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3초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Evaluation of Masticatory Efficiency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 이용승;변영섭;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35-1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Sato 등이 고안한 mixing ability index(MAI)를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 중 통증이 있는 군과 무통성 관절잡음이 있는 군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저작 효율을 정상인으로 구성된 대조군과 비교하고, 주관적인 평가 방법인 설문조사법 중에서 음식섭취가능지수(Food Intake Ability Index, FIA)와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평가(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저작 효율을 평가하고,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49K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각 평가 방법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또한 통증군에 있어서는 치료 후 통증이 감소함에 따라 저작 효율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AI, FIA, VAS는 통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관절잡음군보다도 감소하여 통증군이 정상군과 관절잡음군에 비해 저작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관절잡음군에서는 MAI, FIA, VAS에서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설문지인 OHIP-49K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통증군과 관절잡음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구강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전체 대상자(71명)에서 객관적 저작 능력 평가 방법인 MAI와 주관적 저작 능력 평가 방법인 FIA와 VAS간에는 서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OHIP-49K에서도 MAI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관절잡음군에서는 FIA와 VAS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이외의 모든 항목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각 평가 방법 간의 상관성에서 FIA와 VAS는 전체 대상자, 통증군, 관절잡음군 모두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통증군에서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통증 감소와 함께 VAS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 하였다(P<0.05). 반면에 MAI에 있어서는 저작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FIA, OHIP-49K에서도 치료 전과 후 통증 감소에 따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을 감소시키는 주요인은 통증이며, 관절잡음은 저작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은 아니지만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저작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통증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증뿐만 아니라 관절잡음에 대한 관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구강건강 삶의 질 (Oral health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behavior of oral care)

  • 심재숙;이미라;강윤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43-350
    • /
    • 2016
  •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관리행태를 파악하여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전북 소재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9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5.3%가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이 없었으며, 82.6%가 1년 이내 치석제거를 받지 않았고, 68.2%가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OHIP-14는 학년, 건강보험 가입여부, 유학생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OHIP-14는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 1년 이내 치과내원 경험과 치석제거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구강건강 상태와 1년 이내 치석제거 경험으로 나타났다(p<0.05). 중국인 유학생들의 구강건강 문제 발생 시 의료기관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자국어 번역 안내서 및 의료 전문 통역자의 배치와 대학 차원에서 학교구강보건실의 운영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구강보건교육이 요구된다.

OHIP-14를 이용한 보철물 장착자의 구강건강평가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oral health with equipped prosthesis using OHIP-14)

  • 김혜진;정현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53-1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of clients who treated and equipped prosthesis in Eulji University Hospital in Dae-Ju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oral status of Female had more carious tooth than male had. Carious tooth(p<0.05) and losed tooth(p<0.001) was more popular in older female. The frequency of treated tooth was higher under 59 years old female than over 60 years old(p<0.01). In education category, carious tooth(p<0.05) and losed tooth(p<0.000) was more popular in low education than high education In the score of relation of OHIP-14 category and general characteristic, fe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in dysfunction( p<0.05), physical disorder(p<0.001) and activity disorder(p<0.05). Th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than younger in dysfunction(p<0.05), physical disorder(p<0.001) and activity disorder(p<0.001). The score of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ow education group than high education group in physical pain (p<0.001), mental discomfort (p<0.001). The score of marriage st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rriaged group than other group in dysfunction (p<0.05) and mental discomfort (p<0.05). In the score of relation of OHIP-14 category and oral status, the score of carious toot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ysfunction(p<0.05), physical disorder(p<0.05) and activity disorder(p<0.05). The score of losed toot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ysfunction(p<0.05), physical pain (p<0.05), mental discomfort(p<0.05), physical disorder(p<0.05) and activity disorder(p<0.01). The score of non treated toot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ysfunction(p<0.05), mental discomfort(p<0.05), social disorder(p<0.05) and activity disorder(p<0.05). In the score of relation of OHIP-14 category and the sort of prosthesis, the score of being bridg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ing crown group in activity disorder(p<0.05). The OHIP-14 category and the number of prosthesis was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ormation and services of the process of dental prosthesis based on subjective evaluation should be provided to clients rather than based on clinical evaluation. The continued system of oral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O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Youn, Ha-Young;Cho, Min-Jeong;Hwang, Yoon-Sook;Koh, Kwang-Woo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7-45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determined by dentists, self-perceived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in the elderly.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OHRQoL in the elderly were also surveyed. Four hundred and thirty elderly individuals who visited the three public health centers and four dental clinics in Busan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Twelve dental hygienists investigated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HRQoL using the 14-item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nd twentyone dentists examined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including healthy remaining teeth, treated remaining teeth, functional remaining teeth, missing teeth, and non-treated missing teeth.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2.0. OHRQoL was higher when oral and periodontal status was perceived as healthy, when there was no toothache, no interference in mastication, and when study subjects had the ability of food softening. It was also higher when study subjects had ${\geq}20$ remaining teeth and <9 missing teeth, and were wearing denture.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OHRQoL of the elderly were the type of medical insurance, toothache, ability of food softening, perception of periodontal status, and the number of healthy remaining teeth.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o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HRQoL in the elderly. A continuous oral health care system aimed at retaining ${\geq}20$ healthy remaining teeth is needed to improve oral health and OHRQoL for the elderly, especially for the elderly receiving medical aid.

일부 임신부의 사회적 지지, 수면의 질 및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Sleep Quality,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n Depression among Pregnant Women)

  • 한세영;한양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4-141
    • /
    • 2017
  • 연구는 2016년 5월부터 9월까지 경상북도에 소재한 산부인과에서 외래 진료를 받는 분만 전까지의 임신부에서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191명의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신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임신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 수면의 질 및 OHIP와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신부들의 우울수준 분포는 건강군이 25.1%, 우울군이 74.9%로 나타났다. 우울수준은 결혼생활만족에 불만족하는 군일수록, 직업이 없는 군일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은 군일수록,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일수록, OHIP가 높은 군일수록 우울군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분만경험이 있는 군에 비해 없는 군에서 우울수준이 높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사회적 지지가 낮은 군에 비해 높은 군에서 우울수준이 높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우울수준은 수면의 질 및 OHIP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결혼생활만족도가 낮은 군일수록, 분만경험이 없는 군일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은 군일수록, OHIP가 높은 군일수록 우울수준이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2.3%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임신부의 결혼생활만족도, 분만경험, 사회적 지지, OHIP 등이 우울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임신부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들을 충분히 고려한 입체적인 연구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여 긍정적인 사고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Impact of skeletal divergenc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reported jaw function

  • Antoun, Joseph Safwat;Thomson, William Murray;Merriman, Tony Raymond;Rongo, Roberto;Farella, Maur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6-194
    • /
    • 2017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and self-reported jaw function between patients with hyperdivergent and normodivergent facial types. Methods: Eighty patients with a distinctively hyperdivergent facial type (mandibular plane angle greater than 2 standard deviations, or $42^{\circ}$) and 80 controls were individually matched according to age, sex, ethnicity, and treatment stag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nd Jaw Functional Limitation Scale (JFLS-8).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17.2{\pm}4.6years$ (range, 12-49 years), with most (65.0%) being female and of New Zealand European origin (91.3%). Individuals with hyperdivergent facial types had higher overall and social domain scores on the OHIP-14 (p < 0.05) than did the ones with normodivergent facial types. However,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JFLS-8 scores were not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s: Jaw function appears to be similar in individuals with hyperdivergent and normodivergent facial morphologies. However, those with hyperdivergent facial types are more likely to self-report poorer OHRQoL than are those with normal faces, especially in relation to social aspects.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대구지역 조사 (Migrant Multi-Cultural Family Women's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Survey in Dae-Gu)

  • 전은숙;안서영;최연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1-187
    • /
    • 2011
  • 이 연구는 일부 대도시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구지역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검사와 개별면접조사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강건강상태, OHIP-14를 측정하였다. 최종 수합된 189명의 자료로 t-검정 및 분산분석,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우식치아는 2.23개, 상실치아는 1.48개, 처치치아 5.58로 필리핀에서 온 여성이 기타 다른 나라에서 온 여성보다 상실치아수가 많았으며, 중국에서 온 여성이 충전영구치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2.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가 많을수록 낮았다.3. 상실치아의 여부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해 본 결과 정신적 불편, 신체적 능력저하, 정신적 능력저하, 사회적 능력저하, 사회적 불리 영역에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가장 낮았다. 4.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우식경험영구치가 많을수록, 월 가구 수입이 낮을수록 낮게 나타나 우식경험영구치와, 월수입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다.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상실치아 및 우식치아가 많을수록 낮아 다문화가족 여성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시도해야 할 것이다.

중국인 유학생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Correlation factors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 박정현;유병철;박민경;조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11-51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factors to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students studyng in Korea.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31 students from November, 2012 to January, 2013.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Duncan post-hoc test using SPSS version 19.0. Results : Male students and short period staying students tended to have a higher quality of life. Smokers and large city dwellers tended to have a low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p<0.05).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nese students in Korea was closely related to necessity of dental treatment and past experience of dental treatment services(p<0.05). Conclusions : To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oreign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early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through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dental health care delivery program for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 in Elderly People)

  • 이현옥;박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15-423
    • /
    • 2016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따른 행복지수는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행복지수는 칫솔질 횟수가 많고, 치과 정기검진을 하는 경우에서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하위개념 중 기능장애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세치제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신체적 통증에서는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불편감은 성별, 칫솔질 횟수, 정기검진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리고 신체적 능력 저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능력 저하는 연령, 동거인 유무, 배우자 유무,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또한 연구대상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동거인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OHIP-14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들의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고, 구강관련 삶의 질은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 및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다양한 노인구강향상프로그램 개발 등의 여러 사회적 방안이 요구된다.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감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Caregiver Burden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t Home)

  • 성기월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29-44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ing factors of caregiver burden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5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registered at dementia safety centers in five health center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hrough December in 2019, using questionnaire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 and Burden Interview (B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Result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aregiver burden (r=-37, p<.001). The caregiver burden (β=-.28,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β=.39, p<.001), and dental clinic visit (β=-.25, p=.002) explained 33.0% of the variance i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nursing care for spouses of dementia patients will be needed to reduce the caregiver burden and enha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ntal clinic visit, which influenc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pouse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at home.