분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당도와 산도, 점조도를 측정하였고 비점조도를 계산하였다. 대상 빙과류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식품 유형에 따른 빙과류의 영양성분의 차이와 치아우식 관련 특성의 차이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 빙과류는 총 60개로 빙과, 유지방군, 비유지방군 각각 20개씩이었다. 품목별 영양성분에서 나트륨은 비유지방군이 59.94 mg으로 가장 높았고 빙과는 평균 15.94 mg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지방 함량은 유지방군이 7.07 g으로 가장 높았다. 치아우식 활성도 관련 특성을 각 제품군에 따라 분석한 결과 pH는 빙과가 평균 3.67로 가장 낮았으며, 당도는 유지방군(33.22)과 비유지방군(32.89)이 빙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비점조도 또한 유지방군이 32.62로 가장 높았고, 빙과는 9.42로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이상 기온 현상과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하여 가정 내 빙과류 섭취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정 내에서 아동의 치아우식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빙과류 섭취 후 적절한 구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아동과 보호자 대상의 교육이 필요하다.

19-39세 한국 청년의 치간관리용품 사용실태 및 각 용품 사용의 영향요인 : 제4기-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The use of interdental care products in Korean young adults aged 19-39 year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use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VII)

  • 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21-729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ctual use of interdental care products (ICPs), such as dental floss (DF) and interdental brushes (IDB), among Korean youth, confirm their relevance to periodontal health, and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each product.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912 young adults aged 19-39 years an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7-2018). The usage rate of IC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or each cycle of KNHANES was presente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ICP. Results: The use rates of DF and IDB gradually increased until the 7th period, reaching 34.8% and 26.8%, respectively. The rate of using more than one ICP also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increase from 25.2% in the 4th period to 50.0% in the 7th period. The use of interdental care products is related to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ICP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frequency of brushing, and dental examination experience. Conclusions: The use of dental floss or interdental toothbrushes was related to periodontal health, but only half of the adults aged 19-39 years used ICP. Therefore, oral health experts should actively encourage the use of DF and IDB in young adults.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칫솔질행태와 구강건강상태 (Tooth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e of Immigrant Workers)

  • 남인숙;윤성욱;김정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1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나라에서 우리나라에 이주해 온 외국인 노동자 42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 칫솔질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이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하루 3회 이상 칫솔질 빈도는 여성이 63.0%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교육수준은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칫솔질 빈도가 높았다. 체류기간은 국내에 체류기간이 어느 정도 지난 경우 높게 나타났다. 건강보험은 전반적으로 건강보험이 가입된 경우 빈도가 높았다.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 50.0%로 가장 높았고, 친구 또는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칫솔질 빈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칫솔질 부위 중 치아, 잇몸, 혀를 전체적으로 잘 닦는 경우는 연령이 적을수록, 미혼인 경우가 전체적으로 잘 닦고 있었으며 수입은 보통인 경우가 잘 닦고 있었고, 건강보험에 가입한 경우가 잘 닦고 있었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칫솔질 소요시간 3분 이상인 집단은 미혼인 경우와 건강보험에 가입된 경우가 칫솔질 소요시간이 길었으며, 칫솔질 교육유무에서는 국내 체류기간이 5년 초과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가 칫솔질 교육을 많이 받았다. 구강위생용품은 성별은 여성, 학력은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체류기간은 3~5년 사이가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의료비 부담은 무료인 경우와 정기적인 모임이 있는 경우 구강위생용품을 많이 사용한다고 나타났다(p<0.0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DMFT index의 평균은 6.98, CPITN의 평균은 3.03으로 우리나라 2010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에서 성인 18세에서 44세의 DMFT index 5.9, CPITN은 1.6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DMFT index가 여성이 높았고, CPITN은 남성이 높았다. 연령, 결혼여부, 학력의 CPITN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결혼여부는 기혼이 낮았다. 학력은 고졸 이하가 낮았다. 동거인이 없는 경우는 DMFT index가 높았고, CPITN은 동거인이 있는 경우가 2.97로 낮았다. 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8.17로 DMFT index가 가장 높았고, CPITN은 100만원 미만이 2.75로 가장 낮았다. 건강보험이 있는 경우 DMFT index는 높았고, CPITN은 낮았다(p<0.05). 칫솔질 행태에 따른 DMFT index와 CPITN의 결과는 칫솔질 빈도 3회 이상에서 DMFT index가 8.34로 가장 높았으며, CPITN은 2.96으로 가장 낮았다. DMFT index는 칫솔질 행태가 좋을수록 높았으며 CPITN은 칫솔질 행태가 좋지 않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는 DMFT index에서 칫솔질 빈도와 칫솔질 부위, CPITN에서는 칫솔질 부위와 칫솔질 소요시간이 유의성을 나타냈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의 예방법으로 가장 기본인 칫솔질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올바른 칫솔질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구강청정제의 효과 (THE EFFECT OF MOUTH RINSE PRODUCTS CONTAINING DEEP SEA WATER)

  • 김선아;장해진;유영근;추용식;박양호;박준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6호
    • /
    • pp.601-60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outhrinse products containing deep sea water. We used original deep sea water(DSW) and processed deep sea water desalinated by reverse osmosis at one time(DDW-1), by reverse osmosis at two times(DDW-2) and concentrated by reverse osmosis(CDW). We made 2 kinds of mouthrinse products containing CDW and other agents for smell and taste and one product without deep sea water. The negative control was distilled water. In vivo study, the dental plaque index scores and the gingival index scores were reduced after 4 weeks mouthrinsing three times daily with 4 kinds of deep sea water and 3 kinds of mouthrinse products(p<0.05). The pH of dental plaque in 1 minute after mouthrinsing was not higher than 5.5 in all solutions, but the pH in 20 minutes after mouthrinsing was higher than 5.7 in DSW, CDW and 3 kinds of products which had higher mineral contents. In vitro study, the mouthrinse solutions containing the higher mineral contents were also the more effective in reduction of methyl mercaptan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halitosis. The 2 kinds of products containing deep sea water killed Streptococcus mutans(ATCC 25175) in culture plates in one minute. These results indicate the usability of deep sea water in mouthrinses for oral hygiene management.

전문가치면세정술 및 구강보건교육이 구강청결도와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 tooth cleaning and dental health education on dental clearances and dental health behaviors)

  • 양해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95-3901
    • /
    • 2009
  • 본 연구는 전문가치면세정술 및 구강보건교육이 구강청결도와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교육 군별 교육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대조군 (80명-구강보건교육), 실험군 (80명-구강보건교육과 전문가치면세정술)으로 분류하여 진행하였다. 잇솔질 횟수, 잇솔질 시간, 점심식사 후 잇솔질 실천율, 구강위생용품 사용률, 구강청결도의 변화를 각 교육 군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잇솔질 횟수의 변화는 두 교육군 모두 증가하였으나 개별전문가치면세정술과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행태변화를 나타냈다. 점심 식사 후 잇솔질 실천율의 변화는 두 교육 군 모두 증가하였으나 개별전문가치면세정술과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의 증가가 더 높았고, 구강청결도의 점수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더 높게 조사되었다.

흰 쥐의 급성 안면통증모델에서 바오밥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baobab extracts on the acute orofacial pain in rat model)

  • 최자형;김윤경;김희진;윤현서;현경예;이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911-919
    • /
    • 2017
  • Objectives: The baobab tree is a multipurpose, widely-used species with medicinal properties and numerous food uses. The aim of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baobab on the formalin-induced inflammatory pain in rat model injected into the orofacial regions.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60-280 g were used. Pain in the orofacial region was induced using two models, 5% formalin was injected $50{\mu}l$ subcutaneously or $30{\mu}l$ in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spectivel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6); formalin, formalin after distilled water (vehicle) or baobab (150, 300 mg/kg). The number of noxious behavioral responses with scratching the facial region was recorded for 9 successive 5-min intervals following formalin injection. Results: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st response to the pain between the formalin induced group and the drug administration group. However, in the secondary infusion group, all of the pain medication were responded (Bao 150, 300 mg/kg) (p<0.05). Conclusions:The results showed analgesic effect of baobab on formalin-induced orofacial inflammatory pain. This suggests that the natural product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postinflammatory pain control.

RBM 처리된 임플란트 표면의 인공치태 제거 효과 연구 (COMPARATIVE STUDY OF REMOVAL EFFECT ON ARTIFICIAL PLAQUE FROM RBM TREATED IMPLANT)

  • 박재완;국민석;박홍주;;최충호;홍석진;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309-32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moval effect on artificial plaque from RBM treated implant surfaces that are exposed due to peri-implantitis. Materials and methods: Artificial plaque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acquired pellicle adhered to RBM treated implant discs. Study materials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six test groups. In test groups,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used to remove plaques. Prophyflex, Professional Mechanical Tooth Cleaning (PMTC) and interdental brush as mechanical treatments and 0.1% Chlorhexidine, Citric acid, HCl tetracycline as a chemical treatment were used. To analyses the study, disc weight was measured for remaining plaque quantities and SEM(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findings was taken for evaluation of surfaces. Results: 1. In weight chang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05). Therefore all treatment methods using this study have good ability for remove plaques. 2. In weight chang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chanical and chemical group,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s (p>0.05). 3. SEM findings after mechanical treatment disclosed as follows; Prophyflex group looked like sound implant surface, and there were some paste on implant surface at PMTC group, and there were some artificial plaque at interdental brush group. 4. SEM findings after chemical treatment disclosed as follows; there were some dark lesions which were supposed as the product from Streptococcus mutans at Chlorhexidine, Citric acid and HCl tetracycline groups. Conclusion: All six methods using in this study have good ability to remove artificial plaque on RBM treated implant. According to SEM findings, prophyflex is a superior method for removing of dental plaque among test groups.

치아우식 원인균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om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al Plants against Dental Caries Bacteria)

  • 이희원;이푸른하늘;권현정;한국일;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구강 내 세균에 대한 항세균제로서의 이용가치를 확인하고, 치아우식 예방 및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64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사용하여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6개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1. 구강 내 상주균인 S. oralis, 치아우식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S. mutans, 치면열구우식증에 연관성이 높은 L. casei와 초기 평활면우식증에 영향을 주는 S. sanguinis에 모두 항균활성을 보인 한약재 추출물은 64종 가운데 황금과 소목이었다. 2. 치아우식증 원인균 중 하나인 S. oralis에 대하여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64종 가운데 22개의 한약재가 항균 활성을 보였다.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한 한약재 는 소목(40 mm)>감국(27 mm)>황금(19 mm)>지부자(17 mm), 대풍자(17 mm) 순이었다. 그 외에 괴화(14 mm), 오가피(9 mm), 목단피(14 mm), 단삼(10 mm), 비자(10 mm), 고삼(10 mm), 시호(11 mm), 인동(10 mm), 음양곽 A (13 mm), 음양곽 B (11 mm), 대황(13 mm)이 항균 활성을 보였다. 3. 소와열구 및 상아질 우식에 관여하는 L. acidophilus는 64종 한약재 추출물 가운데 소목만이 항균성을 보였다. 치아우식증 원인세균인 S. salivarius는 천마(9 mm), 소목(20 mm)의 생육 저해환의 직경을 측정 할 수 있었다. 4. 결론적으로,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6종 균주에 대해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인 한약재는 소목으로 최대 40 mm의 생육 저해환이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한약재 추출물은 구강 내 우식유발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향후 구강 내 우식원성 세균의 치료물질로 활용을 제시한다.

유치 줄기세포에 대한 다양한 규산칼슘계 재료의 세포독성 (Cytotoxicity of Various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with Stem Cells from Deciduous Teeth)

  • 윤지혜;유용욱;안은숙;이준;안소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5-9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 줄기세포에 대해 다양한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 (CSM)의 세포독성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Retro $MTA^{(R)}$ (RM), $EZ-Seal^{TM}$ (EZ), ENDOCEM $Zr^{(R)}$ (EN)의 powder를 세포 배지를 이용하여 용출시키고 filtering 하였다. 유치 줄기세포가 다양한 농도의 용출액 하 배양되었다. MTS assay를 통해 CSM 용출액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Flow cytometry analysis를 통해 세포 표현형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10% 농도의 용출액에서 배양된 유치 줄기세포의 흡광도 값은 RM > EN > EZ 순이었다(p = 0.0439). 그러나 유치 줄기세포는 재료에 관계없이 간엽줄기세포의 표현형을 유지했다. 세 종류의 CSM이 줄기세포 marker를 변형시키진 않았지만, EZ가 RM과 EN보다 세포적합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